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일 보안

Search Result 56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signing on Security zone to improve Cookie File Security level (쿠키파일의 보안성을 향상하기 위한 보안영역 설계)

  • Seo, Hee-Suk;Choi, Yo-Ha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6
    • /
    • pp.75-81
    • /
    • 2011
  • Cookie is simple text file, which contains records of web service which provided to user. some of data included in Cookie has user's private information. When attacker has Cookie which included user's private information, will causing financial losses. In this paper we designed security section which can improve vulnerable Cookie's security level. Through research and vulnerability analysis of Cookie file, we find out how to implement security area to offer efficient security area and design security area for cookie file. Also we checked security level to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this security level, we can keep user's private information secure using Cookie's improve security level which stored in user's personal computer.

  • PDF

Development of Wireless LAN Security System Protection Profile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 개발)

  • 김춘수;최희봉;최명길;장병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08-310
    • /
    • 2003
  •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은 취약한 무선 LAN 통신구간에 대한 보안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하여 보안기능 및 보안평가기준을 작성한 문서이다. 이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은 개발자, 사용자, 평가자 등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C기반의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을 통하여 이동 환경용 무선 LAN에 대한 보안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러한 보안대책으로 설계된 무선 LAN 보안시스템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있음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무선 LAN 보안시스템 보호 프로파일은 EAL 2를 만족시키는 수준이다. 본 연구 결과로 개발된 보호 프로파일은 무선 LAN 보안시스템을 개발하는 개발자, CC에 기반하여 무선 LAN 보안시스템을 평가하는 평가자, 무선 LAN 보안시스템을 사용자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사용하는 사용자 등에 유용한 문서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Analyzing File Characteristic For Security Bug Localization (보안 버그 추적을 위한 파일 특징 분석)

  • Heo, Jin-Seok;Kim, Young-Kyoung;Kim, Mi-Soo;Lee,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517-520
    • /
    • 2018
  • 보안 버그는 소프트웨어의 치명적인 취약점을 노출해 제품의 질 저하 및 정보유출을 일으킨다. 위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안 버그 추적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버그가 발생한 소스 파일의 특징을 분석하여 보안 버그 추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는 보안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안드로이드와 블록체인 오픈소스를 대상으로 보안 버그 리포트를 수집해 보안 버그가 나타난 소스 파일의 텍스트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안드로이드의 경우 통신 관련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에서 보안 버그가 발생했다. 블록체인의 경우 계정, 키 저장 관련 파일들에서 보안 버그가 주로 발생했다. 보안 버그 추적 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반영한다면 빠르고 정확하게 보안 버그 파일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File Security Syst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에서의 파일 보안 시스템)

  • 김희정;이주영;추영열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91-94
    • /
    • 2003
  • PDA 는 휴대의 편리성과 기능의 향상으로 적용이 확대되면서 통신에서의 보안, 인증, 파일 보안 등 많은 보안상의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DA 사용자가 중요한 파일을 언제 어디서나 쉽게 보호 할 수 있도록 FSS (File Security System) 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FSS 시스템에서는 PDA 내에 저장된 파일 중 보안이 요구되는 중요 파일들에 대해 RC2, RC4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 PDF

Design of the Secure File System Module in the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에서의 보안 파일 시스템 모듈 설계)

  • Mun, Ji-Hun;Jang, Se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423-42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외부의 접속을 파악하고 운영체제의 파일 시스템 레벨에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커널 모듈을 구현한다. 네트워크를 통한 통제를 뚫고 침입해오더라도 파일 시스템에 저장 된 데이터를 읽을 수 없다면 내부의 중요한 자료 유출은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구현한 보안 파일 시스템 모듈은 운영체제의 동적 적재 모듈을 사용하여 커널 레벨에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보안 모듈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파일 및 디렉토리의 암호화 및 복호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PDF

키 복구 에이전트 시스템 보호프로파일에 관한 고찰

  • 이용호;이임영;김춘수;채수영;나학연
    • Review of KIISC
    • /
    • v.13 no.2
    • /
    • pp.106-116
    • /
    • 2003
  • 국제공통평가기준(Common Criteria)은 현재 고려되고 있는 모든 정보보호시스템 유형을 포괄할 수 있는 보안 요구 사항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특정 형태의 정보보호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기준이 되기 위해서는 사용환경이나 보안목적에 적합한 보안 요구사항이 도출되어야 한다. 정보보호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보안환경 및 보안목적을 정의하고, 이에 적합한 보안 요구사항을 국제공통평가기준에서 채택하여 제품별 평가기준으로 작성한 것이 보호프로파일(Protection Profile)이다. 보호프로파일은 미국의 국가안보국(NSA)과 국림표준기술원(NIST)에서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제품에 대한 보호프로파일이 개발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미국의 국가안보국에서 개발한 키 복구 에이전트 시스템 보호프로파일에 대하여 해당 TOE의 보안 환경과 보안 요구사항에 대하여 깊이있게 고찰하고자 한다.

Developing File Security for Windows Operating System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파일 보안 기능 개발)

  • Jang, Seung-J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6
    • /
    • pp.1423-1428
    • /
    • 2010
  • This paper designs file security function on Windows O.S. Whenever you use Windows O.S, you need to protect some file data. This paper designs these security protection functions. This paper proposes two security functions on Windows O.S. One is file security. the other is directory access protection. To check the proposed functions well, I experiment the above functions on the Windows O.S. By this experiment, I confirmed that the proposed function worked well.

A Study on Collecting and Determining Criteria of Normal Files for Prevention of Anti-Virus False Positive (Anti-Virus 오진 방지를 위한 정상파일 취합 및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Hur, Jong-Oh;Ahn, Hyung-Bong;Cha, 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308-1311
    • /
    • 2010
  • 급격히 증가하는 악성코드로 인해 Anti-Virus 연구소들은 대량의 악성코드를 자동으로 분석 및 진단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자동 분석은 오진(False Positive)의 증가라는 부작용을 가져왔다. 주요 파일에 대한 오진단은 Anti-Virus 를 통해 최종 보안을 유지하고 있는 대다수의 시스템을 정지시켜, 국가적인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업체들은 오진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정상파일을 보유하지 않고 파일정보만으로 오진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근본적으로 오진단을 감소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정상파일 셋을 구축하여 Anti-Virus 의 오진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파일 중에서 수집이 필요한 파일에 대한 기준과 수집한 파일이 정상파일 인지를 판단할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 Anti-Virus 연구소들은 정상파일 셋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정상파일에 대한 개념과 정상파일이 악성코드 파일과 비교되는 7 대 특성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기존에 제시된 적이 없는 정상파일 취합기준과 판단기준을 제안하였다. Anti-Virus 연구소는 본 기준들을 통해 우수한 오진방지용 정상파일 셋을 구축하여, 악성코드의 증가로 인해 함께 증가하고 있는 오진을 줄이고, 사용자 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함으로써, 오진으로 인한 국가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protection technique of a Applet decompilation in Java Environment (자바 애플릿 보안을 위한 역컴파일 방지 기법에 관한 연구)

  • 손태식;서정택;장준교;김동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626-628
    • /
    • 2000
  • Java는 간결하고 객체 지향적이며 플랫폼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웹 상에서의 증대된 표현능력과 유연성을 제공해 왔다. 하지만 이렇게 개방적이고 넓은 수용 가능성은 보안에 있어 많은 위협 취약점을 발생시키게 한다. 특히 현재 네트웍을 통해 널리 사용되는 애플릿은 그 자체가 사용자의 시스템에 전송되어 실행되므로, 만일 악의의 사용자가 그 애플릿 파일을, 역 컴파일러를 사용해 소스 코드를 얻어낸다면, 애플릿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 및 네트웍에 대한 보안 문제 및 경제적 피해는 물론이고, 애플릿 개발자 및 다른 사용자들에게 있어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자바 애플릿 역컴파일에 의한 보안 취약성 및 문제점을 진단하고, 거기에 대처할 수 있는 대응 기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보다 나은 자바 애플릿 역컴파일 방지 기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본 논문에 제안된 방법은 역컴파일 방지를 위해 클래스 파일에 혼란 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으로서, 그 기법 및 사용 방법을 제시하고 역컴파일 방지 도구의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앞으로의 연구는 여기서 제안된 자바 애플릿 역컴파일 방지 도구 모델의 세부적 구현으로 진행되어야 하겠다.

  • PDF

Design of the File Security Function Using Encryption Algorithm in the Windows Operating System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파일 보안 기능 설계)

  • Jang, Seung-J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3
    • /
    • pp.612-618
    • /
    • 2013
  • The file security function, which this paper suggests, restricts the access of an unauthorized users by using password algorithm and saving file. Saved files that are encrypted are read by decrypting them with decryption algorithm. These features are user interface to design the program for user friendly. The security function implements both file encryption and decryption programs and tests whether the experiment works or not. In addition, when a decryption is progressed and the settings of between decryption and encryption are different each other, the security function also checks the possibility of decryption. We can enhance the security on important files stored in Windows servers or personal computers by developing this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