• Title/Summary/Keyword: 펄

Search Result 46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Insulation Properties of Ballon Pearlite and Pearlite (흑요소 펄라이트와 진주암 펄라이트의 단열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ae-Seong;Jeon, Chan-Ki;Park,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83-1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불연성 무기단열재 제조를 위해 재료의 치환으로 열전도율을 충족시켜 경량 무기단열재 개발을 위해 연구하였다. 단열재로도 쓰이지만 화단의 흙을 대신하여 쓰이는 펄라이트 2종류와 바인더를 배합하여 샘플 3개를 제작하였다. 3가지 샘플들을 완전건조 후 열전도 측정기인 HFM-435를 이용하여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펄라이트와 흑요소 펄라이트 두가지 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총 3개의 샘플의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열전도 효율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단열재를 제작하고 각 재료들의 단열 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 PDF

On the Parasitism of the Glochidium of Anodonta arcaeformis and Anodonta woodiana despecta in the Lake Uiam (의암호에 서식하는 작은대칭이 ( Anodonta arcaeformis) 와 펄조개 ( Anodonta woodiana despecta ) 유생의 기생에 대하여)

  • 이준상;박갑만;송호복;박제철;권오길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5 no.1
    • /
    • pp.29-34
    • /
    • 1989
  • 의암호에서 채집된 작은애칭이(Anodonta aracaeformis)와 펄조개(Anodonta woodiana despecta)의 유생을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autae), 돌고기(Pungtungia heizi), 붕어(Carassius auratus)를 숙주로 하여 인위 감염 시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펄조개 glochidium 의 부착기간은 줄납자루, 돌고기에 각각 10일과 9일이었고 작은대칭이glochidium은 붕어에 21일간 부착하였다.2. 펄조개, 작은 대칭이 glochidium은 숙주의 가슴지느러미와 아가미에 높은 부착률을 나타내었다.3. 펄조개glochidium의 부착전과 후의 크기 변화는 없었으나 작은 대칭이 glochidium의 경우는 각고, 각장, 인대길이의 부착전 평균 크기가 0.345mm, 10365mm, 0.271mm에서 21일 이후 이탈 직전의 평균 크기는 0.373mm, 0,386mm, 0.290mm로 외형적인 크기 증가를 나타내었다.4. 펄조개 glochidium감염에 대한 숙주의 민감성은 줄납자루가 돌고기보다 높게 나타났다.5. 펄조개 glochidium은 부착후 2일, 작은대칭이는 8일째부터 기관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Moisture Content Control in Perlite Substrate (펄라이트 배지의 수분함량 제어)

  • 조영렬;손정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217-220
    • /
    • 1999
  • 수경재배중 고형배지 재배에서 주로 이용되어 왔던 배지로는 펄라이트, 암면, 질석, 폴리우레탄(PUR) 및 코코피트 등이 있다. 이중 펄라이트와 암면의 재배면적은 1998년에 전체 수경재배면적 553.4ha에서 각각 275.2ha와 163.1ha의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최(1998)은 수경재배 배지로 펄라이트와 암면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라고 하였으며, Wilson(1986)도 토마토와 오이 수경재배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배지는 펄라이트라고 하였 다. (중략)

  • PDF

인과의 조종가능성 이론과 간섭

  • Eo, Yeong-Seo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0 no.1
    • /
    • pp.109-130
    • /
    • 2007
  • 현장의 과학자들이 지닌 인과 개념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인과의 조종가능성 이론은 인과 관계를 조종가능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직관에 기초한다. 즉 C가 E의 원인이라는 것은 C를 조종함으로써 E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이론의 핵심 개념인 조종의 이해를 위해 최근 관심의 초점이 되는 간섭은 이상화된 실험 상태에서 국지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우드워드는 간섭의 의미가 목적에 따라 다르게 구체화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자신이 제시한 간섭 개념이 펄의 간섭 개념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우드워드의 주장이 설득력이 없다고 결론짓는다. 본 논문은 우드워드의 간섭 개념이 펄의 간섭 개념과 다르기보다는 펄의 간섭 개념이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바를 구체화하고 있다고 논증한다.

  • PDF

Development of a Nutriculture System for Fruit Vegetables Using Perlite and Its Mixtures with Other Substrates II. Effects of Substrates o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Hydroponically Grown Tomato (Perlite 단용 및 혼용처리를 이용한 과채류 양액재배 기술 개발 II. 배지의 종류가 양액재배 토마토의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 정순주;서범석;이범선;이정현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5 no.1
    • /
    • pp.7-14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hydroponically grown tomato as affected by the different substrates using perlite and mixtures with perlite. Substrat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erlite (fine and coarse granule), peatmoss, rice hull and carbonized rice hul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total fruit yield and average fruit weight obtained in the single treatment of perlite, followed by perlite mixture with rice hull and carbonized rice hull. Leaf area was also higher in the plots of perlite mixture and optimum mixing ratio of perlite, peatmoss and carbonized rice hull was determined as 5:3:2 by volume. The more the rice hull was added to the mixed substrates, the less in fruit production was observed. However, adding perlite to other substrates brought higher fruit yield. Single treatment of rice hull showed the lowest fruit yield but enhanced in soluble solids contents over 6.0 $^{\circ}$Brix at each cluster.

  • PDF

Long-term Changes of Sediment and Topography at the Southern Kanghwa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안 강화 남부 갯벌 퇴적물 및 지형의 장기적인 변화)

  • Woo, Han J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4
    • /
    • pp.493-500
    • /
    • 2013
  • Comparisons of surface sediment distributions in summer 1997 and 2011 and elevations on the tidal flats in April 1998 and March 2013 had been used for understanding the long-term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at southern Kanghwa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The mud sediments dominated in the eastern part and sandy mud sediments dominat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tidal flat in 1997. In 2011, the surface sediments were dominant mud and sandy mud at Sunduri and Tonggum in the eastern part, sandy mud at Tongmakri in the middle part, and sand and muddy sand at Yeochari and Changhwari tidal flats in the western part. The area of mud sediments had decreased, but that of sand-mud mixed sediments extended to eastward tidal flat for 14 years. The long-term topographic changes showed that deposition occurred at Tongmakri and Yeochari and erosion occurred at Changhwari tidal flat during 15 years. These changes should be effected the local hydrodynamic changes by several constructions near the tidal flat since the 1990s.

Effect of Substrates on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in Bag Culture (자루재배에서 배지의 종류가 오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이응호;이재욱;권지선;남윤일;조일환;권영삼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5 no.1
    • /
    • pp.15-22
    • /
    • 1996
  • Cucumbers(Cucumis sativus L. CV. SHARP 1) were cultivated by bag culture for 5 month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strates on growth, yield, and mineral contents. The substrat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vermiculite + perlite +peatmoss(1:1:1=V:V:V), perlite+peatmoss(1:1=V:V), perlite+carbonized chaff(7:3=V:V), rockwool, sawdust, and chaff+chaff powder under 10 mesh (7:3=V:V). The rate of moisture content was highest at chaff powder under 10 mesh as 42.5% and was lowest at perlite+carbonized chaff as 31%. Plant height, No. of leaves, fresh and dry weight were increased in vermiculite+perlite+peatmoss(1:1:1=V:V:V). Marketable fruits and yield also showed same aspect with growth. All kinds of mineral contents except K in cucumber plants were higher at vermiculite+perlite+peatmoss(1:1:1=V:V:V), but K content was higher at perlite+ carbonized chaff(7:3=V:V) than those other substrates.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resistant and Flame-retardant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Composites Containing Perlite (펄라이트를 첨가한 실리콘 고무 복합체의 내화 및 난연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 Lee, Byung-Gab;Lee, Jong-Hyeok;Bang, Dae-Suk;Won, Jong-Pil;Jang, Il-Young;Park, Woo-Young;Jhee, Kwang-Hwa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6 no.2
    • /
    • pp.164-170
    • /
    • 2011
  • In this study, silicone rubber filled with environmentally-friendly perlite was prepared by mechanical mixing in order to improve thermal properties, such as heat and fire resistances. We found that the properties of silicone rubber composites depended on perlite concentration by various characterization methods.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indicated that the initial degradation temperature of silicone/perlite composite was higher than that of pristine silicone rubber. The gas torch test showed that the opposite side temperature of composite materials was remarkably low as compared to that of pristine silicone rubber. In addition, the composites containing 5 wt% and 10 wt% of perlite showed remarkable thermal stability at elevated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oth fireproof furnace tests under the RABT condition and carbonization furnace tests. The images from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showed the degree of dispersion of perlite in silicone rubber.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limited oxygen index(LOI) was increased with perlit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bacterial population and activities at the tidal flat in southern area of Ganghwa Island, Korea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의 세균수 및 활성의 분포)

  • Kwon, Kae Kyoung;Lee, Hong Kum;Je, Jong Gee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7 no.2
    • /
    • pp.37-52
    • /
    • 2005
  • Vertical distribution of bacterial population and activities were compared between the muddy and sandy sediment of the tidal flat located in southern area of Ganghwa Island. The average of bacterial number and activities in mud fla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sand flat. Bacterial number was markedly increased at the sandflat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which seemed to be the result of increase of mud content. The number and activities of microorganisms in mudflat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mangrove sediments. There was no differences in bacterial number with the depth, but the aminopeptidase activity and bacterial productivity were decreased markedly within 3~5cm depth of sediment due to the availability of carbon sources and molecular oxygen in pore water. The number and activities of microorganisms in mudflat did not cor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icroalgae; however, those in sand flat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icroalgae. The distribution of marsh plant in the mudflat area might be the reason of the difference.

  • PDF

Fire-Retardation Properties of Silicone/Perlite Composites (실리콘/펄라이트 복합체의 난연 특성)

  • Lee, Byunggab;Won, Jongpil;Jang, Ilyoung;Bang, Daes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54-154
    • /
    • 2011
  • 최근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터널 화재사고는 많은 사상자를 동반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손실 또한 방대하게 진행되는 실정이다. 터널 구조물의 화재 특성상 외부에 쉽게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화재에 노출된 표층이 박리되거나 비산해서 단면결손이 생기는 폭렬 현상(explosive spalling)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폭렬 현상은 붕괴와 같은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터널 내 화재 발생 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폭렬에 의한 붕괴를 예방하기 위하여 이액형 상온경화 실리콘 고무와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첨가제인 펄라이트를 일정한 혼합비(5wt%, 10wt%, 15wt%, 20wt%)로 혼합하여 고성능 난연 복합체를 제조하고, 열적 특성과 난연 특성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열적 특성에 관한 시험으로 TGA를 측정하였으며, 난연 특성에 관한 시험으로는 화염 시험, 내화로 시험, 탄화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TGA 시험은 $20^{\circ}C/min$ 승온 속도로 $800^{\circ}C$까지 실험을 하였고, 화염 시험은 제작한 시편과 gas torch($1200^{\circ}C$)의 화염 거리를 약 10cm로 하여 약 1시간 동안 시험을 하였다. 내화로 시험은 내화로 장치를 이용하여 RABT curve(5분만에 $1200^{\circ}C$도달 후 한 시간 동안 유지 후 냉각, 총 시험 시간 180분) 조건을 만족하는 환경에서 제작한 시편을 콘크리트에 부착하여 콘크리트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였다. 탄화로 시험은 탄화로 장치를 이용하여 $2^{\circ}C/min$ 승온속도로 $900^{\circ}C$까지 실험을 하여 외부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각의 시험 결과 TGA 열분해 결과 순수한 실리콘 고무보다 난연제인 펄라이트를 첨가했을 때 더 높은 온도에서 초기 분해 거동을 보였으며, 최종 잔류량은 80%를 보였고, 5 wt%의 펄라이트가 혼합된 시편의 최종 잔류량이 높은 것으로 보아 열분해에 가장 강한 조성임을 알 수 있었다. 화염 시험 결과 펄라이트가 혼합된 모든 시편에서 $300^{\circ}C$가 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제조된 복합체가 화염에 직접적으로 장시간 노출이 되어도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화로 및 탄화로 시험 결과 펄라이트가 15wt%와 20wt%가 첨가된 시편들보다 5wt%와 10wt% 첨가된 시편들이 고온에서 안정하다는 것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