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턴전개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2초

가야 유물을 응용한 패턴전개와 주얼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 and the jewelry design utilizing the Gaya relics)

  • 변성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4호
    • /
    • pp.67-76
    • /
    • 2017
  • 가야시대란 김해에 가야의 나라가 있었던 시대이다. 삼국시대라는 이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고대한국에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만 있었던 것도 아니고, 가야사가 소외되는 시대이름이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어렵다. 바르고 빠짐없는 한국고대사의 복원을 위해서도 반드시 고쳐져야 할 시대이름이다. 그렇다고 여기에서 말하는 가야시대가 삼국시대를 대체할 수 있는 시대 구분의 이름은 아니다. 주체적 역사관으로 우리 고장의 역사를 되살리는 이 글에서 가야의 나라가 있었던 시대라는 뜻으로 가야시대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야시대는 가야의 여러 나라가 경상남도 일원에 기원 전 후부터 532년 김해 대가락(大駕洛)과 562년 고령 대가야(大加耶)의 멸망에 이르기까지 대개 600여 년 간의 역사를 말한다. 가야시대 500여점의 훌륭한 유물을 검토하고(대표성, 시대성, 디자인 가치성) 선별하여 전통문양을 개발했다. 개발된 전통문양을 2D작업을 통해 디자인작업했다. 전통문양 디자인을 근거로 주얼리 디자인을 단순한 아이디어스케치 작업이 아닌 실제 시제품의 완성으로 주얼리 디자인으로 가능성에 대한 유무를 제시했다.

홍채학기반이 질병예측을 위한 홍채인식 알고리즘 (An Iris Detection Algorithm for Disease Prediction based Iridology)

  • 조영복;우성희;이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07-114
    • /
    • 2017
  • 홍채진단은 홍채의 패턴, 색 등 다른 특징들을 조사하여 환자의 병을 진단하는 대체의학이다. 이 논문에서는 촬영한 홍채이미지의 차영상을 이용해 홍채를 분석하고 홍채 변화에 따른 환자의 건강진단에 활용한 질병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홍채영상을 이용하여 홍채 내의 특정 패턴을 검출하는 알고리즘 연구로 홍채의 다양한 정보로부터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진단시스템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촬영된 홍채영상의 차영상을 이용해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질병의 전개과정을 명확히 판단한다. 또한 홍채영상으로부터 8가지 주요 홍채병소징후를 추출하고 검진의 정확도를 실험한 결과 패턴 매칭 기법에 의한 인식률 91%로 홍채진단의 자동화에 적용 가능하다.

3차원 인체모델을 이용한 엉덩이의 형태적 특징과 패턴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ip Shape and Pattern Using 3D Body Model)

  • 조영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6-275
    • /
    • 2009
  • Variations of individual hip shapes are a major obstacle in pattern making for fitness. The drafting method is used for pattern making in today's apparel industry. Whilst catering to a limited number of information such as waist and hip sizes, this method does not cater to variations in hip shape. This paper describes the analysis of hip shapes using 3D body model and tries to make 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hip shape and pattern by calculating hip angle and dart amount. We achieved results in analyzing various hip shapes by extracting hip angle. Moreover, various hip shap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A, B and C) by the hip angle value($K_{sh}-K_{wsh}$). When we use computerized draping method to make a personalized pattern for a tigth skirt, we easily create complex dart lines automatically. Therefore we achieve the result of individual dart amount such as distance between dart lines and dart areas. C type of hip shape had short dart length, long distance between dart lines and a large amount of dart area. On the other hand, A type had long dart length, short distance between dart lines and small amount of dart area. B type had long length and long distance between dart lines and large amount of dart area. In traditional pattern making, distance between dart lines is usually proportional to amount of dart area because of similarity in dart line shape. In our pattern, there is no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dart line distance and dart area. This means that variations in hip shapes result in a wide variety of dart line curvature resulting in a wide range of dart area. By ensuring an accurate relationship between hip shape and pattern, it is possible to make patterns which result in clothing that not only fits well, but also exhibits other desirable properties.

3차원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스타일별 여성 팬츠 패턴 연구 (Women's Pant Pattern Design According to the Style Using 3D Body Scan Data)

  • 윤미경;남윤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7-113
    • /
    • 2016
  • This study develops pant patterns using body shape, measurement and shell mesh data to decide optimal women's pants according to styles with excellent size, fit and shape for different individuals and silhouettes. Standard landmarks, lines, triangles and structures were set on a 3D scanned lower body shell to represent women in their twenties and flattened as a 2D pattern. Patterns were cre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culotte, formal, slacks and tight type considering crotch shape, location of the crotch point, and adjusting waist darts. Flattened patterns were rotated to compare existing methods. The crease lines were then set through the hip protrusion point and compared. The main factor of the pant pattern were extracted, total rise, crotch depth, crotch width, angle of center line, shape of the center line curve, the thigh width, the amount of waist dart, and crease line position. With going tight style from the culotte, the fits are closer to the figure with minimized thigh circumference, the dart amount decreases, the crotch depth increases, the crotch extensions were shorter, and the angle of the center back increased. The total rise is U shape for culotte and is closer to V shape as the silhouette tightens. T-test of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developed pant pattern were conducted after analyzing measurements and shapes of each styles. The results of the developed patterns were superior to existing patterns in accordance to hip line between body and pants as well as appearance evaluation. We found systematic mechanisms among pattern factors that create various pant silhouettes. Evidence on classification of the silhouettes of traditional types of pants were explained objectively through the process of playing out 3D forms.

3D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밀착 패턴원형 개발 (Development of 2D Tight-fitting Pattern from 3D Scan Data)

  • 정연희;홍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7-166
    • /
    • 2006
  • The human body, which is composed of concave and convex curvatures, makes it difficult to transfer into 2D patterns directly from 3D data. In previous studies. Jeong, et al.(2004) suggested the block method was fester and easier when dealing with the triangular patches of male's upper dress form. Although the block method is useful to make a pattern, the information(area, length, etc.) from a 2D pattern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block method. As a result horizontal and diagonal block methods were suggested as optimal methods for 2D tight-fitting patterns. These block methods were closer to the original area of the 3D scan data than the vertical block method. The total area of the 2D pattern obtained by the horizontal and diagonal block methods showed little differences. In case of the horizontal and diagonal block methods, the total error of the 2D pattern area ranged from $0.01\%\~0.25\%$. In comparing the length of the 2D pattern with that of the 3D scan data, the obtained 2D pattern was $0.1\~0.2cm$ shorter than the 3D scan data, which was within the acceptable range of errors in making clothes. 3D space distribution images between the body surface and the experimental clothing were also measured and $3\%$ enlargement of the original pattern was verified as the adequate adjustment.

쇄기형 유전체의 양면에 평면파 입사시 다극전개를 이용한 회절패턴 계산 (Calculation of Diffraction Patterns for Incidence of Planewave on Both Sides of a Dielectric Wedge by Using Multipole Expansion)

  • 김세윤;나정웅;신상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6-26
    • /
    • 1989
  • 임의의 각을 가진 쇄기형 유전체의양 경계면을 E-편파된 평면화가 입사할 경우 발생하는 전자파의 회절패턴을 기하광학해와 모서리회절파의 합으로 표시하였다. 모서리 회절파의 회절계수는 물리광학근사로 구한 회절계수를 모서리 끝에 분포한 다극선전원으로 수정하여 구하였다. 쇄기각 $120^{circ}$, 입사각 $60^{circ}$ 인 유전체의 비전율을 2, 5, 10으로 변화시키고, 측정거리도 모서리 끝점으로 부터 5와 10파장인 경우에 대해 기하광학해와, 물리광학해, 다극선전원으로 교정한 수정해 순으로 각각의 회절패턴을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구한 수정해는 모서리 끝점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만 유용한 점근해임을 알 수 있으나, 유전체 경계면에서 경계조건을 만족함을 보였다.

  • PDF

가야 유물을 응용한 패턴전개와 스카프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 and the Scarf Design Utilizing the Gaya Relics)

  • 변성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103-113
    • /
    • 2020
  • 가야시대란 김해에 가야의 나라가 있었던 시대이다. 삼국시대라는 이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고대한국에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만 있었던 것도 아니고, 가야사가 소외되는 시대이름이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어렵다. 바르고 빠짐없는 한국고대사의 복원을 위해서도 반드시 고쳐져야 할 시대이름이다. 그렇다고 여기에서 말하는 가야시대가 삼국시대를 대체할 수 있는 시대 구분의 이름은 아니다. 주체적 역사관으로 우리 고장의 역사를 되살리는 이 글에서 가야의 나라가 있었던 시대라는 뜻으로 가야시대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야시대는 가야의 여러 나라가 경상남도 일원에 기원 전 후부터 532년 김해 대가락(大駕洛)과 562년 고령 대가야(大加耶)의 멸망에 이르기까지 대개 600여 년 간의 역사를 말한다. 가야시대 500여점의 훌륭한 유물을 검토하고(대표성, 시대성, 디자인 가치성) 선별하여 전통문양을 개발했다. 개발된 전통문양을 2D작업을 통해 디자인작업했다. 전통문양 디자인을 근거로 스카프 디자인을 단순한 아이디어스케치 작업이 아닌 실제 시제품의 완성으로 스카프 디자인으로 가능성에 대한 유무를 제시했다.

가야 유물을 응용한 패턴전개와 넥타이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 and the necktie design utilizing the Gaya relics)

  • 변성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1-30
    • /
    • 2018
  • 가야시대란 김해에 가야의 나라가 있었던 시대이다. 삼국시대라는 이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고대한국에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만 있었던 것도 아니고, 가야사가 소외되는 시대이름이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어렵다. 바르고 빠짐없는 한국고대사의 복원을 위해서도 반드시 고쳐져야 할 시대이름이다. 그렇다고 여기에서 말하는 가야시대가 삼국시대를 대체할 수 있는 시대 구분의 이름은 아니다. 주체적 역사관으로 우리 고장의 역사를 되살리는 이 글에서 가야의 나라가 있었던 시대라는 뜻으로 가야시대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야시대는 가야의 여러 나라가 경상남도 일원에 기원 전 후부터 532년 김해 대가락(大駕洛)과 562년 고령 대가야(大加耶)의 멸망에 이르기까지 대개 600여 년 간의 역사를 말한다. 가야시대 500여점의 훌륭한 유물을 검토하고(대표성, 시대성, 디자인 가치성) 선별하여 전통문양을 개발했다. 개발된 전통문양을 2D작업을 통해 디자인작업했다. 전통문양 디자인을 근거로 넥타이 디자인을 단순한 아이디어스케치 작업이 아닌 실제 시제품의 완성으로 넥타이 디자인으로 가능성에 대한 유무를 제시했다.

3D 동체 모형을 이용한 2D 전개 패턴 연구 (2D Flat Pattern Development Using Simplified 3D Torso Model)

  • 김명수;홍경희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5-91
    • /
    • 2005
  • To understand the basic relationship between 3D curved surface model and 2D pattern, simplified torso model was generated by commercial CAD program (IDEAS). 3D torso model was then divided into different blocks and unfolded into a flat pattern as in ordinary works of clothing item design. As results, 2D pattern development of different part of 3D torso model was attempted and analyzed mathematically. It was found that different height, radius and tangent slope of 3D blocks resulted in different 2D patter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hape parameters of 3D torso blocks and those of 2D patterns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equations. Direct way of drawing a 2D pattern of corresponding 3D torso block was also illustrated for the convenience of pattern making using conventional measurements of upper/ lower radii and height of 3D torso block.

접지면과 높이가 같은 원형 패치 안테나의 복사 특성 해석 (Radiation Properties of Flush Mounted Circular Patch Antenna)

  • 이행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93-197
    • /
    • 2006
  • 접지면과 높이가 같은 원형 패치 안테나의 복사 특성을 모드 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원형 패치는 동축 케이블로 중심부에 급전이 되어 disk-loaded 모노폴 형태의 안테나 형태를 갖고 있으나 돌출부가 없다. 패치와 동축 케이블 및 접지면의 각 영역을 고유함수로 전개하고, 일반화된 산란 행렬과 적분변환을 이용하여 입력 임피던스, 복사 패턴 계산이 가능함을 보였다. 제시된 방법은 패치 안테나와 필터와 매칭 부분이 함께 있는 경우의 특성 예측에도 쓰일 수 있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