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팔 뻗기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기능적 팔 뻗기 시 근 활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Muscle Activity on Functional Reaching)

  • 채정병
    • PNF and Movement
    • /
    • 제11권1호
    • /
    • pp.55-62
    • /
    • 2013
  • Purpose : This study was assessed muscle activity and onset time in trunk and upper extremity on functional reaching. Methods : The participant was 18 female(young 10, old 8). As functional reaching, we collection data by using EMG(MP150) on transverse abdominis, external oblique, erector spinae, deltoid middle and serratus anterior. Results : 1) In functional reaching, transverse abdominis, external oblique, erector spinae and deltoid middle muscle activity was augmented on old female(p>.05). Serratus anterior was augmented on young female(p>.05). 2) In functional reaching, transverse abdominis and erector spinae muscle onset time is significantly faster old female than young female(p<.05). External oblique and serratus anterior muscle onset time is faster old female than young female(p>.05). 3) As increase of age muscle activity of external oblique was more increased that we found .511 a coefficient correlation and onset time more faster on transverse abdominis and erector spinae were each -.492 and -.554 coefficient correlation. Conclusion : The muscle activity and onset time was difference in functional reaching according to ageing and task context. It is necessary concentration and attention to old female than young femal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ortance of anticipatory postural control and selective strategy of postural control.

편마비 환자의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목표거리와 건·환측 사용에 따른 운동시간과 체간의 움직임 분석 (Analysis of Movement Time and Trunk Motions According to Target Distances and Use of Sound and Affected Side During Upper Limb Reaching Task in Patients With Hemiplegia)

  • 김기송;유환석;정도헌;전혜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42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reaching distance on movement time and trunk kinematics in hemiplegic patients. Eight hemipleg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ide (sound side vs. affected side) and target distance (70%, 90%, 110%, and 130% of upper limb).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ovement time measured by pressure switch and trunk kinematics measured by motion analysis devic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with Bonferroni post-hoc test. (1)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in side and reaching distance for movement time (p=.01, p=.02). Post-hoc test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10% and 130% of reaching distance (p=.01). (2)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in side and reaching distance for trunk flexion (p=.01, p=.00). Post-hoc 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pair-wise reaching distance comparison. (3) There was a significant side by target distance interaction for trunk rotation (p=.04).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in target distance (p=.00). Post-hoc 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70% and 110%, 70% and 130%, 90% and 110%, 90% and 130% of target distance. It was known that trunk flexion is used more than trunk rotation during reaching task in hemiplegic patient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also recommended that reaching training is performed with limiting trunk movement within 90% of target distance whereas reaching training is performed incorporating with trunk movement beyond 90% of target dist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과제 지향 훈련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ask-Oriented Exercise on the Balance in Degenerative Arthritis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 지상구;김명권;이동걸;차현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22-232
    • /
    • 2012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난 후 3주 이내의 환자 24명에게 과제 지향 훈련과 체중 이동 훈련이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과제 지향 훈련군(실험군) 12명과 체중 이동 훈련군(대조군) 12명을 2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각 군의 운동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aitview 시스템과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통해 정적 균형을 측정하였고, Balance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적 균형을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실험 전과 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제 지향 훈련군이 체중 이동 훈련군에 비해 정적, 동적 균형 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조기 환자들에게 과제 지향 훈련이 균형 능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양시설 거주 여성노인의 기초신체활동 측정 평가 (Assessment of Basic Physical Activity for Elderly Wome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강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46-35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거주 여성노인의 일상생활동작이 반영된 기초신체활동을 측정하여 대상자들의 기초신체활동의 기본적인 필수 측정요소와 측정항목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대전과 충남에 소재한 장기요양시설 4곳의 만 65세 이상 여성노인 105명이며, 일상생활동작이 반영된 8개 항목(악력, 스텝 테스트, 의자에서 앉았다 일어나기, 한발 서기, 기능적 팔 뻗기, 8자 보행, 5m 보행, 일어서고 걷기)을 측정하였다.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 요인분석, ANOVA, 그리고 피어슨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연령집단 간각 종목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각 측정항목의 결과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8개 측정항목은 요인분석을 통해 근력과 이동능력 두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시설거주 여성노인에게 중요한 체력요소인 이 근력과 이동능력 영역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시설거주 여성노인의 운동을 위한 간호전략에 있어 근력 및 이동능력의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이 두 영역에 대한 측정항목 또한 객관적인 지표가 마련되어야 한다.

PNF 통합 패턴 운동이 만성 요통 노인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bination patterns exercis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balance in chronic low back pain elderly patients)

  • 전재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61-36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스프린터와 스케이터 패턴을 통합한 PNF 통합 패턴 운동이 만성 요통 노인 환자의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만성 요통의 질환이 있는 노인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34명을 무작위로 각각 PNF 통합 패턴 운동군(17명)과 스위스볼 운동군(17명)으로 나누었다. 운동전후에 정적 균형 능력 측정을 위해 GOOD BALANCE system(Metitur Oy, Palokka, Finland, 2003)을 사용하였다. 동적 균형 능력 측정을 위해 기능적 팔 뻗기 검사(functional reach test; FRT)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를 시행하였다. 정적 균형 능력과 동적 균형 능력의 거의 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군간 비교에서도 다수의 항목에서 스위스볼 운동군과 PNF 통합 패턴 운동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PNF 통합 패턴 운동은 만성 요통 노인 환자의 균형 능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임상에서 PNF 통합 패턴 운동을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충분히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기능적 팔 뻗기 시 지면에 따른 앞정강근과 장딴지근의 근활성도 비교 (Analysis of Muscular Activity of Tibialis Anterior Muscle and Gastrocnemius Muscle in Functional Reach Test of Elderly According to Different Surfaces)

  • 박정서;남연경;김문정;윤세원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30
    • /
    • 2011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of muscle activity of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and the gastrocnemius muscle on the ground and unstable ground for functional reach test. Methods : This study chose 24 elderly men and 24 elderly women who could walk independently, reach their arm over 25 cm, show shoulder joint $90^{\circ}$ flexion, had no operations on lower limb joints, and don't take medication affecting the ability to keep balance. Muscular activity of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and the gastrocnemius muscle was measured using functional reach test and electromyogram. Functional reach test was conducted at a total of four sections, 0cm, 15cm, 20cm, and 25cm. Results : It was known that the gastrocnemius muscle was used more than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to keep balance and the elderly with good balance ability showed no great change of muscular activity on both the stable and unstable ground.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used their gastrocnemius muscle more and lower limbs of frequently used parts to keep their balance. As the elderly have good balance ability, they showed no great change of muscular activity on both the stable and unstable ground.

캐딜락 기구를 이용한 필라테스 전후방 팔 뻗기 동작이 체간 근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orward and Backward Arm Extension Movement of Pilates Exercise Using Cadillac Instrument on Trunk Muscle Activity)

  • 김진령;허성훈;안경준;김송준;이종삼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97-20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muscle activity changes induced by motions of reaching forward and chest expansion that were examined from the bilateral muscles with rectus abdominis, external oblique, multifidus, and longissimus thoracic using Pilates cadillac instrument. Methods: Nine young adult women, who have no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any of chronic diseases, were participated. Surface electromyography system was used for recording of all signals produced by muscles, and then normalized as percentage of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The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Results: Reaching-forward motion showed a higher muscle activity from non-dominant external oblique muscle than that of the chest-expansion motion. During both reaching-forward motion and chest-expansion motion, MVIC values collected from dominant side of external oblique muscle were shown a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values obtained from non-dominant side (p<0.05). Conversely, %MVIC values in external oblique muscle collected from dominant sid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values obtained from non-dominant side of the same oblique muscle (p<0.05). Reaching-forward motion was caused a higher %MVIC on non-dominant external oblique muscle than that of the chest-expansion motion (p<0.05). Regardless of dominant or non-dominant sides, external oblique muscle was shown the highest activation rate of all the other muscles during reaching forward action, and longissimus thoracic muscle was shown the highest activation rate of all the other muscles during chest expansion action. Conclusion: Reaching-forward motion is suitable for activating an external oblique muscle, and chest-expansion motion is an effective enough in activating of longissimus thoracic muscle.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ckward Walk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Gait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 현동수;최종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237-6245
    • /
    • 2013
  • 본 연구는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21명의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세 집단으로 나누었고, 실험군I은 전방 보행 훈련 군, 실험군II은 후방 보행 훈련군, 실험군III은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 군으로 집단마다 7명씩 실험하였다. 실험은 3주간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과 3주간의 실험 후에 각 실험군의 10m 보행 검사,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하였고, biodex gait trainer 2를 사용하여 활보장과 보장비대칭 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각 군내의 실험 전 후 비교에서 보행속도, 보행대칭성, 균형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변화량을 비교했을 때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보행속도, 보행대칭성과 균형에서는 실험군III, 실험군II, 실험군I 순으로 효과적이였고, 활보장에서는 실험군II와 실험군III이 실험군I보다 효과적이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 운동을 실시할 때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보행속도, 보행대칭성과 균형의 향상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체감형 댄스게임이 여성노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Motion-based dance game's effect on the balance ability of the elderly Women)

  • 이지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73-80
    • /
    • 2018
  • 본 연구는 체감형 댄스게임이 여성노인의 정적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가자들은 무작위 배정하여 체감형 댄스 게임 실험집단(n=10)과 통제집단(n=10)으로 나눈 후 실험집단은 일주일에 세번, 60분씩 6주간의 기간 동안 참여했고 통제집단은 일상생활 외 운동을 진행하지 않았다. 댄스게임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버그 균형검사(BBS), 기능적 팔 뻗기 검사(FRT),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UG)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데이터는 통계적 유의성을 결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과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체감형 댄스 게임 그룹의 BBS, FRT, TUG 연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체감형 댄스 게임은 여성노인들의 균형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들에게 체감형 댄스게임 "댄스센트럴" 프로그램을 규칙적으로 지속한다면 균형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후속적으로 노인에게 적합한 댄스게임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