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열자음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한극파열자음발음시의 생리기전 (STUDIES ON KOREAN PHONOLOGY (PART II) -;HYSIOLOGICAL PRODUCTION MECHANISMS OF KOREAN STOP CONSONANTS(Summarized Version)-)

  • 김병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0권9호
    • /
    • pp.605-625
    • /
    • 1972
  • 한글의 파열자음(Plosive Consonants of stop consonants)인 ㄱ, R, ㅋ, ㅃ, ㅍ이나, ㄷ, ㄸ, ㅌ의 삼중 구별은 외국어에서는 찾아 볼수 없는 한글 고유의 특성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이는 한국인 학자에게 뿐만 아니라 외국인 학자에게도 크나큰 관심사가 되어 왔다. 그 가장 큰 이유중의 하나가 소위 파열자음의 생리기전면에서 볼때, p,b나 k,g의 구별이 단순히 무성(Voiceless)대 유성(Voiced)의 차이냐 또는 근육의 힘의 차이냐 하는 문제가 오랫동안 국제학계에서 논난의 대상이 되어왔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기이하게도 한글의 파열자음은 모두 무성자음으로 외국어에서 볼수있는 유성대 무성의 대조는 없으며, 다만 근육의 gal의 대조가 있지 않을까 생각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 세가지 종류의 한글파열자음 발음시의 생리기전의 차이를 규명한 연구가 없었다. 저자는 이점에 착안하여 미국 위스컨신대학교 언어병리학 및 생리학 실험실에서 고도로 발달된 최신 연구기구를 이용하여 한글파열 자음 발음시의 생리기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영문초록에 기술되어 있다.

  • PDF

한국어 파열연자음 유성화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고찰 -운율구조와 관련하여- (An Acoustic study of Korean Lenis Stop Voicing -in relation to Prosodic Structures-)

  • 김효숙;김선주;김선미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8권 2호
    • /
    • pp.383-386
    • /
    • 1999
  • 이 논문은 한국어 파열연자음이 유성음 환경에서 유성음화하는 현상을 운율구조와 관련해서 음향음성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음성적 자질로서나 청각적인 판단에 의해서나 무성음과 유성음의 이분법으로 나뉘는 것을 음향적 고찰을 통하여 각각을 하위의 범주로 나누었다. 문장 안에서 파열연자음이 음향적으로 실현될 때 각각의 범주가 어느 정도의 빈도수로 출현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어 파열연자음은 어절 초에서는 무성음으로 실현되나 앞뒤에 유성음이 오는 경우에는 유성화되는 음운규칙이 있는데, 음향적인 분석을 통하여 앞뒤에 유성음이 온다는 조건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예들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인접음절(특히 앞음절에 오는 분절음의 특성)과 운율구조(액센트구 내에서의 위치, 억양구경계의 유무)를 함께 고려하는 파열연자음 유성화규칙의 조건을 제안하였다.

  • PDF

한국 구개열 환자의 농음(Fortis) 산출곤란 원인규명을 위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정상인에 관한 구개범거근 근전도 소견을 중심으로- (An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e Levator Palatini Activity in the Production of Korea Sentences Containing Three Types of Initial Stops Placed at the Postnasal Position)

  • 박혜숙;히로세 하지매;구마다 마사노부;최홍식;이마가와 히로시;우메다 히로유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8-121
    • /
    • 2004
  • 배경 및 목적 : 한국 구개열환자에게는 된소리 자음(농음0의 구음산출의 난도가 높다는 것은 임상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구개열 환자에게 있어서 난도가 높은 농음의 산출 메커니즘의 기본적 요소를 규명하므로서 언어치료의 새로운 방법모색에 기여하고져 하였다. 연구방법; 비강자음에 후속된 3종의 어두 파열자음 산출시의 구개범거근의 근활동 양상의 차이를 비교검토하므로서 농음의 산출특성을 검색하고져 하였다. 관찰기록 방법은 근전도는 유구침금전극(hooked wire electrodes)을 구강내로부터 경점막적으로 유도하였다. 연구결과 : 격음과 농음의 파열자음에서 평음보다 높은 구개범거근의 근활동이 관찰되었으나 격음과 농음 사이에선 유의미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금후의 과제로는 피험자를 늘려 재확인을 하는 일, 및 농음과 격음의 변별요소에 관해 더욱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 PDF

후행하는 자음의 여러 특성에 따른 영어 모음 길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glish vowel duration with respect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following consonant)

  • 유현빈;이석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22
  • 본 연구는 영어에서 어말 자음의 유무성성에 따라 선행하는 모음의 길이에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이 어말 자음, (부분) 무성음화 정도, 폐쇄음의 파열 여부와 가지는 상관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 모음의 길이 차이에 대한 여러 설명 중 무성 자음 앞 모음보다 유성 자음 앞 모음을 더 길게 발화하여 어말 자음의 유무성성을 구별한다는 기능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영어 원어민 화자들을 대상으로 발화 실험을 진행하고 선행하는 모음의 길이, 어말 유성 자음의 (부분) 무성음화 정도, 어말 폐쇄음의 파열 유무를 측정하였다. 발화 실험 결과, 어말 자음의 유무성성에 따른 선행 모음 길이 차이의 비율은 어말 자음이 폐쇄음인지, 마찰음인지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다. 또한, 어말 유성 자음의 (부분) 무성음화 정도가 크게 나타날수록 어말 유성 자음 앞 모음의 길이가 길게 나타나며 기능적 관점에서 예측한 바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능적 관점에 따른 예측과는 다르게 선행 모음 길이 차이의 비율은 어말 폐쇄음이 파열 없이 발화되었을 때보다 파열하여 발화되었을 때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말 자음의 유무성성에 따른 선행 모음 발화 길이의 차이를 기능적 관점으로만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어 파열자음의 인두내압, 폐쇄기 및 Voice Onset Time(VOT)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raoral Pressure, Closure Duration, and Voice Onset Time(VOT) of Korean Stop Consonants)

  • 표화영;심현섭;박헌이;최재영;최성희;안성복;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0-57
    • /
    • 1999
  • A study to get the data of normal stop consonants production as preliminary study for cleft palate patients was performed. Normal Korean native 21 speakers were pronounced $VCV(V=/a/,C=/P/,/{P^1}/,/P^h/,/t/,/{t^1}/,/{t^h}/,/k/,/{k^1}/,/{k^h}/)$ syllables with natural speech rate and intensity. With intrapharyngeal pressure waveforms by pressure sensor in oropharyngeal cavity, amplitude and time duration of intrapharyngeal pressure were analyzed, and with acoustic waveforms and spectrograms, closure duration and VOT were analyzed. As results, the highest amplitude of intrapharyngeal pressure showed in alveolars and heavily aspirated consonants. Velars and unaspirated consonants were higher than bilabials and slightly aspirated ones each, in intrapharyngeal pressure. Bilabilas, alveolars and velars showed similar rise time of intrapharyngeal pressure build-up, but in decay time and total duration time, bilabials were slightly shorter than alveolars and velars, with no statistic significance. In the aspects of tensity, unaspirated consonants showed the longest rise time, heavily aspirated, the second, and slightly aspirated consonants, the shortest, which were also seen in decay time and total duration time. In closure duration, slightly aspirated consonants had the shortest closure duration, and the heavily aspirated ones, the second, and unaspirated consonants showed the longest. In VOT, heavily aspirated consonants showed the longest, slightly aspirated ones, the second and unaspirated ones showed the shortest.

  • PDF

국어 파열연자음 유성음화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고찰 -운율구조와 관련하여- (An acoustic study of Korean lenis stop voicing - in relation to prosodic structure -)

  • 김효숙;김선주;김선미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39호
    • /
    • pp.15-24
    • /
    • 2000
  •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Korean Lenis Stop Voicing (henceforth, LSV) and to specify its phonetic conditions in phonetic terms. LSV optionally occurs within certain prosodic domains. They are called 'Malthomak'(Lee, 1996),'phonological phrase'(Kang, 1992), or 'accentual phrase'(Jun, 1993). On the basis of Jun's phras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more specific phonetic conditions of LSV in the accentual phrase medial position, sub-classifying voicing as complete and partial. The results shows that whether the stops become completely voiced or partially voiced was determined by the various phonetic environments, such as adjacent segments and following intonational phrase boundaries. It is shown that the conditions of LSV should be described in terms of more detailed phonetic environments and that they could be used in predicting the class of voicing.

  • PDF

한국어 파열자음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op Consonants)

  • 서동일;표화영;강성석;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17-224
    • /
    • 1997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oice onset time(VOT) of Korean stop consonants as the expanded research of Pyo and Choi(1996) : the intensity, and the air flow rate of Korean stops as the preliminary study f3r the classical singing training. Nine Korean stops(/P, P', $P^{h}$/, /t, t', $t^{h}$/, /k, k', $k^{h}$/) and a vowel /a/ were used as speech materials. CV and VCV syllable patterns were used for VOT measurement, and CV pattern was used for intensity and air flow rate measurement. Five males and five females pronounced the speech tasks with comfortable pitch and intensity : VOT, intensity, and air flow rate were measured. As results, the prevocalic stop consonants showed bilabials, the shortest VOT and velars, the longest one, except the unaspirated stops which showed the shortest was velar /k'/, and the alveolar /t'/ was the longest. Considering the tensity, heavily aspirated stops showed the longest, and the unaspirated, the shortest. Also the intervocalic stops showed similar results with the prevocalic stops, except the slightly aspirated stops which showed alveolar sound was the longest, and the bilabials, which showed the shortest was the slightly aspirated /p/, unlike the prevocalic stops, the unaspirated /p'/ the shortest. All of prevocalic stops showed the highest air flow rate in heavily aspirated stops, the second, thee slightly aspirated ones, and the lowest was the unaspirated stops. And as a whole, bilabials were the highest, and velars, the lowest, except in the heavily aspirated stops, which was the alveolar sound, the lowest. In the dimension of intensity, the unaspirated and bilabials were the highest, and the heavily aspirated and velars were e lowest, except the slightly aspirated stops, which were the bilabials the lowest, and the alveolars the high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