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파열연자음 유성화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고찰 -운율구조와 관련하여-

An Acoustic study of Korean Lenis Stop Voicing -in relation to Prosodic Structures-

  • 발행 : 1999.11.06

초록

이 논문은 한국어 파열연자음이 유성음 환경에서 유성음화하는 현상을 운율구조와 관련해서 음향음성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음성적 자질로서나 청각적인 판단에 의해서나 무성음과 유성음의 이분법으로 나뉘는 것을 음향적 고찰을 통하여 각각을 하위의 범주로 나누었다. 문장 안에서 파열연자음이 음향적으로 실현될 때 각각의 범주가 어느 정도의 빈도수로 출현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어 파열연자음은 어절 초에서는 무성음으로 실현되나 앞뒤에 유성음이 오는 경우에는 유성화되는 음운규칙이 있는데, 음향적인 분석을 통하여 앞뒤에 유성음이 온다는 조건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예들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인접음절(특히 앞음절에 오는 분절음의 특성)과 운율구조(액센트구 내에서의 위치, 억양구경계의 유무)를 함께 고려하는 파열연자음 유성화규칙의 조건을 제안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