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팟캐스트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계획행동이론을 통해서 본 팟캐스트 이용행태: 국내 팟캐스트 이용자를 대상으로 (Explore to Use of Pod cast Through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Case of Korean Pod casting Users)

  • 홍숙영;조승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183-19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매체로 확산 중에 있는 팟캐스트 이용자들의 이용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팟캐스트의 이용동기를 살펴보는 한편 계획행동이론의 독립변인들인 팟캐스트 이용에 대한 사회적 규범, 이용태도, 자기효능감이 팟캐스트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팟캐스트의 이용동기는 생활정보추구, 오락추구, 전문정보추구, 현실도피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용동기 가운데 생활정보추구와 현실도피 요인이 팟캐스트 이용빈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획행동이론은 팟캐스트 이용행동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셜 네트워크 기반 팟캐스트 검색시스템 (Social Network based Podcast Search System)

  • 정옥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5-43
    • /
    • 2013
  • SNS와 스마트 기기가 보편화 되면서, 뉴미디어로 떠오르고 있는 팟캐스트 이용자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문 검색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팟캐스트를 검색할 때, 사용자들의 소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도가 높을만한 팟캐스트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 팟캐스트 검색시스템(PODSSO)은 필요한 팟캐스트 정보만을 웹에서 수집하고, 사용자들의 소설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신뢰성 있고 관심있는 팟캐스트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플라워디자인 산업 활성화를 위한 팟캐스트 콘텐츠의 가능성 연구 (Exploring the Potential of Podcasts in Flower Design Industry)

  • 양동복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4호
    • /
    • pp.75-10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팟캐스트를 플라워 디자인 산업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해보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글로벌 팟캐스트 플랫폼 차트 순위에 올라있는 외국의 플라워 팟캐스트 사례를 선정하고 콘텐츠의 장르, 내용, 구성요소, 진행방식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팟캐스트 운영 목적, 호스트와 수용자 사이의 소통유형, 수용자 상호작용, 산업 연관성, 미디어 확장전략 등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 국내에서의 플라워 팟캐스트의 가능성이 무엇인지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외국의 플라워 팟캐스트를 분석한 결과, 운영자들은 팟캐스트를 통해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청취자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교육, 마케팅 등에 활용하고 있었으며 팟캐스터들은 콘텐츠 제작을 통해 전문성향상과 인적 네트워크 구축으로 산업계의 리더로 활동하거나 지속가능한 플라워산업과 같은 여론을 주도하였다. 팟캐스트 콘텐츠는 재가공되어 다양한 미디어에서 유통됨으로써 플라워 디자인 문화의 확산에 활용되었다. 외국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 플라워 팟캐스트 콘텐츠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팟캐스트는 플라워 디자인 산업 관련 커뮤니티 형성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플라워 디자인 전문가들은 팟캐스트를 다양한 콘텐츠의 원천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업계 내의 청취자들은 플라워 비즈니스에 대한 실제적 지식을 얻는 통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기있는 플라워 팟캐스트가 등장할 경우 플라워 디자인 문화를 크게 확산시켜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1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환경에서 플라워 팟캐스트는 여기에 대응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웹 2.0기반의 '팟캐스트'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미국의 도서관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s by 'Podcas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on Web 2.0 in USA)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9-120
    • /
    • 2010
  • 이 연구는 웹 2.0기반의 웹서비스 가운데 하나인 팟캐스트에 대한 소개와 팟캐스트를 활용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실제 도서관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미국의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들의 팟캐스트 프로그램들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국내 팟캐스트 서비스 적용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팟캐스트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에는 도서관 및 도서관행사 안내, 도서관이용교육, 지역사회소식, 교양강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독서교육, 신간안내, 도서관장서 소개, 정보통신교육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대학도서관의 프로그램에는 도서관이용교육, 도서관행사안내, 신간안내, 주제전문사서소개, 특강, 세미나, 포럼, 강의 등에 관한 프로그램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도서관에서 팟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적용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에서 팟캐스트 서비스를 적용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팟캐스트를 활용한 국내공공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Public Library Service Using Podcast)

  • 정옥경;이미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7-26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팟캐스트가 국내외 공공도서관에서 어떻게 제공되는지에 대한 서비스실태 및 현황을 해당 사이트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에서의 팟캐스트를 활용한 서비스영역의 확장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 결과 국외도서관은 도서관 행사 및 이용안내, 책 리뷰, 도서관 홍보, 정보제공 및 콘텐츠제공 등을 하였으며, 연령별 팟캐스트와 도서관 소식 팟캐스트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국내공공도서관은 팟캐스트의 활용도가 낮았으며, 신간도서 소개와 권장도서 소개를 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인천율목도서관의 사서들이 직접 '책속 한 구절을 읽어주기'와 '사서 책을 권하다'는 팟캐스트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해당도서의 대출율과 이용률이 증가하였다. 이렇듯 국내 공공도서관에서도 팟캐스트를 적용하여 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기부여와 흥미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지식과 강의 팟캐스트의 현황 분석과 발전방향 (Analysis and Improving Suggestions for Knowledge and Lecture Podcasts)

  • 한성원;허기택;김은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125
    • /
    • 2008
  • 휴대기기들의 하드웨어 성능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에서 제공되고 있는 오디오와 비디오 파일들을 PC에 저장하여 휴대기기에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인터넷에서 제공되고 있는 오디오와 비디오 미디어 파일들은 단순한 다운로드에서 자동 업데이트 서비스로 제공되는 팟캐스트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현재 미국과 유럽의 메이저 방송사들과 대학에서 그들의 정보 제공 방법의 하나로 팟캐스트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지식과 강의 팟캐스트가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양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강의 팟캐스트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식과 강의 팟캐스트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 PDF

도서관 팟캐스트와 유튜브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제공 의도와 제공 행위 연구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적용 - (Librarians' Intention and Behaviors for Providing Podcasts and YouTube Services: An Application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안은지;오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187-217
    • /
    • 2021
  •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의 팟캐스트와 유튜브 서비스의 개발과 제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으며, 도서관 팟캐스트나 유튜브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개인적, 조직적, 사회적 인식과 이용자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서비스에 대한 유용성이나 용이성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서비스 제공 의도나 제공 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국내 팟캐스트나 유튜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39개의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유형을 조사하였고, 총 181명의 사서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에서는 주로 도서관 행사 안내/홍보, 도서관 체험 프로그램, 도서 추천, 저자(사서) 강연과 북 토크 등에 팟캐스트와 유튜브를 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들은 개인적 특성보다는 조직적 혹은 사회적 특성, 즉 도서관의 교육지원, 인력지원, 사서 인식, 직무 특성, 이용자 인식이나 요구에 대한 이해가 도서관 서비스 제공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팟캐스트와 유튜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의 사서들과 제공하고 있지 않은 사서들 간에 서비스들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에서 팟캐스트나 유튜브 서비스 콘텐츠 개발이나 제공에 있어 사서 지원의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팟캐스트 콘텐츠 이용자 행태분석 및 유형 파악 (Analysis of Podcast User Behaviors and Classification of Users)

  • 강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94-104
    • /
    • 2022
  • AI스피커 시장의 확산과 인포테인먼트가 가능한 컨넥티드 카의 영향으로 오디오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면서 팟캐스트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팟캐스트 콘텐츠 이용자들의 행태 및 유형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배경연구에서 팟캐스트 이용 동기와 사용자 유형을 고찰하고 설문 문항 작성 시 참고하였다. 설문 조사에서는 상황에 따라 선호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파악하고 심층 인터뷰에서는 오디오 서비스 사용행태를 파악하여 사용자 유형 및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설문 결과 단독청취와 멀티태스킹 할 때 선호하는 콘텐츠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시간대에 따른 선호콘텐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심층 인터뷰에서 사용자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한 결과 공부 목적의 단독 청취, 이동 중에 유익한 정보 청취, 멀티태스킹 하며 가벼운 콘텐츠 청취하는 사용자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오디오 콘텐츠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디자인을 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자막생성 연구 (Subtitle gener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 안충현;장인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8-4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팟캐스트 오로부터 자막을 생성하여 청각장애인의 미디어 접근권을 향상시키는 음성인식기술을 적용한 자막생성에 대하여 제안한다. 또한 레퍼런스 음성 DB 와 드라마, 팟캐스트 오디오로부터 생성된 자막의 정확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오디오를 이용하여 생성된 자막은 사극의 경우에는 다소 정확도가 낮게 평가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약 80%이상의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팟캐스트 제작 독서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 독서 태도와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ies Making a Podcast: Focusing on the Reading Attitude and the Communication Skills)

  • 황정의;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73-99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팟캐스트 제작 독서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독서 태도와 의사소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N 공공도서관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연구 기간은 2018년 10월 8일부터 2019년 2월 11일까지이며, 수업은 주 1회 90분, 집단별 6회, 총 12차시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팟캐스트 제작 독서 활동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독서 태도에서 가치영역, 동기·흥미 영역, 습관·태도, 기대영역 등 4가지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능력에서 정보수집과 경청, 고정 관념적 사고극복, 창의적 의사소통, 자기 드러내기, 주도적 의사소통, 타인 관점 이해 등 7개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팟캐스트 제작 독서 활동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독서 태도와 의사소통능력, 미디어 능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다양한 교육 현장의 적용에 있어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