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분야 연구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1초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전통 떡살문양을 중심으로-

  • 배천범;하승연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3-84
    • /
    • 2003
  • 오늘날 한국 패션산업은 개화기 이후 우리의 복식 생활 자체가 서양화되면서 외국 문물의 무분별한 도입과 함께 단절되었던 전통성을 복원하여 현대의 시점에서 재창조 해야한다는 당위성을 안고 있다. 이에 현대에는 주체의식을 가지고 전통요소를 응용한 디자인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으나, 현대 복식의 한 분야인 웨딩드레스에서는 이러한 시도가 이제 시작되는 단계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중략)

  • PDF

창의력 개발을 위한 패션디자인 교육 방안 연구 -직관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shion Design Pedagog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With Emphasis on Intuition-)

  • 이봉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7-496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21세기의 패션디자인 교육 활성화를 위한 창의력 개발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는 창의력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고 구성요소들의 인지적이고 교육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구체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창의력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문제해결 능력이며, 이 문제해결 능력의 배양 방법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결과를 종합했다. 특히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서 창의력 문제해결 원칙이 어떤 식으로 적용되는지를 살펴보고 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그간 다른 연구에서는 널리 연구되지 않았던 창의력에서의 직관력(intuition)의 역할과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창의력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통찰력(insight)이고 직관력이 통찰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제안했다. 또한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서의 창의력의 발달단계는 직관력의 발달단계와 일관성이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관력의 발달과 문제해결 방안을 통한 창의력 개발 방안의 후속연구를 통해 실제 수업 모형 개발 및 연구를 제안한다.

미국 패션전문 일간지 WWD에 드러난 한국 패션산업에 대한 인식 (How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s Viewed by WWD USA)

  • 이유리;;;최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915-1926
    • /
    • 2008
  • 국가와 산업의 이미지가 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그러한 영향력의 경로가 되는 매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미국의 대중매체에 드러난 한국의 패션산업 이미지가 한국의 패션제품을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본 가정하에, 한국 패션산업의 어떤 측면이 독자들에게 부각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미국의 명성 있는 패션전문 일간지인 WWD(Women's Wear Daily)를 선택하여 한국 패션산업과 관련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1998년 1월 1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 게재된 기사 중 "Korean" 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를 우선적으로 검색하고 패션분야와 관련된 기사 총 329개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섬유공급망 관리 상의 역할별로 분석 범주를 설정하고, 한국 패션산업이 공급망 상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로 부각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그 결과, 한국의 패션산업은 섬유와 원단공급업자, 혹은 의류제조업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역사적으로 한국이 미국의 패션산업의 주요 소싱국가였던 이력을 반영하는 결과이다. 디자인, 브랜딩, 마케팅, 소매유통업을 담당하는 역할자로서 한국 패션산업을 바라보는 관점은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또한, 한국 패션산업은 패션에 관심이 많고 세계의 유명 고가 브랜드 제품을 소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높게 인식되고 있는 반면 한국 패션산업은 거시 경제의 환경 변화에 따라 경기변동을 펴는 취약점이 있음이 부각되기도 하였다.

한국 패션디자인·미학 분야의 연구동향 - 「복식」(2001~2010)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the Research Trends of Fashion Design·Aesthetic Field in Korea - Focus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001~2010) -)

  • 최해주
    • 복식
    • /
    • 제62권3호
    • /
    • pp.152-16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f subject matter in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in clothing and textiles and to suggest the information for the future directions for fashion business and research. 1089 articles with clothing and textiles subject matter, 523 articles with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from 2001 through 2010 were analyzed.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1.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took absolute majority in the researches of the clothing and textile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in the 2000s. 2.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showed more proportions in the latter half of the decade. 3. History of costume, fashion marketing field were followed. Textiles science field took extremely little proportion. 4. In fashion design aesthetic field, topic of fashion design elements and types took absolute majority. 5. Fashion aesthetics, fashion design development, makeup hair style topics were followed.

패션모델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Fashion Model's)

  • 양의식;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01-114
    • /
    • 2008
  • 이 연구는 한국의 패션모델이 직업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 영역에 따라 구체적인 직무항목을 체계화하여 분류함으로써 패션모델들에게 요구되는 직무의 영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패션모델산업의 각 분야와 한국 내 대학에서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패션모델들을 대상으로 데이컴(DACUM)법을 이용하여 패션모델의 직무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패션모델의 직무는 7가지 임무에 따른 86가지의 과업이 분석되었으며, 패션모델이 입직초기에 수행해야할 직무가 32가지 과업(37.21%)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과업은 대학을 졸업하기 전까지의 교육과정에서 익혀야할 과업이다. 분석된 결과에서 직무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한 결과 중요도가 높은 직무는 56가지(53.49%), 난이도가 높은 직무는 21가지(24.41%), 수행빈도가 높은 직무는 18가지(20.93%)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요도와 난이도가 모두 높은 직무는 16가지(18.6%), 중요도와 난이도 및 수행빈도가 모두 높은 직무는 7가지(8.14%)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패션모델 입직 전의 대학교육과정과 현직 패션모델을 대상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구성에 본 직무분석 결과를 적극 반영함으로써 패션모델의 직무능력을 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패션연구 및 패션디자인·미학·복식사 분야 관련 연구동향 - 2004~2013년 및 <복식문화연구>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trends of fashion studies and fashion design·aesthetics·fashion history field - Focused on 2004~2013 and -)

  • 한수연;김영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4호
    • /
    • pp.579-594
    • /
    • 2014
  • The areas of fashion research and fashion design aesthetics & fashion history have been studied under a common research heading as a Humanities subject in the UK and the USA, and as Clothing and Textiles Stud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2004~2013 research tendencies in terms of reporting methods and contents from 181 world-renowned Fashion Theory research papers within the UK and USA fashion research corpus, and 359 Korean research papers from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related to fashion design aesthetics & costume history field. The subject areas, periods, methodologies, and differences in the topics of the studi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research authorship and length of the research papers, in Fashion Theory most papers were written by a single English-speaking or other foreign language-speaking author and were on average longer than 21 pages, while in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many papers were jointly written by two Korean researchers and were between 11 and 20 pages. Regarding the content, Fashion Theory was connected to relatively wide and diverse periodical and regional boundaries including the body, clothing, the fashion media, and the overall fashion system, while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revolved around the body and clothing, textiles, the fashion media, and costumes. In addition,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 studies appeared to be related to the current Western world overall or to the country of the author.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ology, Fashion Theory used divers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ologies, and research was conducted on topics relating to fashion culture or fashion aesthetics.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featured relatively more dynamic studies aimed at suggesting developments or solutions to problems. It was found that a large share of that research focused on detailed style analyses and suggestions for aspects such as design elements and design developments. Such differences are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inherent differences between the academic departments for the Humanities, and the Human Ecology.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in setting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o assist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research.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Fash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 Cha, Su-J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05-117
    • /
    • 2022
  • 본 연구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환경오염과 패션산업의 관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그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산업이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패션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개로 분석되었다. 제1유형은 의류를 생산하는 과정과 소비하는 과정이 환경오염을 유발한다고 인식하지만, 패스트패션을 선호하고 트렌드를 중시하는 유형이었다. 제2유형은 패션산업이 공기와 수질을 오염시킨다고 생각하며, 가격이 비싸다면 리사이클링 의류를 구매하지는 않는 유형이었다. 제3유형은 패션산업이 환경오염의 주범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옷을 구매하면 오래 착용함으로써 환경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제4유형은 환경을 먼저 고려하고 헌 옷을 구매하고 옷을 바꿔 입는 등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이었다. 환경의 중요성이 커진 만큼 패션 분야에서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의복구성학과 패션마케팅 분야의 중국패션시장 연구경향 분석 -1998~2010년 학회지를 중심으로-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the Chinese Fashion Market in Clothing, Construction and Merchandising -Based on secondary research of Korean Journals from 1998 through 2010-)

  • 박은주;강은미;유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9-14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orean research trends of Chinese fashion market for clothing construction and merchandising. The data for this study consists of 118 researches published in six Korean journals from 1998 to 20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clothing construction, the most studied topic was body type, and for merchandis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mostly researched. 2)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researches by multiple authors. 3) For clothing construction, they tended to be studied by the experimentation model and for merchandising, the questionnaire and survey were mostly used in researches. 4) Most researches used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sis. 5) And the data were mostly gathered from Chinese women. These findings provide significant insights into current trends and further studies in Chinese market.

C2C 전자상거래 구매시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패션 제품을 중심으로-

  • 김향미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동계 세미나 및 논문 디자인 콘테스트 시상 수상작품 전시회
    • /
    • pp.76-91
    • /
    • 2003
  • 인터넷의 확산과 정보 기술의 발전이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정치, 경제, 사회와 같은 분야 이외에도 그 범위가 날이 갈수록 넓어지고 있으며, 그 범위를 한정짓기 어려울 정도에 이르렀다. 특히 인터넷의 확산은 거래라는 개념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전의 농업혁명,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 거래는 시장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환활동은 교환에 참여하는 주체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이루어져왔다. (중략)

  • PDF

의류학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에 대한 연구 -의류학과 교수의견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Current and Future directions for Clothing and Textiles)

  • 신상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87-198
    • /
    • 1995
  • 간학문적 특성이 강한 의류학은 최근 급변하는 사회환경 즉, 학생들의 전문적 경험에 대한 요구, 패션업계와의 유기적 상호관계, 컴퓨터 등 과학기술의 발달, 사회의전문화, 세분화, 정보화, 세계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의류학 졸업생들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의류학의 방향을 모색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 의류학의 목표는 무엇이며 현재 강조되고 있는 분야와 교과목 및 취업기회는 어떠한지, 그리고 미래에 의류학이 당면할 수 있는 문제들은 무엇인지, 2) 프로그램이 어떻게 바뀌어졌으며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되어 갈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전국 43개 4년제 대학의 의류학 관련 교수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녀 회수된 58부(53% 회수율)를 SAS로 통계처리하여 Likert's method of summated rating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의류학의 목표가 가정중심의 복지 향상(M=2.5, SD=1.0)에서 의류학 분야의 전문인을 양성(M=4.8, SD=0.4)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디자인 분야(M=4.8, SD=0.5)와 구성분야 (M+4.5, SD=0.7)가 풍부한 교과목과 함께 강조되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의 취업성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이 많이 증설되었으며 (특히 디자인분야) 실험실습시간이 증가되고 인접학문 교과목과 현장실습경험이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의류학의 발전을 위해 전문적 이미지 제고와 함께 졸업생의 취업기획의 증가, 의류산업체와의 인턴제도를 통한 산학협동, 그리고 컴퓨터 활용 증대 등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