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션이미지

Search Result 68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ep learning-based clothing attribute classification using fashion image data (패션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의류속성 분류)

  • Hye Seon Jeong;So Young Lee;Choong Kwon Lee
    • Smart Media Journal
    • /
    • v.13 no.4
    • /
    • pp.57-64
    • /
    • 2024
  • Attributes such as material, color, and fit in fashion images are important factors for consumers to purchase clothing. However, the process of classifying clothing attributes requires a large amount of manpower and is inconsistent because it relies on the subjective judgment of human operators. To alleviat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utilizes artificial intelligence to classify clothing attributes in fashion image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classifying clothing attributes for either tops or bottoms,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attributes of both tops and bottoms cannot be identified simultaneously in the case of full-body fashion imag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ep learning model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tops and bottoms in fashion images and classify the category of each item and the attributes of the clothing material. The deep learning models ResNet and EfficientNet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 dataset used for training was 1,002,718 fashion images and 125 labels including clothing categories and material properties. Based on the weighted F1-Score, ResNet is 0.800 and EfficientNet is 0.781, with ResNet showing better performance.

A Study on Image Preferences of Fashion Product According to Life-Style Groups -Focused on Middle-Aged Women between 35 and 59 Years Old-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패션 제품의 이미지 선호도(제 1보) -35$\sim$59세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 Shim, Jung-Hee;Ywoun, Myeong-Heum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1 s.69
    • /
    • pp.143-15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shion product image evaluation according to life-style groups of middle-aged women.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was 352 middle-aged women from 35 to 59 living in Daegu by random sampling method in April and May, 2005.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by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osed of 3 sections: Fashion product image measure, Life style research and demographic variables(age,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monthly clothing allowance, monthly income). The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data wer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fashion product image, the four factors including noble image, bold image, practical image, female image were extracted. 2. Middle-aged women were classified into four life-style groups including tradition oriented group, negative oriented group, activity oriented group and appearance oriented group. 3.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shion product image preferences according to life-style groups were found. Tradition oriented group preferred noble image and practical image. Negative oriented group tended to pursue practical image. Activity oriented group pursued a bold image. Appearance oriented group liked a noble image the best and then noble image, bold image in order.

  • PDF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김신우;금기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2 no.1
    • /
    • pp.53-67
    • /
    • 2002
  • 자연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적 패턴은 이미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본형이기 때문에 간결하며 시각적으로 명쾌감을 준다. 이러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 디자인에 있어서 20 세기 이후 여러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형성화하여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식의 문양, 실루엣, 디테일에 사용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을 연구함으로써 기하학적 패턴의 새로운 조형가치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하학의 용어 정의를 하였고 기하학적 패턴의 유형과 표현 기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의 조형미와 그것을 바탕으로 패션 이미지를 추론해 보았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 패턴을 분석해 보면 유형으로는 첫째, 기하하적 문양으로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주로 평면적인 형태로 많이 나타나지만, 크기가 다르고 동일한 기하학적 패턴을 조합시킴으로서 평면적인 형태에 공간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같은 기하학적 패턴의 표면이라도 배치구조에 의해 직선 혹은 사선으로 지각되므로 전혀 다른 이미지를 주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이 종류는 세로 스트라이프, 가로 스트라이프, 격자 문양, 원, 사선 스트라이프,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등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색채는 단색의 복식에 강한 대비가 이루어지는 색상으로 표현되어 역동감과 유연한 운동감을 나타났다. 셋째, 기하학적 실루엣으로 단순한 라인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입체적이고 부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실루엣으로 사용되어 강한 조형감각을 보여주는데 원형을 이용한 실루엣이 가장 많았으며 사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삼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학적인 디테일로 복식의 어느 한 부분에 장식적으로 사용되거나 입체적 형태로 부출 되어 부조적인 느낌을 주는데 소매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앞여밈, 칼라, 밑단, 주머니 순서로 장식되었다. 다섯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의 표현기법으로는 프린팅, 퀼팅, piece기법, 패치워크, 엮기, 꼴라쥬, 아플리케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기하학 패턴을 활용한 디자인에 내재된 조형의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기하학적 패턴이 지닌 단순성과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브릭을 조합시켜 입체적인 표면효과로 시각적인 착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표현기법은 입체파적 표현주의의 특성의 하나로 복시에 사용되는 소재의 왜곡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롭고 실험적인 소재의 도입으로 인해 의외성과 부조화를 유발시키는 통시에 유희직인 일면도 지니는 일종의 그로테스크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정립된 조형의지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란 기하학 패턴은 절제된 단순함과 명확성으로 단순미가 유추되었고 강한 색상대비로 인한 시각적 집중효과로 주목성을 가지며 재현이 가능하므로 반복성이 유추되었다. 그리고 표준영역이 없는 창의적 표현으로 풍부한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재된 패션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정확함과 차가움의 의미를 지닌 이지적 이미지와 우주의 질서를 반영하는 상징적 이미지, 복잡한 자연으로부터 간결한 형태로의 경향성이 이루어낸 인공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었으며, 미래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같이 내포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을 조형예술 분야로 확실히 인식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창조적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영감을 주는데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잔혹성 이미지 연구 - 크리스테바(J. Kristeva)이론을 중심으로 -

  • Yoon, Yeong;Yang, Suk-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29-29
    • /
    • 2003
  • 20세기 후반 예술의 전반적인 흐름이 미적 다원주의와 해체주의를 지향하게 되자 패션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조류의 현상으로 잔인하고 혐오스러우며 끔찍한 추의 미가 표현되었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서 나타나고 있는 잔혹한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며 이와 같은 양상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을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과 적용시켜 고찰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Photo-montage on Fashion Illustration (포토몽타주(Photo-montage)를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노윤선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3
    • /
    • pp.291-298
    • /
    • 2003
  • In the rapidly advancing modern world, Fashion Illustrations are being utilized in various aspects of art and industrial works. Fashion illustrations are especially useful in fields like trend books thats show advanced trends where photographs are difficult to be utilized due to the fact the real object does not exist. Both the academic and industrial worlds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Fashion illustration and have started to study the field as a way of expressing the general image of a costume rather than a diagram for making clothes.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Fashion illustrations using Photo Montages that express modern fashion using various and unique textures. The study is composed of a literature review on Fashion illustration and Photo Montages. and five work pieces are made focusing on expressing compounded images.

  • PDF

국내.외 영캐쥬얼웨어의 웹 사이트에 나타난 브랜드 컨셉트 분석

  • 김정림;김영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7-37
    • /
    • 2003
  • 21세기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인터넷 사용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패션 기업들도 마케팅 차원에서 브랜드 쉽 사이트를 구축하고 브랜드 이미지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한 패션 기업의 경우 현재 웹 사이트에 구축된 브랜드 컨셉트가 평상시의 컨셉트와 동일하게 인지되고 있는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일관된 브랜드 이미지를 관리하는데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12개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평상시와 웹 사이트에서의 브랜드 컨셉트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여 평상시와 웹 사이트에서 동일한 브랜드 컨셉트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Fashion Image Classification of Senior Women based on the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시니어 여성의 패션스타일과 선호색 및 자기이미지에 따른 패션이미지 유형화)

  • Kim, Hee-Yeon;Hahn, So-Won;Hong, Yun-Jung;Kim, Young-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64 no.3
    • /
    • pp.142-15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ashion images of senior women who have emerged as influential customers in the fashion industry. Characteristics of fashion images of senior women are identified by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With the collected data, the Q group, consisting of Korean women who are in their 50s, was targeted using the Q methodology. The following factors were evalu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The fashion images of senior women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4 types: Characteristic modern, Reasonable basic, Comfortable contemporary, and Conservative elegance. Those classified fashion image types were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nobleness, usefulness, personality, fashionableness, and youthfulness in accordance with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ashion image planning for senior women and meaningful data for redefining and diversifying the concept of senior fashion brand which reflects the generation's changed taste and life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