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예술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5초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패션 디자인에 나타나는 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 (The Pursuit of Individual Freedom in Rudi Gernreich's Fashion Designs)

  • Lee, So-Young
    • 복식
    • /
    • 제38권
    • /
    • pp.123-142
    • /
    • 1998
  • 본 논문에서 패션 디자인(fashion design)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제시해 보려하였다. 즉 패션 디자이너의 디자인에 대한 철학을 이해함으로서 패션에 대한 근복적인 면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갖도록 하는 접근 방식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대상은 디자이너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 : 1922-1985)와 그의 작품들인데, 그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급진적인 성향 뒤에 숨어 있는 그의 디자인 철학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작품과 철학의 상관관계를 조명하려는 것이 그 주된 목적이다. 기존의 그에 대한 평가는‘파격적 패션’,‘소설 스테이트먼트(Social Statement)’,또는‘시각적 창출’등의 표현으로 극히 피상적인 것이었다. 반면에 그가 어떠한 경로로 이러한 디자인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또는 그가 현대의상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였다. 본 논문의 초점은 건라이의 패션 디자인을 그가 중요한 가치로 믿고 있었던‘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의 반영으로써 재 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이것의 입증을 위해서 그의 디자인들을 역사적, 사회적 그리고 미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그의 디자인 철학을 도출하기 위해 그의 개인적 배경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하였고, 그의 디자인과 관련된 자료와, 현존하는 작품들과 그에 따른 참고문헌들에 대한 분석 조사 작업을 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필자는 건라이의 작품들을 세 개의 주된 주제들, 즉,‘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유니섹스 모드(Unisexs Mode)’, 그리고‘옵 아트 패션(Op-art Fashion)’으로 구분하였다.‘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과‘유니섹스 모드(Unisex Mode)’는 60년대 중반에서 70ssu대 초반에 출현한 유스 컬츄어(Youth Culture)에 부합하는 그이 디자인의 반영으로써 성의 혁명, 여성 인권운동과 동성애자 인권 운동과 같은 사회이슈들과 그의 디자인이 갖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옵-아트 패션(Op-art fashion)’은 건라이 디자인의 미학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인체와 옵-아트 원리의 관계를 조명해 보고, 건라이가 옵-아트와의 연계하에 그의 디자인을 어느만큼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각 주체들은 건라이 작품들의 개별적인 분석을 통해 논하였다. 본 논문은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건라이의 디자인에 대한 재 평가로 결론을 지었다. 이러한 재평가 작업을 통해 패션 디자인계에 미친 그의 공헌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대 패션에 그의 영향이 계속 미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려 하였다.

  • PDF

버추얼 인플루언서 릴 미켈라의 소셜미디어에 반영된 패션의 의미 (The Meanings of Fashion on the Social Media of Virtual Influencer Lil Miquela)

  • 이세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23-333
    • /
    • 2021
  • 2016년 소셜미디어에 등장한 릴 미켈라는 오늘날 점차 주목받는 버추얼 인플루언서들 중 가장 알려진 존재이다. 특히 미켈라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많은 패션 브랜드들과 실제적 협업을 이어가면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버추얼 인플루언서들의 활약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미켈라의 소셜미디어 사례 탐색을 통해 현대 패션이 지향하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미켈라의 인스타그램 내 스틸컷 이미지, 비디오 이미지, 미켈라의 설명, 댓글 등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시도한 결과 미켈라의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패션을 표현하는 방식 및 장치는 스토리텔링, 리얼리티, 태그와 하이퍼링크 등 세 가지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경험의 대상, 테크놀로지의 지향, 시대정신의 구현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패션이 갖는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소셜미디어에서 등장한 이후 점차 더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는 미켈라는 패션을 통해 정체성을 구축한 버추얼 패션 인플루언서이며 앞으로 패션에 보다 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술ㆍ문화계 아티스트와 함께 아파트를 만들다

  • 하유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7호
    • /
    • pp.56-59
    • /
    • 2006
  • 이제 아파트도 보기 좋게 짓기만 하면 팔리는 시대가 아니다. 최근 건설업체들은 다른 기업과 차별화된 문화 코드를 접목해 소비자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마케팅을 선보이고 있다. 아파트 건설에 패션 디자이너, 매스미디어 아티스트 등을 참여시키거나 입주민들을 위한 뮤지컬과 록 공연을 하는 등 문화 행상을 개최하는 건설업계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 PDF

건축과 문화의 조우

  • 이기원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5호
    • /
    • pp.82-85
    • /
    • 2007
  • 길을 걷다 발길을 멈출 때가 있다. 향긋한 여인네의 향취나 포르쉐의 매끈한 보디라인 때문이 아니다. 낯설고도 새롭게 느껴지는 건축물 때문이다. 그 옛날 동굴에서 거푸집으로, 또는 벽돌집에서 미끈한 콘크리트 건물로, 다시 거대한 글래스 타워까지 건축의 역사는 인류의 발전 과정과 톱니바퀴처럼 맞물려오지 않았나. 예술과 철학, 패션과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성장해온 건축은 시대를 반영하고, 때로는 그 시대의 문화를 이끌기도 한다.

  • PDF

미셸 페로 엮음 "여성의 역사4 : 페미니즘의 등장"을 읽고

  • 박진숙
    • 출판저널
    • /
    • 통권242호
    • /
    • pp.13-13
    • /
    • 1998
  • 이 책은 의상과 패션에서붜 문학.예술.법률.종교.철학 등 인간사의 모든 부문에 걸쳐 '여성의 정체성과 타자성'을 추적.탐구하여 여성의 다양한 목소리를 그대로 살려내고자 한다. 책을 읽으며 우리는 전혀 새로운 눈으로 기존의 철학자.혁명가.예술가를 바라보는 경이로운 체험을 하게 된다.

  • PDF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에 관한 연구 - 마린 세르(Marine Serre)를 중심으로 - (A Study of Upcycling Fashion Design from a Sustainable Perspective - Focusing on Marine Serre -)

  • 엄유민;오경화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44
    • /
    • 2023
  • From a sustainability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fashion design by Marine Serre were analysed to understand upcycling fashion design, which can be an important way to follow sustainability value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o provide solutions for moving towards sustainable fashion. In order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fashion design from a sustainability perspective, the values of sustainable desig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cycling design were derived though the analysis of Marine Serre's seasonal collections from the 2018 F/W season to the recent 2022 F/W season.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lue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could be classified into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alues. Second, Marine Serre's upcycling fashion design was driven by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upcycling fashion design, such as environmentality, originality, variability, economy, handicraft, time, and availability. Third, Marine Serre's upcycling fashion design contained all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values. From a sustainability perspective, Marine Serre's upcycling fashion design can be said to be an upcycling fashion design with convergent values that encompasses all of the sustainability core values of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패션, 예술, 산업의 협업사례 고찰 (Collaborations in Fashion and Arts Across Industry Disciplines)

  • 박경애;김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52-1163
    • /
    • 2009
  •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that appeal to consumer emotions are important as shown by a variety of product and service industries that integrate fashion and arts into product design and marketing through collabor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atterns in the collaborations of fashion and arts across industry disciplines. A total of 278 collaboration cases reported in news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internet databases. Cases were categorized into 5 disciplines of fashion-fashion, arts-arts, fashion-arts, fashion-other industries, and arts-other industries, with each category analyzed in frequency distribution and collaboration type along with related partner and industry characteristics. Collaborations with other industries were observed more than internal ones, and individuals (rather than firms) were more involved in collaborations. Though the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y partner category and sub-category, by individual or firm, and by related industries, a variety of collaborations integrating fashion and arts into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a new brand launching, product line extension, and co-marketing were observed across product and industry disciplines. The study also described fashion and arts that were integrated into consumer life styles.

예술조형에 따른 여성 구두디자인의 현대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Modern Character of Women's Shoes Design According to the Formative Arts)

  • 이영재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5호
    • /
    • pp.13-2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some methods to provide women's shoes and their design images from the 1920s to the 1940s, and to benefit from the new methods for creative design and new materials in the future. It also examined the features with the academic background of women's shoes. To target on analysis items and shoes design factors, moreover, it made reference to the paper by former research. As a result, 28 shoes (30.04%) in the 1920s, 47 shoes(51.09%) in the 1930s, and 17 shoes (18.47%) in the 1940s have been collected. The strap shoes, combination color, bright texture, and buckle trimmings are first on the list. The most popular shoes were pumps and strap, in terms of design and shape. In particular, black was one of the common and popular colors. Most of the shoes had buckles. Texture also was brilliant. This study was meaningful to provide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about a variety of women's shoes designs from the 1920s to the 1930s.

현대 패션 쇼윈도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현대 예술의 특성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mporary Fashion Show Window Display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 김나윤;전재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89-798
    • /
    • 2015
  • This research analyzes trends of fashion show window displays, regarding it as a new form of installation art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Fashion show window displays are more than a physical space for displaying and have emerged as a new space in which creative expressions of arts take place. This research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show window display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First, recent show window displays have shown "decentralization": various themes, forms, and mediums that are accepted without discrimination. Recent show window displays deviate from conventional methods, constantly pursuing experimental and progressive ideas and also include categories of current art, body art, and live art. Second, show window display has "interactiveness" tha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udiences and art, rather than fixing audiences as receptive viewers. Third, "textuality" can be found in show window displays. Recent show windows are use "objects" to show products as well as to express the meaning and symbols of products. A new directionality and effective strategies are shown to be imperativ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fashion show window displ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