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드

Search Result 1,13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ynamic Character Analysis of 3-beam Slab Orbits depending on the Hardening of Rail Pad Stiffnesses (3중보 슬래브궤도의 레일패드강성의 경화에 따른 동적거동 특성분석)

  • Choi, Hyun-Su;Choi, Jin-Yu;Kim, Jung-Hun;Park, Dae-Geun;Kang, Young-Jong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8.11b
    • /
    • pp.870-873
    • /
    • 2008
  • 레일패드는 궤도전체의 탄성확보 뿐만 아니라 열차하중에 의해 침목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침목과 도상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통과톤수의 증가와 기후적 요인에 의하여 패드가 열화되면 패드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패드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면 레일을 통해 침목으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침목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목하면의 도상에도 과도한 충격하중을 전달하여 도상의 손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일패드의 강성변화는 궤도의 소음과 레일의 파상마모의 진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레일패드의 공용기간 중에 적정한 강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통과톤수의 증가에 따른 레일패드의 경화도를 산정하는 방법과 레일패드의 경화가 궤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레일패드의 교체주기에 관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슬래브의 질량과 일정속도대역에서의 패드강성의 민감도분석을 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 레일패드경화에 따른 대상궤도의 동적거동을 수치해석을 통하여 패드강성과 차량주행속도에 따른 윤중의 변동량과 레일의 변위, 가속도 그리고 침목의 변위, 가속도의 변화정도를 분석해 보았다. 궤도시스템의 동적해석을 위한 해석 프로그램으로는 네덜란드 델프트 공과대학에서 개발된 궤도시스템 전용 해석 프로그램인 DARTS(The dynamic analysis of a rail track structure)를 사용하였다. 대상궤도는 국내 1단계 경부고속철도에서 사용되고 있는 3중보 무도상궤도를 사용하였다.

  • PDF

패드 선단압력 발생을 고려한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김승철;김경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9.06b
    • /
    • pp.60-69
    • /
    • 1989
  • 안정성과 진동억제 특성이 요구되는 터어빈이나 모터등의 고속 회전기계에서는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에서는 패드가 피봇이나 로울러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윤활유막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합력중심이 항상 이 지지점을 지나게 되어 베어링의 안정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은 추력 베어링과 같이 불연속적인 윤활면을 갖는다. 그러므로 베어링의 입구부 선단에서 공급되는 윤활유의 충돌로 인한 압력격변이 일어나는데 이때 패드 입구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선단압력이라 한다. 이러한 선단압력으로 인한 베어링의 성능변화에 관한 연구는 주로 추력 베어링에 대하여 이론 및 실험적으로 수행 되어져 왔으며 그 결과들은 선단압력이 베어링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선단압력의 영향이 제대로 파악되고 있지 못하며, 특히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에서 선단압력의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한폭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을 모델화한 실험장치를 설계 제작하여 선단압력을 포함한 유막내의 압력분포 및 유막두께를 연속적으로 측정함으로써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의 성능에 미치는 선단압력의 영향을 실험적으로 조사하기로 한다.

  • PDF

선단압력을 고려한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의 정특성 및 동특성 해석

  • 김종수;김경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8.11a
    • /
    • pp.57-66
    • /
    • 1988
  •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은 베어링틈새가 원주방향으로 불연속적이므로 패드선단의 약간 전방에서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패드선단에서는 주변압력보다 높은 압력을 나타낸다. 이를 선단압력(lnlet pressure or Ram-pressure)이라한다. 추력식 베어링에 대해 선단압력을 고려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선단압력은 베어링의 틈새에서 발생하는 유막압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잇다.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에 대해 정특성 해석을 한바 있으나 선단압력을 고려한 틸팅-패드 베어링의 동특성을 해석한 연구는 아직 없다. 실제로 틸팅-패드 저어널 제어링에서도 선단압력이 0이 아님이 알려져 있으므로 정특성 및 동특성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각 패드 입구부에서 발생하는 선단압력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한폭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에 대하여 선단압력을 고려하여 정특성 및 동특성을 해석하고 선단압력이 베어링의 정특성 및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Design of Efficient Mobile Keypad Based on Automatic Word Spacing (자동 띄어쓰기 기반의 효율적인 영문 휴대폰 키패드 설계)

  • Kim, Hyun-Min;Kim, Yo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153-156
    • /
    • 2010
  • 휴대폰으로 영문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멀티탭 (multitap) 방식을 사용한다. 멀티탭 방식은 원하는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 키를 반복적으로 눌러줘야 한다. 본 논문은 키를 누르는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키패드를 구한다. 기존의 멀티탭 기반의 휴대폰 키패드 설계와 자동 띄어쓰기 관련 연구를 조사한다. 그리고 자동 띄어쓰기 사용을 가정한 상태에서의 휴대폰 키패드를 설계하고 이를 비교한다. 키가 눌러진 총 횟수가 작을수록 효율적인 키패드인 것으로 평가했다. 알파벳 순서를 유지한 키패드 디자인과 유지하지 않은 디자인으로 나누고 8 ~ 12개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에 대한 디자인을 각각 구했다. 평가를 위한 데이터로 실제 사용되는 영문 SMS 데이터를 구해 사용했다. 실험 결과 자동 띄어쓰기를 하지 않은 키패드보다 자동 띄어쓰기를 한 키패드의 성능이 약간 개선됨을 볼 수 있다.

  • PDF

Effects on PCB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by SMD Pad Alignment (SMD의 패드 정렬이 PCB 전송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Chang-Gyun;Lee, Seongsoo
    • Journal of IKEEE
    • /
    • v.22 no.3
    • /
    • pp.874-877
    • /
    • 2018
  • Many SMDs (surface mount device) are mounted and mutually connec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System performance degrades when thei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re bad. Pads connecting a PCB and SMDs affects PCB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so pad should be properly aligned to optimize impedance matching. In this paper, effects on PCB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re simulated by pad alignment. When frequency is relatively low, pad alignment seldom affect PCB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but it affects more and more when frequency or pad size becomes larger. Therefore, pad alignment should be carefully chosen based on target frequency and pad size. Especially, the proposed edge-aligned pad is generally more advantageous over the conventional centered-aligned pad in 12~16 GHz Ku-band frequency.

Analysis of Dynamic Behavior of Open-Steel-Plate-Girder Bridges Due to Installing Rubber Pads (철도교용 고무패드 설치에 따른 판형교의 동적 거동 분석)

  • Choi, Eun Soo;Kim, Hyun Min;Oh, Ji Taek;Kim, Sun 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7 no.3 s.76
    • /
    • pp.295-306
    • /
    • 2005
  • In this stud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two open-steel-plate-girder bridges was analyzed using the pads' stiffness estimated in the previous accompanying paper.Also, it was determined that the variation in the dynamic behavior of the two bridges due to the pads corresponds to the codes describing the restriction for the steel bridges' behavior.The pads installed at the bridges increase the displacement at mid-span.However, the increase does not exceed code restrictions and does not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riding quality of the running trains. The natural and Chloroprene rubber pads are not suitable for bridge bearings since they are more deformed than the code regulated ones.

Development of a curling pad performance test system to support Korea curling team (국가대표 컬링 대표팀 지원을 위한 컬링 패드 성능 시험 시스템 개발)

  • Kim, Taewhan;Lee, Sangcheol;Kil, Sek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0
    • /
    • pp.25-30
    • /
    • 2020
  • In this study, a test system which can test performance of curling pad was developed to support Korea curling team.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a water tank, a mechanical pad driving system that can perform sweeping movement using a curling pad on surface of ice made by the water tank, and temperature sensors monitoring ice and air temperatur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ice and humidity/temperature of air around the ice, all system are installed in a chamber that can isolate the developed system from external environment. Eight kinds of curling pads were tested using the developed system. Test result showed that each curling pad revealed different rate of ice temperature increasing. The pad with the highest rate of ice temperature rising was found to be the same as the most preferred pad by the athlete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measuring change of ice temperature by the sweeping perform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method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pad.

Virtual Keypads based on Tetris with Resistance for Attack using Location Information (위치정보로 비밀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공격에 내성이 있는 테트리스 형태 기반의 보안 키패드)

  • Mun, Hyung-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6
    • /
    • pp.37-44
    • /
    • 2017
  • Mobile devices provide various services through payment and authentication by inputting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passwords on the screen with the virtual keypads. In order to infer the password inputted by the user, the attacker captures the user's touch location information. The attacker is able to infer the password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o obtain password information by peeping with Google Glass or Shoulder Surfing Attack. As existing secure keypads place the same letters in a set order except for few keys, considering handy input, they are vulnerable to attacks from Google Glass and Shoulder Surfing Attack. Secure keypads are able to improve security by rearranging various shapes and lo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secure keypads that generates 13 different shapes and sizes of Tetris and arranges keypads to be attached one another. Since the keypad arranges different shapes and sizes like the game, Tetris, for the virtual keypad to be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infer the inputted password because of changes in size even though the attacker knows the touch location information.

Glaring Wall Pad classification by transfer learning (전이학습을 이용한 전반사가 있는 월패드 분류)

  • Lee, Yong-Jun;Jo,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5-36
    • /
    • 2021
  •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에서 데이터 셋이 반드시 필요하다. 월패드는 널리 보급되는 다양한 성능을 포함한 IoT가전으로 그 기능의 사용을 돕기 위해서는 해당 월패드에 해당하는 매뉴얼을 제공해야 하고 이를 위해 딥러닝을 이용한 월패드 분류를 이용 할 수 있다. 하지만 월패드 중 일부 모델은 화면의 전반사가 매우 심해 기존의 작은 데이터 셋으로는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분류 성능이 좋지 못하다. 본 논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대규모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VGG16, VGG19, ResNet50, MobileNet 등을 이용해 전이학습을 통해 월패드를 분류한다.

  • PDF

Analyze Incontinence Pad Performance (요실금 패드 성능 분석)

  • Su-Joung C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99-300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요실금 패드의 최대흡수량과 역류량, 누출량 등을 측정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소변 흡수에 효과적인 요실금 패드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고자 하였다. 시판 요실금 패드 7종의 최대 흡수량을 측정한 결과, B제품의 흡수량이 가장 많고, F제품의 흡수량이 가장 적었다. 역류량은 A제품이 가장 역류량이 적고, F제품의 역류량이 가장 많았다. 역류량은 인공소변 주입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인공소변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역류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출시점과 누출량 측정 결과 F제품이 누출이 가장 빠르게 발생하였고 누출량도 많았다. 누출시점과 누출량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요실금 패드의 제품 표기가 중형, 노멀로 표시된 제품임에도 최대흡수량에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이 요실금 패드를 선택함에 있어서 기준이 모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