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디자이너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31초

20세기 중·후반 한국패션 고찰 - 제1세대 한국 패션디자이너 노라노(노명자)를 중심으로 - (An Observation on Mid to Late Twentieth Century Korean Fashion - Focus on First Generation Korean Fashion Designer, Nora Noh -)

  • 박신미
    • 복식
    • /
    • 제64권4호
    • /
    • pp.52-7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the historical features of mid-to-late twentieth century Korean fashion with a focus on 'Nora Noh', who is a first generation Korean fashion designer. The specific ques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how did mid-to-late twentieth century Korean fashion and the Nora Noh brand develop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hat are the important features of Korean women's fashion design in the mid-to-late twentieth century?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exhibited in each decade in Korean women's fashion and Nora Noh's fashion? This paper conducted the research by focusing on the Korean fashion development as a background of simplification in the way of dressing and specific historical incident. Researchers de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roviding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by analyzing content as well as eleven oral statement interviews and the case study of Nora Noh. The result shows that Nora Noh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fashion designers who led fashion trend and system in Korea. The designer also influenced Korean commercial fashion in the 1970s and American fashion trends in the 1980s.

패션디자이너의 창의성 분석 모형 개발 - 칙센트미하이와 가드너의 관점을 중심으로 - (Analytic Model Development for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 Centered on Perspectives of M. Csikszentimihalyi & H. Gardener -)

  • 이민선;김민자
    • 복식
    • /
    • 제65권4호
    • /
    • pp.137-153
    • /
    • 2015
  •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an analytic model for examining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This research developed the analytic model of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adding the specificity of the fashion area to The Systems Model of Creativity by Csikszentmihalyi & Gardener. The analytic model of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is composed of 3 elements: the fashion designer, the fashion domain and the fashion field. The detail factors to be examined by each of the elements are as follows. In the dimension of an individual fashion designer, detail factors influencing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contain cognitive and non-cognitive abilities (i.e: personality traits, erotic capital)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i.e: family condition, sexual identity, marital status, health). In the dimension of the fashion domain, creativity factors are composed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paradigms. In the dimension of the fashion field, detail factors refer to a mentor, supporter, competitor and a follower.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manifests itself when detail factors of an individual fashion designer, fashion domain and field interact with each other dynamically.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패션 분석 기술 (Fashion analysi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송혁;고민수;유지상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73-674
    • /
    • 2020
  • 의식주 중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외부와의 교류를 할 수 있는 분야는 패션분야로서 인간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람들의 개인화된 성향 변화 및 인터넷 환경의 개선으로 트렌드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단순히 객체의 검출 및 분류에서 벗어나 패션 아이템의 분석 및 세부적인 속성을 분석할 수 있는 수준에 다다랐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패션 트렌드의 빠른 변화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이를 활용한 플랫폼에 기반을 두어 디자이너에게는 디자인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개인화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 패션 분석 기술 개발을 위하여 패션 검출 모듈, 패션 검색 모듈, 패션 검색을 위한 벡터 검색 모듈, 상하의 분리를 위한 세그먼테이션 모듈, 패션 복종 분류 모듈을 개발하여 통합하였으며 패션 검색 정확도는 Top-5 기준 75.28%, 벡터 검색 속도는 벡터당 0.002m sec 이하, 세그먼테이션 추출 정확도 87.6%이상, 패션 검출 결과 IoU 0.5 환경에서 96.2%, 복종분석 90.54%의 성능을 보였다.

  • PDF

동대문드림과 한국형 패션쇼핑몰의 개발제안

  • 김성수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1999년도 공동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9-214
    • /
    • 1999
  • 현대화된 새로운 개념의 패션쇼핑몰(Fashion Shopping Mall)이 동대문 시장을 중심으로 속속 개발되면서 국내 유통시장의 큰 변화와 함께 동대문 드림의 신화를 탄생시켰다. 특히 '98. 8. 밀리오레와 '99. 2. 두산타워의 등장은 도,소매가 혼재된 젊음의 패션특구로 신세대의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어 기존 백화점과 의류 군집상가 등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고 있다. 동대문의 재래의류시장 재개발(redevelopment) 붐은 동대문 상권을 도매기능은 동부의 디자이너 클럽, 팀 204 등이 주도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 널리 알려진 서부의 소매상권은 밀리오레, 두산타워, 프레야타운이 함께 트리오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중략)

  • PDF

CAD 시스템을 이용한 텍스타일 design과 패션 desig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xtile-Design and Fashion-Design through the CAD system)

  • 양리나;최나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25-236
    • /
    • 1996
  • 본 연구는 텍스타일 디자인의 세 가지 분야인, 직조 디자인, 날염 디자인, 그리고 니트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았고, 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들 텍스타일 디자인을 도식화 및 패션 디자인에 입혀봄으로써 텍스타일 디자인에 어울리는 패션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과 패션 디자인을 연결시키는 작업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D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조 디자인, 날염 디자인, 그리고 니트디자인 등을 디자이너가 머릿속에 그리는 이미지를 몇 번이고 쉽고 빠르게 구체화시켜 창작할 수 있었다.2. T셔츠 도식화에 이들 CAD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창작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입혀보았다.3. 창작한 직조 디자인은 여성 의류에, 날염 디자인은 아동복에 그리고 니트 디자인은 남성 복의 스웨터에 각각 입혀 보았다.이들 작업 과정을 통하여 CAD 시스템이 실무 디자이너들에게 얼마나 효율적인지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패션 디자인에 날염, 직조, 그리고 니트 디자인 등이 어울리는지를 모니터 상에서 알아봄으로써 실제 쌤플 제작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2. 모니터 상에서 다양한 other color작업과 소재, 패턴 개발이 가능하고 제품 방향에 대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므로 다품종 소량 체제를 갖출 수 있다.3. 제품이나 쌤플 제작 이전에 바이어들의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으며, 바이어의 의향을 최대로 반영한 디자인을 즉석에서 구현시킬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제품의 주문을 받을 수 있다.4. 디자인 정보를 매년마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다시 활용할 수도 있음으로 정보를 얻기 위한 시간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5. 디자이너와 하청 업체간의 업무 간소화로 디자이너들이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을 하는데 효과적일 뿐 아니라, 외주 용역비, 교통비등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 PDF

국내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개성 구성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Korean Fashion Designer Brand Individuality Factors)

  • 어경진;하지수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05-715
    • /
    • 2020
  •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of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tandardized design process; however, the values of differentiated brand individuality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with the qualitative·quantitative growth of designer brands. Therefore, paying attention to designer individuality (or a differentiated element of a designer brand growing up in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this study reestablished factors of the designer brand individualit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3 designers and consumers for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concepts of designer individuality based on the theory of the brand personality by Aaker along with precedent studies, the study devised a theoretical frame to explain a conceptual structure of designer brand individuality as well as reestablish its factors as the designer individuality, design and non-design factors through empirical research. Empirical research derived the designer individuality factors as an external designer image, designer taste, design philosophy and designer personality. Design factors were derived as concept, working process and method, style and formativeness. Non-design factors were also extracted as wearing experience, wearer image, lookbook image, fashion shows and exhibitions. It is meaningful that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domestic fashion designers who actually run designer brands and that this study helped understand designer brands through a new approach called designer individuality.

Very Rashid!

  • 유소라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1호
    • /
    • pp.36-37
    • /
    • 2006
  • 인테리어, 가구, 코스메틱 패키지, 레스토랑, 호텔, 하나로 묶을 수 없는 이 분야의 나열은 산업 디자이너 카림 라시드(Karim Rashid)의 경력을 말해주는 단어들이다. 그리고 여기에 최근 추가된 단어가 있으니 그것은 바로 패션, 그가 수영복 전문 브랜드 아레나(Arena)와 손잡고 스포츠 웨어 라인을 선보였다.

  • PDF

포스트모던 사회와 패션에 표현된 옵아트

  • 이민선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8-68
    • /
    • 2004
  • 예술사에서 옵아트는 화가와 151평가 사이에서 냉담한 반응을 받은 분야였다. 그러나 옵아트는 여러 분야의 디자이너들에 의해 다양한 제품 디자인에 응용되었고, 특유의 주목성과 친화성으로 인해 생활 속에 스며들게 되었다. (중략)

  • PDF

IPA 분석을 통한 패션 소상공인 디자이너 브랜드를 위한 패션테크 개발 우선순위 도출 (Study on the Priorities of Fashi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Small-Scale Fashion Designer Brands using IPA Analysis)

  • 장세윤;이유리;김하연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4호
    • /
    • pp.64-82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shion technologies for small-scale designer brands and reveal the priorities of the derived fashion technologie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wners of 15 designer brands to explore fashion technologies needed in the field based on the business operation stage (study 1), and an online survey of owners of 61 designer brands was conducted to verify their priorities (study 2). A total of 12 fashion technologies were derived from study 1, including 2 market analysis stages, 6 season planning stages, and 4 product operation stages. In study 2,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with 12 fashion techniques derived from study 1,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performed. The technologies of product management with image tagging and sales channel matching were considered to be the fashion technologies that should be developed first. Second, in the case of maintenance, demand prediction and price determination were applicable. Third, over-effort avoidance was revealed through market analysis and design generation. Finally, in automatic product detail page creation and digital marketing, development was the lowest prio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nsight into priority areas for fashion technology developers and policy departments providing emerging brand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