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팽윤율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초

추출 조건이 홍미삼(紅尾蔘)의 가용성 물질의 용출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ng Conditions on the Soluble Solid's Yield of Korean Red Ginseng)

  • 성현순;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8-172
    • /
    • 1986
  • 본 연구는 홍미삼으로부터 홍삼엑기스를 제조할 때 추출용매와 온도 그리고 추출시간의 변화가 추출과정중 원료삼의 팽윤성과 흡수성 그리고 홍삼엑기스의 고형분 수율의 차이를 비교한뒤 이들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추출조건에 따른 이들 성질을 예측코져 하였다. 홍미삼의 팽윤율과 흡수율은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온도의 상승으로 흡수율은 증가되었으나 평형시의 팽윤율에는 영향을 주지않았다. 한편 가용성 물질이 용출율은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되어었으며 온도상승에서는 반대로 증가되었다. 또한 각 추출조건에서 추출시간에 따른 팽윤율과 흡수율 그리고 용출율은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대수함수적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관계식으로부터 주어진 에탄올의 농도와 추출시간에서의 이들의 성질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간벌재 및 소경재의 이용개발에 관한 연구 -알칼리 처리 목재의 수축팽윤성- (Utilization of Domestic Small Timbers -Shrinkage and Swelling of Alkali-Treated Woods-)

  • 황원중;김남훈
    • 임산에너지
    • /
    • 제18권2호
    • /
    • pp.70-77
    • /
    • 1999
  • 간벌 소경재의 새로운 용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산 주요 침·활엽수 4수종의 알칼리팽윤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4수종 모두 알칼리 처리후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그 정도는 활엽수재가 더 크게 나타났다. 알칼리처리에 의해 접선방향의 팽윤이 현저한 반면 방사방향의 팽윤은 작았고, 섬유방향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알칼리 팽윤후 수축율은 활엽수재가 더 컸으며, 특히 기건상태까지의 수축율은 방사방향과 접선방향간에 수축육의 차이가 거의 없이 등방적으로 수축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 PDF

Polyethylene Glycol의 분자량(分子量)이 목재(木材)의 치수 안정화(安定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olecular Weight of Polyethylene Glycol on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Wood)

  • 전철;오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14-21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목재(木材) 고유(固有)의 특성(特性)인 흡습성(吸濕性) 및 수축(收縮), 팽창(膨脹)의 이방성(異方性)에 의한 목재(木材) 자체(自體) 및 목제품(木製品)의 가치(價値) 저하(低下)를 방지(防止)하고 목재(木材)의 천연적(天然的)인 아름다운 무늬를 살려 더욱 목재(木材)의 효용가치(効用價値) 높이 기 위하여 비교적(比較的) 가격(價格)이 싸고 독성(毒性)이 없을 뿐만 아니라 주입처리(注入處理)가 용역(容易)한 PEG를 이용(利用)한 목재(木材)의 치수 안정화(安定化) 기술(技術)을 개발(開發)하기 위한 일환(一環)으로 PEG 분자량별(分子量別)(200, 400, 600, 1000, 1500, 2000, 4000, 6000) 및 수종별(樹種別)(Pinus densiflora S. et Z., Larix leptolepis Gordon., Cryptomeria japonica D. Don., Cornus controversa Hemsl., Quercus variabilis Blume., Prunus sargentii Rehder.)로 치수 안정화(安定化) 효과(効果)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될 수 있었다. 1) PEG 주입율(注入率)은 분자량(分子量) 400일 때 137.22%(Pinus densiflora)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以後)는 비교적(比較的) 완만(緩慢)하게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여 주었으며 비중(比重)이 낮을수록 PEG 주입량(注入量)도 증가(增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 부피 팽윤율(澎潤率)은 비중(比重)에 의한 영향(影響)을 별로 받지 않았으며 굴참나무가 분자량(分子量) 400~2,000에 이르기까지 12~18%의 범위(範圍)내에 분포(分布)한 것을 제외(除外)하고는 대부분(大部分) 분자량(分子量) 600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일반적(一般的)으로 활엽수재(濶葉樹材)가 침엽수재(針葉樹材)보다 높은 부피 팽윤율(澎潤率)을 보여 주었다. 3) 부피 팽윤(澎潤) 감소율(減少率)은 수종(樹種)에 따라 약간의 예외(例外)는 있었으나 대부분이 PEG 분자량(分子量) 400에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고 삼나무의 경우 95.09%로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으며, 산벚나무를 제외(除外)하고는 모두 80% 이상(以上)을 나타내었지만 분자량(分子量) 1,000 이상(以上)에서는 팽윤(膨潤) 감소율(減少率)이 70% 이하(以下)로 떨어졌다. 4) 치수 안정화(安定化) 효율(效率)은 비중(比重)이 큰 활엽수재(濶葉樹材)가 침엽수재(針葉樹材)보다 월등하게 높았으며 전건비중(全乾比重)이 0.89인 굴참나무는 전(全) 분자량(分子量) 범위(範圍)에 걸쳐 부피 팽윤감소율(澎潤減少率)이 1.6 이상(以上)이었는데, 일반적(一般的)으로 분자량(分子量)이 작을수록 우수(優秀)하였으나 분자량(分子量) 4,000 이상(以上)에서는 별로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5) 이상(以上)과 같은 결과(結果)를 종합(綜合) 분석(分析)한 바 PEG 처리(處理)에 의한 치수 안정화(安定化)는 활엽수재(濶葉樹材)의 경우, 특(特)히 효율적(效率的)이며 비록 팽윤감소율(澎潤減少率)이 분자량(分子量) 400에서 가장 높은 수치(數値)를 나타내었지만 PEG 주입율(注入率), 부피 팽윤율(澎潤率), 팽윤감소율(澎潤減少率) 및 치수 안정화(安定化) 효율(效率)을 감안할 때 분자량(分子量) 200~1,500 사이의 것을 적절(適切)한 비(比)로 혼합(混合) 사용(使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思料)되며, 실용화(實用化)를 위해서는 각 분자량(分子量)의 PEG 혼합비율(混合比率)에 따른 부피 팽윤율(澎潤率), 팽윤감소율(澎潤減少率) 및 치수 안정화(安定化) 효율(效率)에 대한 보다 집중적(集中的)인 연구(硏究)가 요구(要求)된다.

  • PDF

소수성 모노머들을 포함한 콘택트렌즈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Contact Lens with Hydrophobic Monomers)

  • 예기훈;김태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34
    • /
    • 2008
  • 목적: 본 연구에서는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Silicone 기본 조합에 각각 BMA(Butyl methacrylate)와 MMA(Methyl methacrylate)를 혼합하여 콘택트렌즈의 재료로 사용한 후, 각각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방법: 캐스트 몰드 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렌즈를 제조 하였으며, 각 시료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균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HEMA/silicone/BMA 조합의 경우, 함수율은 24.69%에서 29.26%, 인장강도는 0.109 kgf에서 0.263 kgf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HEMA/silicone/MMA 조합의 경우, 팽윤율은 13.56%에서 14.83%, 함수율은 25.61%에서 29.33%, 인장강도는 0.107 kgf에서 0.286 kgf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결론: 두 조합은 HEMA/silicone(0.20%~11.50%)의 기본 조합에서 BMA(5.15%)와 MMA(5.15%)를 일정량 첨가한 것으로 두 경우 모두에서 BMA의 양과 MMA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할수록 팽윤율과 함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EMA/silicone/MMA 조합의 경우, 인장강도는 silicon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4-MMA 시료까지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HEMA/silicone/BMA 조합의 경우, 인장강도는 silicon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AA(Acrylic acid)와 BMA(Butyl methacrylate)를 이용한 실리콘 콘택트렌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licone Contact Lens Using AA and BMA)

  • 김태훈;예기훈;권영석;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9-265
    • /
    • 2006
  • 우리는 하이드로겔 렌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AA(Acrylic acid) and BMA(butyl methacrylate)의 재료를 중합하였다. 실리콘의 합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Disocynate를 HEMA(2-hydroxyethylmethacrylate)와 촉매 하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고 산소 투과성 특성을 가지는 bis(hydroxyalkyl)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를 반응시켜 Acrylate-PDMS(Polydimethylsiloxane)-Urethane prepolymer를 합성하였다. HEMA(2-hydroxyet-hylmethacrylate)는 중합 가능한 prepolymer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하였으며, Urethane의 도입은 탄성이 좋고 산소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prepolymer를 기존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재료들과 공중합하여 산소투과성이 좋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를 제조하였다. 콘택트렌즈 제조를 위해 기존에 사용된 콘택트렌즈 재료에 탄성과 유연성이 좋은 BMA(Butyl methacrylate), 습윤성이 좋은 AA(Acrylic acid)를 첨가하였다. 개시제로는 AIBN(Azobis2-methylpropionitrile)을, 교차결합제로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를 사용하였다. 각 monomer의 특징에 따라 여러 가지 조합을 시도하여 기본적인 콘택트렌즈 물성을 만족하면서 동시에 산소투과성과 습윤성이 좋은 렌즈를 제조하였다. SILICONE, HEMA, NVP과 EGDMA등이 포함된 SN은 팽윤율(swelling ratio) 9.38%, 함수율(water content) 23.72%로 나타났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88%로 나타났다. AA를 첨가한 SA는 팽윤율(swelling ratio) 9.38%, 함수율(water content) 23.72%로 나타났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88%로 나타났다. SN에 BMA를 첨가한 SB는 팽윤율(swelling ratio) 12.50%, 함수율(water content) 18.56%로 나타났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88%로 나타났다. SN에 AA와 BMA를 첨가한 SAB는 팽윤율(swelling ratio) 8.33%, 함수율(water content) 12.93%로 나타났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88%로 나타났다.

  • PDF

목재 구성세포의 알칼리 팽윤 특성 (Alkali swelling characteristics of wood elements)

  • 황원중;김남훈
    • 임산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62-72
    • /
    • 2001
  • 목재의 알칼리 팽윤특성을ㄹ 해명하기 위해 국내산 주요 침·활엽수 4수종의 주요 구성요소의 알칼리 팽윤 거동을 횡단면 절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본잎갈나무의 가도관 직경은 잣나무보다 크게 팽윤하였으며, 가도관의 벽두께는 10% 이상의 알칼리 수용액에 처리시 높은 팽윤율을 나타냈다. 알칼리 처리에 의해 도관의 직경은 방사방향으로 수축하였고, 접선방향으로 다소 팽윤하였다. 목섬유의 세코벽두께는 5%의 알칼리처리에서도 수분팽윤에 비해 3배 이상의 높은 팽윤성을 나타앴고, 알칼리 처리후 일본잎갈나무의 가도관 직경, 목섬유 직경 및 세포벽두께는 거의 등방적인 수축현상을 보여주었다. 또한 미처리 시료에 비해 머서화 처리 구성요소의 세포직경은 수축되었고, 세포벽은 팽윤되었다. 알칼리처리 과정에서 셀룰로오스 결정형의 변화는 없었지만 상대결정화도와 미결정의 폭이 다소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알칼리의 농도, 수종, 세포의 종류가 목재의 알칼리 팽윤 특성에 크게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연구로용 우라늄실리사이드 분산형 핵연료의 팽윤모델 (A Comprehensive Swelling Model of Silicide Dispersion Fuel for Research Reactor)

  • Woan Hwang;Suk, Ho-Chun;Jae, Won-M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40-51
    • /
    • 1992
  • 연구용 원자로의 분산형 핵연료에 대한 노내 조사 거동의 주요 특성중의 하나는 핵연료심 팽윤에 기인된 핵연료봉 직경 증가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형 우라늄실리사이드 핵연료에 대한 노내 조사거 동과 실험 증거들을 분석함으로써 그 핵연료의 팽윤에 대한 물리적 해석 모형인, DFSWELL 전산 모형을 개발하였다. 문헌에 보고된 실험 증거들로부터 노내에서 U$_3$Si-Al 핵연료심의 부피변화는 온도와 핵분열율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형 우라늄 실리사이드 핵연료에 대한 정량적 팽윤량은 주어진 온도, 핵분열율, 핵분열고체생성물 측적 및 핵분열기체 기포거동을 고려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연구로의 분산형 우라늄실리사이드 핵연료의 팽윤 현상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현상으로 귀결된다. i ) 핵분열기체생성물 기포 생성/축적에 치한 부피변화 ii ) 고체 핵분열생성물의 축적 및 상 변화에 의한 부피변화 iii ) 핵연료 입자와 기지 사이의 공유층에 대한 부피변화 상기 세 가지의 물리 적 현상을 고려하는 본 DFSWELL 전산 모형의 출력이력 조건에 따른 절대 예측치들은 실행 결과와 비교할 때 분산형 우라윰실리 사이드 핵연료의 조사추 팽윤 실측치와 잘 일치한다.

  • PDF

목재의 치수안정성 개선을 위한 진공가압 멜라민 수지함침처리 (Vacuum Pressure Treatment of Water-Soluble Melamine Resin Impregnation for Improvement of Dimensional Stability on Softwoods)

  • 오승원;박희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27-333
    • /
    • 2015
  • 진공가압 수지함침 처리에 의한 목재의 치수안정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침엽수 3수종에 수용성 멜라민 수지를 수지농도와 처리시간별로 처리한 후, 수지함침 열압축목재(compreg)를 제조한 다음 치수안정성 개선효과를 검토하였다. 수지농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용적 수축률과 항용적 팽윤율은 증가하였으나, 용적 팽윤율, 항용적 수축률 및 흡수성은 감소하였다. 또한 중량 증가율은 수지의 농도가 높을수록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처리시간과는 일정한 관계가 없었다.

생물고분자로 이루어진 저독성 흡수제의 팽윤거동 (Swelling Behavior of Low Toxic Absorbent Based on Biopolymer)

  • 정진희;김진;이기영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478-4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품첨가물로 승인되어 있는 생물고분자 물질을 이용하여 신속팽윤성과 고흡수성을 갖는 하이드로젤을 제조하고 팽윤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이드로젤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포발생제를 이용하여 기공을 형성시켜 기존 하이드로젤의 팽윤성 향상을 시도하였고 각 하이드로젤의 평형 팽윤도, 팽윤속도 및 세포독성을 비교하였다. Alginate hydrogel에서는 digital microscope 관찰을 통해 수백 ${\mu}m$ 크기의 열린 채널로 다공성 구조를 관찰하였으며 제조된 모든 하이드로젤들은 poly(acrylic acid)에 비해 높은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쌀눈 발아의 최적조건 확립 및 p53 항암 유전자의 발현 (Optimized Germination Conditions and Human p53 Expression of Rice Embryo)

  • 피경태;최주연;김근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8-163
    • /
    • 2015
  • 쌀의 쌀눈은 배유에 비해 단백질, 지방, 비타민 B1 등의 영양분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에서 발현 할 수 있는 p53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으며, 여러가지의 배지에서 쌀눈 발아의 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p53 플라스미드는 pcDNA-p53 플라스미드에서 p53을 얻어내어 TA 벡터에 subcloning을 한 후 식물 플라스미드인 pGEM-CaMV에 p53을 삽입하여 식물에서 발현 가능한 pGEM-CaMV-p53 플라스미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p53 유전자의 도입을 위하여 최적의 팽윤버퍼의 조성 및 배지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팽윤방법을 통한 유전자의 도입에서 팽윤버퍼는 염과 detergent의 서로 다른 농도로 조성하였지만, 이 버퍼조성 사이에서의 쌀눈 발아율의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팽윤된 쌀눈의 발아를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고체한천배지, 액체 배지, 페이퍼 타올 배지의 3가지 조건에 대해서 발아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체배지에서의 발아율은 70% 정도로 가장 높고 액체배지에서의 발아율은 20% 정도로 가장 낮았으며, 페이퍼 타올배지에서의 발아율은 60% 정도였다. 앞서 확인한 최적의 발아조건에서 쌀눈에 p53 플라스미드를 도입하였고, 그 결과 쌀눈에서의 human p53 발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팽윤방법에 의한 쌀눈에서의 효율적인 유전자 발현은 쌀의 새로운 부가가 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