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션 커뮤니케이션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특집 - 산업디자인 발전 및 경쟁력을 위한 우수디자인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15
    • /
    • pp.55-69
    • /
    • 2011
  • 우수디자인(GOOD DESIGN)은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 상품의 외관,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정된 상품에 GOOD DESIGN 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지난 1985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지식경제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굿 디자인은 우수한 디자인상품을 선정 장려함으로써 상품의 디자인개발을 촉진하고 독창적이고 우수한 상품디자인을 개발하여 상품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증대와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해 나가고 있다. 우수디자인(GOOD DESIGN)은 제품디자인, 포장디자인, 환경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소재표면처리디자인, 건축디자인 패션디자인, 패션디자인 등의 부문으로 나뉘어 선정, 시상하고 있다. 포장디자인의 경우 우리 생활에 사용 및 유통되는 모든 포장상품으로 환경보호 측면과 폐기물 처리과정, 재활용성 등을 고려한 포장의 기능과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을 중심으로 선정하고 있으며, 제과류, 화장품류, 의약품류, 주류, 음료, 농 축 수산물, 가전제품류, 생활용품류, 잡화 등 기타 유통 중인 상품을 대상으로 시상하고 있다. 매년 대통령상 1점을 포함해 국무총리상 2점, 대상(지식경제부장관상) 6점, 최우수상(조당청장상) 15점, 우수상(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 25점이 선정되며, 특별상으로 국민참여 선정 굿디자인 상품에 대한 시상식도 있다. 또한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지식경제부장관상을 수상한 상품의 주 디자이너 및 디자인팀을 대상으로 우수디자이너상도 시상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난 해 2010 우수디자인(GD)상품 455점 가운데 포장디자인 부분 수상작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The Effect of Consumers'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s (소비자의 온라인 패션몰 아바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신뢰가 아바타에 대한 성과기대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Ja Sung Goo;Chan Ho Kim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25 no.1
    • /
    • pp.97-113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nsumers'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 For the empirical study, 207 adults were survey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21.0. The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factor analysis of trust in communication with the avatar,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 revealed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as subfactors of the trust in communication with the avatar, while purchase choice expectations and performance expectancy were identified as subfactors of performance expectancy for the avatar. A total of five factors, including re-use intention, were recognized. Second, the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performance expectancy for the avatar. Among the subfactors, cognitive trust was determine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purchase choice expectations than affective trust. Third, the performance expectancy for the online fashion mall avatar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re-use intention. Notably, the subfactor performance expectancy had a greater influence than purchase choice expectations. Finally, trust in communication with online fashion mall avatar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re-use intention. Accordingly, the sub-factor cognitive trust had a greater influence on re-use intention than affective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they empirically tes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mmunication, performance expectancy, and re-use intention,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online fashion mall avatars on consumers using the Meta-UTAUT model in the fashion field.

Type of Mask Recognition in 20s (20대의 마스크 인식유형)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37-3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필수가 된 시대를 살고 있는 20대를 대상으로 하여 마스크에 대해서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그 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마스크를 사용하는가와 어떤 제품을 원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는 쿼넬 pc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마스크에 대한 인식유형은 3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마스크를 늘 착용하며 마스크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착용자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상시 착용 영향 중시형'이었다. 유형 2는 마스크를 세균을 막기 위해 착용하며 마스크가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는 '기능 중시 부정 인식형'이었다. 유형 3은 얼굴을 가리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 착용 시 사람이 젊어 보인다고 생각하는 '은폐 착용 긍정 이미지형'이었다. 본 연구는 20대만을 대상으로 하여 다른 연령대의 마스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마스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인식유형에 따른 마스크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PPL Communication Effects of Fashion Brands in the Korean Movie - Focus on Setting Types and Exposure Times - (국내 영화 속 패션 제품의 PPL 커뮤니케이션 효과 - 배치 유형과 노출 시간을 중심으로 -)

  • Shin, Su-Yun;Hong, Jung-Min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5 no.1 s.66
    • /
    • pp.13-24
    • /
    • 2007
  • This study measured the communication effect on the setting types and the exposure times to perform the effective PPL strategies. By the setting types(on-set and creative) and exposure times(short and long), 308 female older than 20 were divided into 4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s were exposed to the edited movies and required to answer the questionaire.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12.0 using Chi-Square,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ognitive dimension, the on-set type and long exposure group showed the higher recognition and recall. Second, in emotional dimension, the signig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one brand(Kappa) of two which were used in the experiment. In this case, the on-set type and long exposure group showe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brand. Third, in behavioral dimension,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implications based on th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implementing of PPL the fashion brands in movies, the on-set type and long exposure would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Second, implementing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linked to the PPL strategy can be more effective. In contrast to the other product categories, it is hard to recognize the brand of fashion goods if the logo or the brand name is not exposed directly. Therefore Combining other communication strategies such as press release simultaneously will birng the more effective result of PPL in the movie.

  • PDF

A Study on Luxury Br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ntemporary Art (현대미술 적용을 통한 럭셔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Lee, You Jung;Chung, Jae Yoon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24 no.1
    • /
    • pp.1-14
    • /
    • 2022
  • In the past 10 years, the luxury goods market growth has significantly outpaced other consumer goods categories. Its market value exceeded US $1.2 trillion globally in 2018. In response to this significant consumer demand, the product portfolio of luxury brands has been modified, as several products that previously were exclusive have now released lower-priced versions. This phenomenon is called new luxury. These new luxury products, however, have caused the democratization of the luxury that threatens the exclusivity of luxury brands. In this circumstance, luxury consumers are becoming disillusioned with the vulgarization of luxury goods and prefer exclusive luxury experiences. In order to keep pace with the changes in the luxury consumer needs and promote the brand image with a creative and luxurious connotation, luxury brands are increasingly associating with contemporary art through diverse channels. However, there is a lack of theoretical research investigating the main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applying contemporary art to luxury brands and attempting effective brand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key issues for luxury brands when applying contemporary art for effective brand communication. An in-depth case study with the luxury fashion brand, Louis Vuitton, was carried out to better understand contemporary art applications and obtain analytical insights. Through the research, key insight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setting a clear objective for art application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for both the art and the luxury brand, 2) sending harmonized and coherent messages from all perspectives by using a varie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channels, 3) providing a meaningful customer experienc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The Type of Consumer′s 8rand switching on Fashion Goods and Relationship of Fashion-Related Variables. (패션상품 소비자의 상표전환 유형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 김미경;이선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0 no.7
    • /
    • pp.181-19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that strengthens the brand royalty of their own in apparel industry and that can induce consumer's brand switching against competitive brand. This might be done by suggesting influencing factors on the brand switching for fashion goods.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Experimental study was done, using the survey to prove the models for consumers' responses to brand switching by the theoretical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wo preliminary questionnaires. It was used as a criterion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main survey and analyse the reliability. It analyzed at last five hundred ninety-two women in the age of twenty to thirty years odd who live in Seoul and the suburban of Seoul.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experimental study. First, brand switching behavior of consumers far formal dress was attributed to two extremes the inner motivation of variety seeking tendency and communication contact, complex variety seeking group, true variety seeking group, derived variety seeking group, and variety avoiding group. Second, the structure of low dimension related fashion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which affects brand switching, was composed to involvement in 5-dimension, information search in 3-dimen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ypes of brand switching in fashion goods can be classified by the variety seeking tendency. as inner motivation, and level of contact communication as a outside stimuli.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a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for brand switching related to variables of fashion.

  • PDF

When Fashion Brand Reveals a Secrete -A Fashion Brand's CSR Information Transparency and Consumer Evaluation- (패션 브랜드가 비밀을 밝힐 때 -패션 브랜드의 CSR 정보 투명성과 소비자 평가-)

  • Kim, Songmee;Park, Sunyang;Kim, Hayo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4 no.3
    • /
    • pp.385-399
    • /
    • 2020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 consistently discussed theme in many industries. Most corporations engage in CSR activities and now inform consumers in detail on what they have been doing for society. It has become a critical tool of consumer communication; however, little is known regarding the role of information transparency in the context of the fashion industry. This study discusses information transparency of fashion corporations which means revealing information regarding cost and garment making processes. The research proved that the higher consumers perceive a fashion brand's CSR performance (CSP), the more they think the provided CSR information is substantial; consequently, there is a favorable evaluation of the brand. The result provides insigh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SP perception, perceived information substantiality, and brand evalu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information substantiality. Moreov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information transparency appeared significant on the impact of CSP perception for brand evaluation via CSR information substantiality. The process model 7 was used as an analytical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transparency in the fashion industry context in the digital era.

진주지역의 재래시장 및 중소상가의 실태 분석

  • Jeong, Gi-Han;Gang, Seok-Jeong;Park, Gyeong-Gwo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6
    • /
    • pp.1-23
    • /
    • 2000
  • 오늘날 유통업을 둘러싼 시장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유통구조의 재편은 지역 재래시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양화, 개성화된 신소비행태의 확산, 개방화에 따른 상품고 유통시장의 국제화, 정부규제 완화, 지방화 시대의 도래, 정보화의 진전, 다양한 신업태 등장 등 지난 수십 년간 경험하지 옷한 새로운 환경의 도래는 유통업계 전체에 엄청난 변화를 강요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유통 환경속에서 자생적 경쟁력이 취약한 지역 재래시중 은 유통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침체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재래시장의 침체와 위축은 지역 영세상인의 생계문제와 진주지역의 경제에까지 영향올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지역의 재래시장이 직면해 있는 실태를 살펴보면, 첫째, 국내 유통시장 완전 개방9 따른 유통 산업구조의 변화와 극심한 경기침체 등의 경제환경의 변화,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에 따른 소비환경의 변화, 유통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따른 신업태의 출현함으로써 기존의 경쟁상권의 판도 변화에 대한 대응력의 부족올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둘째, 상인자본의 영세성으로 인한 시설의 불비와 낙후성, 공중 및 환경시설의 미비, 주차공간의 미확보 등 시장의 시설적 측면에서 문제점이다, 세째, 시장활성화에 대한 상인들의 자발적인 노려과 이의 실천을 위한 확고한 의지의 결여 및 서로 믿고 신뢰하는 시장문화의 부재, 그리고 시장기능의 악화에 대한 상인들의 깊이 있는 성찰과 인식이 부족한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넷째, 소비자들이 재래시장올 외면하는 가장 큰 이유는 '품질과 성능에서의 차별화 독자성'의 결여를 들 수 있겠다. 다섯째, 독창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부족이다. 동대문 시장이 상인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세계적인 의류패션의 메카를 일궈낸 것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about Game Character Fashion Design of Three East Asia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동아시아 3국(한중일)의 게임캐릭터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

  • Ha, Jun;Ryu, Seuc-Ho;Kyung, By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11-214
    • /
    • 2006
  • 현대인들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핸드폰이다. 핸드폰은 사람과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서의 기능만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의 핸드폰의 기능에 있어 멀티미디어화 되어가고 있다. 음악을 듣고 사진도 찍고 게임도 한다. 2005년 1월 조사에 따르면 이동통신3사의 가입자의 수가 전체 인구 중 3,600만 명이었으나 2006년 1월 조사에 216만 명이 증가한 3,816명으로 나타났다. 핸드폰의 기능 중에 청소년들의 가장 선호하는 것이 모바일게임이다. 모바일게임은 핸드폰의 작은 액정 속에서 어디서나 쉽고 간단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점에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에 전용 모바일 게임 폰이 나왔을 정도이다. 플렛폼의 통합으로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모바일게임 캐릭터는 대부분이 2등신 이다. 화면의 뷰(view)가 작기 때문에 4등신 이상으로 했을 때에 캐릭터의 감정표현이나 동작 표현에 있어 표현이 안 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기 때문에 모바일 캐릭터의 표현이 2등신의 캐릭터로 많이 사용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캐릭터의 디자인요소인 캐릭터의 소재, 형태, 액세서리 동작의 프레임에 있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SNS-based 'cinnan' Site Development Incorporating Marketing Element (마케팅요소를 접목한 SNS기반 '신난'사이트 개발)

  • Park, Jin-Ju;Bea, Cho-Rong;Lee, So-Jeong;Ha, Y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71-17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의 관심사를 충족시킬 주제로, 소셜 네트워크(SNS)를 활성화 하여 다자간의 대화를 통한 비즈니스 마케팅을 유도하며 기존의 블로그 형식의 커뮤니티와 쇼핑몰의 형태를 결합한 신개념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구현한다. 소셜 네트워크를 활성화 시키고, 패션이라는 주제로 사람들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아이템을 선정. 각자의 특성이 담긴 "아바타"를 제작, 본 논문 내에서 각자가 특성이 담긴 패셔니스타가 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실제 의류, 소품과 제법 유사하게 만든 이미지를 나와의 신체 비율이 비슷한 아바타에 직접 피팅을 시킬 수 있으며 자신이 직접 입어보지 않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다자간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킹도 활성화 될 뿐더러 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구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