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콘텐츠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7초

모바일 앱기반 패션 콘텐츠 비지니스 모형의 설계와 구현 (Mobile Application Design and Development on Fashion Contents Distribution Model)

  • 서동복;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7-428
    • /
    • 2013
  • 패션콘텐츠의 모바일 유통을 목적으로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자 하였으며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단순 패션콘텐츠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패션콘텐츠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정보공유 방법과 사용자의 자가 코디를 지원하는 콘텐츠 직접생산, 활용 및 거래 시스템을 구현하고 사용시장의 확대를 위한 접근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패션 콘텐츠의 모바일 유통개선을 위한 비즈니스 모형과 도입전략 (Mobile Business Model and its Introducing Strategy for Fashion Contents Distribution)

  • 서동복;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1-469
    • /
    • 2013
  • 본 연구는 패션콘텐츠의 모바일 유통을 목적으로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자 하였으며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단순 패션콘텐츠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패션콘텐츠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정보공유 방법과 사용자의 자가 코디를 지원하는 콘텐츠 직접생산, 활용 및 거래 시스템을 구현하고 사용시장의 확대를 위한 접근전략을 제시하였다. 모바일 접근성에 차별화된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과 수익구조를 설계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기존의 연구와 모바일 앱의 현황을 벤치마킹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써 Android, iOS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으나 낮은 인지도, 낮은 진입장벽, 업계의 빈약한 패션콘텐츠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시스템은 제휴기업의 콘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형태이므로 향후 패션 블로그, 카페 등과 연계홍보, 잡지와 같은 패션매거진과의 제휴 등으로 외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패션 뷰티 콘텐츠의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에 대한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Platforms Usage of Beauty Content with YouTube at the Center)

  • 위서현;정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7-137
    • /
    • 2021
  •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활용한 유튜브 뷰티 콘텐츠 채널이 양적, 질적 확장을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Statista를 통해 국내 및 해외 주요 뷰티 브랜드 및 패션지와 뷰티 인플루언서들을 대표하는 상위 5위의 채널을 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 뷰티 콘텐츠 생산자에 따른 동영상 플랫폼 활용 특성과 콘텐츠 성격 비교 및 매력적인 콘텐츠가 어떤 유형과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증가하는 뷰티 관련 콘텐츠를 위한 전략으로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상 중심의 유튜브 플랫폼의 성장은 제품 정보의 원천을 다양화시킴으로서 기존 광고의 수동적 소비자들을 생산자 혹은 새로운 전달자의 역할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산자에 따라 다른 성격의 콘텐츠가 소비됨에 따라 객관적인 저널리즘적인 시선보다는 생산자 중심의 콘텐츠가 제작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차별화되는 뷰티 콘텐츠를 위해서는 밀레니얼 세대에 효과적인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요소와 더불어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 및 연결을 강화시킬 수 있는 '브랜드 가치'의 전달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CLO 3D와 Vuforia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디지털 패션 콘텐츠 제작 (Production of Digital Fashion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CLO 3D and Vuforia)

  • 강태석;이동연;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1-29
    • /
    • 2020
  • 본 연구는 패션에 대한 첨단 시뮬레이션 기술로 가상 의류 시각화를 지원하는 3D 패션 디자인 소프트웨어인 CLO 3D와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모바일 플랫폼 증강현실 개발 도구인 vuforia를 활용하여 유니티 엔진 개발 환경에서 대화식 구조의 디지털 패션 콘텐츠 제작을 위한 공정을 정의한다. CLO 3D 소프트웨어를 통해 패턴, 재봉선, 텍스쳐 등의 작업을 거쳐 가상 의류 모델을 제작하는 방법과 유니티 엔진 개발 환경에서 vuforia 개발 도구의 기능과 속성 들을 활용하여 컴퓨터 비전 기술 기반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그리고 패션 디자이너, 디렉터 등 실무 사용자의 관점에서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증강현실 디지털 패션 콘텐츠를 정의한 제작 공정의 흐름으로 직접 제작함으로써 활용 방법을 제시한다.

업사이클을 통한 패션 주얼리 개발 방향 (A fashion Jeweley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Upcycle)

  • 최윤정;김동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7-318
    • /
    • 2012
  • 현대의 디자인 산업은 환경을 파괴하던 산업구조를 벗어나 에코디자인을 필두로 친환경적 디자인에 몰두 하여 업사이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다양한 산업과 함께 패션 장신구 산업도 친환경적 디자인을 적용, 업사이클 장신구를 개발해야 할 때이다. 이 논문은 다양한 측면에서 업사이클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례를 탐구하여 패션장신구 산업의 업사이클 방향을 제시한다.

  • PDF

SNS 기반 패션 콘텐츠 앱 설계 (Design of Fashion Contents Application based on SNS)

  • 강지훈;백상민;황소영;유동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58
    • /
    • 2013
  • 스마트 기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여러 성공 사례도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도메인 중 SNS와 결합한 패션 콘텐츠 앱의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앱은 기존 온라인 쇼핑몰의 통일되지 않은 치수 정보를 보완하고 SNS와의 결합을 통해 패션정보 공유 및 교류를 가능하도록 한다.

  • PDF

패션제품에서의 3D프린팅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Use of 3D Printing in Fashion Products)

  • 홍성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65-566
    • /
    • 2018
  • 3D프린팅으로 인한 제품 및 공정의 혁신은 비즈니스모델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3D프린팅은 제작시간절감, 정밀성향상, 소재개발 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통해 신산업을 이끌어갈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3D프린팅 기술이 활용된 패션제품의 사례를 탐구하여 각 제품유형별 특징을 고찰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구현과 고객만족을 위한 생산기술의 효율성에 3D프린팅의 기술을 활용도를 통해 패션산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스낵 컬처와 패스트 패션 (Snack Culture and Fast Fashion)

  • 윤을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12-627
    • /
    • 2016
  • 본 연구는 오늘날 현대인의 일상에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자리 잡은 스낵 컬처와 가성비 및 트렌드를 중시하는 소비패턴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패스트 패션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문화현상으로서의 스낵 컬처와 패스트 패션이 갖는 공통적인 속성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낵 컬처와 패스트 패션은 속도와 짧은 시간, 간편화로 대표되는 3S의 속성을 지닌다. 둘째, 스낵 컬처는 재미있고 다양한 콘텐츠로 사용자의 욕구에 집중하며, 패스트 패션은 다양한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한다. 셋째, 스낵 컬처는 IT기술을 근간으로 패스트 패션은 업무와 조직, 유통 체계의 기술적 혁신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넷째, 스낵 컬처는 개방과 공유를 통해 세계와 소통하며 하나의 맥락을 글로벌화 시키고, 패스트 패션은 매출확대와 규모의 성장을 통해 다국적 기업으로 글로벌화 되고 있다. 다섯째, 스낵 컬처는 다-대-다의 관계로 소통하는 속성을 기초로 소셜 캠페인을 통해 다중의 상호 작용을 극대화시켜 시너지효과를 발휘하며, 패스트 패션은 협업의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웹진의 효과적인 사이트 설계에 관한 연구 : 패션잡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Effective Sites for Web Fashion Magazines)

  • 이란주;신윤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63-18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 번 방문한 이용자들의 방문횟수를 계속해서 유지시켜줄 수 있는 패션잡지 사이트의 구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용자들이 사이트들을 쉽게 방문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홈페이지의 구성이 이용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느냐에 따라 많이 작용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운영중인 웹 패션잡지 7개를 선정하여 웹기반의 패션잡지의 이용 편리성을 콘텐츠, 디자인, 네비게이션, 서비스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40명의 10·20대 남녀 피험자들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서 7개의 웹 패션잡지를 탐색하게 한 후에 최종 이용자의 행태를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콘텐츠, 디자인, 네비게이션, 서비스 측면에서 제공할 수 있는 패션잡지의 효과적인 웹사이트 모형을 제안하였다.

국내 남성 패션 유튜버 및 패션 콘텐츠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ntents of Domestic Male Fashion YouTubers)

  • 홍윤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1호
    • /
    • pp.119-139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male fashion YouTubers and fashion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need to analyze various content demands and testes of male consumers in the fashion industry.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fashion expert evaluation, characteristic factors of fashion YouTubers were derived and the popular content of fashion YouTubers was classified by subject to analyze conte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YouTuber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en representative male fashion YouTubers were evaluated by fashion experts. Characteristics of male fashion contents in Korea were derived from attractiveness-friendliness, friendliness, professionalism-friendliness, and expertise. Contents of male fashion YouTubers were mainly composed of styling contents that could feed back daily looks, fashion-related information contents, and Vlogs. They mainly dealt with daily fashion coordination evaluation made by YouTubers. Based on the proportion of fashion information easily accessed by ordinary men through single fashion item's recommendations, shopping know-how or styling tip was mainly dealt with.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male fashion YouTubers according to the need to analyze various content demands and tastes of male consumers who have recently emerged as an important consumer group in the fashion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