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팔 근육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확장현실에서 사용자의 팔 근육 연습 및 분석을 위한 립모션 기반 추적 프레임워크 (Leap-Motion Based Tracking Framework for Practice and Analysis of User's Arm Muscle)

  • 박성아;박소연;김종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469-47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립모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손의 움직임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저글링 운동 동작뿐 만 아니라 이것을 이용한 팔 근육을 연습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실시간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동작에 맞춰진 분석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프레임워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1) 사용자가 공을 튕기는 이벤트 트리거를 손목 움직임으로부터 정의한 뒤, 2) 사용자의 손 위치를 기준으로 저글링 형태의 움직임을 공에 매핑시키기 위한 포물선 기반 입자 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3) 손목의 굽힘을 기반으로 근육의 활동 양을 시각화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의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실시간 저글링 게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팔 근육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 PDF

근전도 생체 신호를 이용한 지능형 외골격 로봇팔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lligent Exoskeleton Robot Arm Using ElectroMiogram(EMG) vital Signal)

  • 전부일;조현찬;전홍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33-539
    • /
    • 2012
  • 본 연구는 사람 팔의 움직임에 따른 신체 발생 신호인 근육의 근전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신호 발생에 따른 외골격 로봇 팔의 동작을 통해 제어신호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능형 알고리즘에 의해 인간의 인지와 판단의 결과가 팔의 근육을 통해서 제어 가능한 지를 실제 시스템을 구성하여 확인해 보는 것이다.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따른 근전도 센서 데이터는 외골격 로봇 팔을 구동하는 원신호로 사용되며 로봇 구동을 위한 힘을 전달하는 엑츄에이터가 인간의 팔의 동작을 모사한다. 이를 위해 아날로그 필터회로와 관련 회로를 설계하여 신호를 추출하였고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DSP컨트롤러를 통한 신호처리과정을 거친 후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부하의 정확한 예측을 위한 퍼지 논리 알고리즘의 동작을 표현할 수 있는 외골격 로봇 팔을 제작하였다.

EMG신호 센싱과 로봇팔의 수직제어시스템 구현 (Realization for EMG Signal Sensing and Vertical Control System of Robotizing Arm)

  • 한상일;류광렬;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161-164
    • /
    • 2008
  • 본 논문은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고 로봇팔의 수직제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이다. EMG 신호는 사람의 팔 근육에 흐르는 미세한 생체신호가 표면전극센서에 의해서 사용하여 검출되고 고성능 증폭, 필터링, ADC과 로봇팔의 서보 모터 구동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실험은 팔근육 움직임에 따른 EMG신호와 로봇팔의 다단계 수직제어 각도를 모니터링 한다. 시스템의 실험결과 수직제어각도는 2도 정도이며 평균오차는 5%이다.

  • PDF

다운증후군 아동의 T-ball 스윙 시 근육활동 규명 (Muscle Activity in T-ball Swing with Down Syndrome's Children)

  • 한기훈;임비오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3-14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운증후군 아동들의 T-ball 스윙 중에 작용하는 근육의 활동을 규명하는 것이다. 다운증후군을 가진 남자 아동 5명을 대상으로 T-ball 스윙 중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pectoralis major, upper serratus, lat dorsi, anterior deltoid, rhomboids, infraspinatus, posterior deltoid의 근육활동을 노락슨 8채널 무선 근전도 측정시스템을 사용하여 시작-백스윙, 백스윙-임팩트, 임팩트-팔로스루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운증후군 아동들은 정상아동 및 성인선수들보다 시작-백스윙 구간 및 백스윙-임팩트 구간에서 오른쪽 및 왼쪽 상체 부위의 근육활동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반면에 임팩트-팔로스루 구간에서는 정상아동 및 성인선수들에 비해 더 적은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특히 임팩트 후 팔로스루 구간에서 어깨 수평 내전근인 pectoralis major와 견갑골 외전 및 상방 회전근인 upper serratus 근육의 활동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로봇의 원격제어 (Teleoperation of a Robot Manipulator using Bioimpedance)

  • 김근영;김경환;김덕원;김수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13-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인간의 팔 운동을 추정하고자 한다.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인간의 운동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체 신호와 인간의 운동 사이의 정량적인 관계를 구해야 하며 특히, 다자유도 운동의 추정에는 생체 신호간의 간섭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일자유도 운동실험을 통해 생체 임피던스와 인간 팔 관절의 회전각 사이의 선형성을 고찰한다. 그리고, 다자유도 측정시에 발생하는 근육간의 결합성과 방향성의 문제에 대해 주파수 분할 측정법을 도입하여 팔의 다자유도 운동을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의 로봇을 제어하는데 응용하였다.

  • PDF

VDT작업자의 근육골격계 장해 (Musculoskeletal Aisorders In Operators of Visual Display Terminals)

  • 백영한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80호
    • /
    • pp.42-44
    • /
    • 1994
  • VDT(Visual Display Terminals)작업자에게는 손과 팔의 근육골격계 장해가 흔히 일어난다. 이와같은 장해는 대게 설계가 잘못된 주위작업환경 및 심리적인자와 관련이 있다. VDT사용과 관련된 건강문제를 식별하고 평가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다원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 PDF

파악력의 강도가 두 가지 팔 자세에서 어깨근육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nd Grip Force on Shoulder Muscle Activity in Two Arm Posture)

  • 장현정;김지선;최종덕;김선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229-1237
    • /
    • 2012
  • 본 연구는 파악력의 강도가 두 가지 팔 자세에서 어깨근육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건강한 성인 22명(남 11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4가지 파악력(최대 파악력의 0%, 30%, 50%, 70%)을 팔의 중립 자세와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 적용 했을 때 상승모근, 하승모근, 극하근, 전삼각근, 후삼각근의 근활성도를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팔 중립 자세에서는 파악력의 강도에 따라 극하근, 전삼각근, 후삼각근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는 전삼각근, 후삼각근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2가지 팔의 자세에서 각각 파악력의 강도에 따라 어깨근육 근활성도가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손 쥐기 과제를 중립자세에서 실시할 경우 어깨관절 안정근인 극하근이 활성화되고,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는 삼각근을 억제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손을 사용하는 작업 시 인간공학적 접근으로 어깨 손상의 예방과 손상 후 재활 훈련 시 효율적인 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인간의 어깨근육에 대한 정력학적 연구 (A Static Analysis of the J\1uscles Crossing the Human Shoulder Joint)

  • ;박영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48-59
    • /
    • 1979
  • 인간의 근육에 걸리는 힘에 대한 연구는 치료나 생체공학분야에서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팔을 전두면(Frontal plane) 상에서 0.deg. 부터 90.deg. 까지 외전(Abduction)시킬 때 어깨근육에 작용되는 힘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발시켰다. 여기에서는 해부한, 생리학적인 데타와 벡타해석 및 수학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정력학적으로 부정정(Inderterminant)인 문제를 ㅂ풀기 위하여 Minimal Effort Principle이 사용되었다.

표면근전도 신호를 활용한 CNN 기반 한국 지화숫자 인식을 위한 아래팔 근육과 전극 위치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earm Muscles and Electrode Placements for CNN based Korean Finger Number Gesture Recognition using sEMG Signals)

  • 박종준;권춘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60-267
    • /
    • 2018
  • 표면근전도(sEMG) 신호의 응용은 초기에는 단순히 근육 활성도의 유무를 판별하여 On/Off 의 스위치 기능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표면근전도 신호처리와 알고리즘의 발달로 휠체어의 방향 제어는 물론 수화를 인식하는 분야까지 확대되었다. 청각 장애인들의 언어 소통을 위한 중요한 수단인 수화나 지화는 미학습자와는 소통의 어려움이 존재해왔으며,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수화나 지화를 인식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수화나 지화 시연시에 활성화되는 근육의 신호를 활용하여 수화나 지화를 인식하는 방법이 중국 숫자지화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수화나 지화는 일반 음성언어와 마찬가지로 중국 숫자지화와 한국 숫자지화가 다르므로, 중국 숫자지화 시연시에 관여하는 근육이 한국 숫자지화 시연시에는 관여하지 않을 수가 있어, 인식률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 숫자지화 시연시에 활성화되는 근육의 선정은 표면근전도 신호에 기반한 한국 숫자지화 인식률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표면근전도 신호에 기반한 한국 숫자지화 인식에 대한 연구는 문헌에서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근전도 신호를 활용한 한국수화 또는 한국지화의 인식에 관한 초기 연구로서, 한국 숫자지화를 시연시에 관여하는 아래팔근육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기 위해 숫자 영(0)부터 다섯(5)의 여섯 가지 한국 숫자지화를 대상으로 인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표면근전도 신호를 활용한 CNN 기반 지화인식 방법에 적용하여 여섯 가지 한국 숫자지화에 대하여 100%의 인식률을 확인함으로써, 여섯 가지 한국 숫자지화 인식을 위해 제안된 아래팔근육과 전극위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발성이 편마비 환자의 팔 뻗기 시 상지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ocalization on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Reaching Task in Patients with Hemiplegia)

  • 이명효;최영철;김진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56-362
    • /
    • 2012
  • 본 연구는 발성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팔 뻗기 과제 수행 시 상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우측뇌 뇌졸중으로 인하여 좌측 편마비가 나타나는 17명으로 "아"라는 발성을 다양한 조건하에 수행하면서 마비측 팔을 이용하여 동시에 컵에 손을 뻗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네 가지 발성의 상황은 자가발성, 외부의 발성, 발성을 상상하고 발성이 없는 상황으로 하였다. 상지의 주요 근육(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중간삼각근, 상부승모근)에서 나타나는 근활성도(%RVC)를 MP15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상황별 비교에서 자가발성과 외부의 발성이 상완삼두근에서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냈고(p<0.05), 상관관계 분석은 상완삼두근과 상완이두근에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777, p<0.05). 본 연구를 통하여 발성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팔 뻗기 시 상지 주요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뇌졸중 환자의 운동치료 시 발성의 적용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상지 재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