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라치온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Parathion에 노출된 붕어(Carassius auratus)의 Acetylcholinesterase 억제와 행동변화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Behavioral Changes of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Exposed to the Waterborne Parathion)

  • 조규석;박종호;이원호;강주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64-369
    • /
    • 2006
  • 파라치온에 노출된 붕어의 뇌, 안구, 근육 및 혈청의 AChE 활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파라치온 $63{\mu}g/L$ 농도 이상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종료 시 AChE 활성은 뇌에서 79.1~92.4%, 안구에서 76.0~91.5%, 근육에서 89.7~97.6% 및 혈청에서 68.9~78.0% 감소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유의한 생존율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유영이상 및 경련을 보였다. 또한 파라치온에 노출된 붕어의 형태변화는 척추측만(scoliosis)이 관찰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파라치온 $190{\mu}g/L$ 농도는 15%, $380{\mu}g/L$에서는 75%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붕어의 AChE 활성과 그 밖의 행동 및 형태적 특성은 자연수계에서 파라치온 오염을 추정할 수 있는 생물학적 모니터닝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파라치온 분해 세균 Pseudomonas rhodesiae H5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arathion Degrading Pseudomonas rhodesiae H5.)

  • 윤남경;박경량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82-588
    • /
    • 2004
  • 대전 근교의 농약으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파라치온을 분해하는 81균주를 분리한 후, 분리균주들중 파라치온 이용능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균은 생리생화학적 조사와 16S rRNA 염기 서열분석 등을 통하여 Pseudomonas rhodesiae H5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rhodesiae H5는 다양한 당을 이용하였으나 sorbose는 이용하지 못하였다. 또 이 균주는 ampicillin, spectinomycin, mito-mycin C에는 일부 저항성을 가지나 kanamycin, chloram-phenicol에는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BaCl_2$, LiCl, $MnSO_4$등의 중금속에서는 mg/ml 단위까지 강한 내성을 나타냈다. Pseudomonas rhodesiae H5의 최적 생장 조건은 3$0^{\circ}C$, pH 7.0 이었고, 이 균주는 파라치온의 organophosphate bond를 가수분해하여 p-nitrophenol를 생성한 후 ortho-ring cleavage를 거쳐 중심대사에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페니트로치온 도태 Yumenoshima 저항성 집파리에 있어서의 파라치온 저항성 메카니즘 (Mechanisms of Parathion Resistance in a Ethyl Fenitrothion-Selected Yumenoshima III Strain of House Flies)

  • 안용준;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4-259
    • /
    • 1996
  • Yumenoshima III 집파리 계통을 ethyl fenitrothion으로 30세대 도태시킨 EF-30 계통에 있어서의 parathion 저항성 메카니즘을 생화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활성은 저항성계통과 감수성 SRS 계통간에 커다란 차이를 보여 이 효소의 감수성 저하가 저항성의 주료 메카니즘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양 계통에 있어서의 parathion과 paraoxon의 in vitro 분해활성은 미크로좀 및 수용성 분획과 관련이 있으며, 각각 NADPH와 glutathione을 필요로 하였다. 저항성계통은 감수성계통에 비하여 GSH S-transferase 활성이 높아 이 효소가 저항성 메카니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저항성계통은 parathion에 대하여 101,487배, ethyl parathion에 대하여 25,914배의 저항성비를 나타내어 parathion이 GSH S-transferase의 기질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EF-30 계통에 있어서의 저항성 메카니즘에는 수종의 요인이 관여하여 parathion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나, 이들 요인이외에 타 요인의 관여를 배제할 수 없었다.

  • PDF

자주달개비 수술털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손상에 대한 살충제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Pesticide on Radiation-Induced Cell Damage in Tradescantia 4430 Stamen Hairs)

  • 김진규;김원록;이창주;장화형;이영근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21-26
    • /
    • 1999
  • 살충제와 방사선이 자주달개비 수술털 돌연변이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을 평가하였다. 포트에서 생육된 Tradescantia 4430 식물체에 코발트 선원으로부터 0.3, 0.5, 1.0 및 2.0 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살충제는 감마선 조사 24시간 전에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파라치온 유제를 살포하였다. CT 실험군과 Pa+${\gamma}$실험군에 있어서의 돌연변이 빈도가 증가한 고조기간은 방사선 조사 후 7 ~ 11일로 돌연변이 빈도는 방사선량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반응관계를 보였다. CT 실험군에서의 선량반응식 기울기 (증가계수)는 5.99 ($r^2$=0.988)이었으나, Pa+${\gamma}$ 실험군의 증가계수는 3.43 (r$x^-2$=0.981)으로 CT 실험군의 값에 비해 현격히 낮았다. 즉 Pa+${\gamma}$ 실험군이 CT 조사군에 비하여 방사선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 증가율이 43%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살충제 전처리가 방사선에 의한 세포유전물질 손상을 오히려 저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실험결과는 두 가지 불리한 자극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공조작용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며 오히려 파라치온 전처리에 의해 식물체가 보다 강한 자극에 대비할 수 있도록 유도되는 적응반응이 유발되었거나 방사선효과에 대한 변화작용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 PDF

환경재해에 관한 생물정보로서의 이온화 방사선과 살충제의 인체 위해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Human Risk by Ionizing Radiation and Pesticide as Biological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al Disaster)

  • 김진규;현성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385-392
    • /
    • 2001
  • 환경독성물질이나 생물 위해 요소의 환경내 준위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환경재해가 유발될 수 있다. 이온화 방사선의 산업적 의료적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병해충을 막기 위한 살충제 사용의 점진적 증가로 인해 이들에 의한 재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들 재해 요인들에 의한 인체 위해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단세포 겔 전기영동법 (SCGE)을 이용하여 사람 림프구 DNA 손상에 미치는 방사선과 살충제의 영향을 각각 평가하였다. 각기 다른 농도로 살충제를 10분간 처리한 림프구에 대한 SCGE 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0{\sim}2.0Gy$의 방사선을 조사한 림프구에 대한 SCGE 분석을 실시하여 DNA 손상도를 평가하였다. DNA 손상도는 감마선에 대해서 뚜렷한 선량-반응 관계를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살충제에 대해서도 명확한 농도-반응 관계를 나타내었다. 파라치온은 농업권장 사용농도인 $1mg{\ell}^{-1}$에서도 림프구에 대해 강한 유전독성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유전독성은 0.1 Gy의 감마선에 의해 유발되는 DNA 손상에 상응하며 $2mg{\ell}^{-1}$의 파라치온은 임상적 증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전신 외부피폭 방사선량인 0.25 Gy에 상응하는 세포손상을 유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방사선과 살충제의 인체 위해도를 비교할 수 있는 실험적 자료와 환경재해 예방에 필요한 생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자성 흰쥐의 파라치온 급성독성 및 대사에 미치는 페노바르비탈 및 SKF-525-A의 영향 (EFFECT OF PHENOBARBITAL AND / OR SKF 525-A ON THE METABOLISM AND ACUTE TOXICITY OF PARATHION IN ADULT FEMALE PATS)

  • 최재화;임혜경;김영철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51-59
    • /
    • 1990
  • Effects of altering hepatic mixed-function oxidase (MFO) enzyme activities on the metabolism and acute toxicity of parathio were investigated in adult female rats. In vitro hepatic metabolism of parathion to paraoxon was increased by phenobarbital pretreatment (50 mg/kg/day, ip, for 4 consecutive days) and SKF 525-A (50 mg/kg, ip, 1 hr prior to sacrifice) decreased paraoxon formation indicating that phenobarbital induces that form(s) of cytochrome P-450 catalyzing conversion of parathion to paraoxon. Degradation of paraoxon to p-nitrophenol was increased by phenobarbital pretreatment, but not affected by SKF 525-A suggesting that MFO activities play only a minor role in the detoxification of the active metabolite of this insecticide. The phenobarbital-induced increase in paraoxon formation was partially antagonized by SKF 525-A. Significant activity for both parathion activation and paraoxon degradation was also observed in the lung preparation, however, this extrahepatic parathion and paraoxon metabolizing activity was not induced by phenobarbital or inhibited by SKF 525-A pretreatment. Phenobarbital pretreatment increased paraoxon level in livers of rats when measured 3 hr following parathion injection (2 mg/kg, ip). SKF 525-A did not alter parathion or paraoxon levels in brain, blood and liver. Phenobarbital pretreatment decreased the toxicity of parathion (4mg/kg, ip) or paraoxon (1.5 mg/kg, ip) as determined by decreases in lethality and inhibition of brain and lung acetylcholinesterases. An additional SKF 525-A treatment failed to decrease the protective effects of phenobarbital against parathion or paraoxon toxic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unknown factors other than hepatic MFO induction are involved in the protective action of phenobarbital against parathion and paraoxon toxicity.

  • PDF

고도산화와 정밀여과의 혼성공법을 이용한 유기화학물질의 분해 및 제거분석에 관한 연구 - 먹는 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ssolve and Remove Analysis of Organic Chemicals Using a Mixed Method of Advanced Oxidation and Micro Filtering - Water Drinking Point -)

  • 안태영;전상호;안태석;한미애;허장현;박미영
    • 멤브레인
    • /
    • 제17권2호
    • /
    • pp.99-111
    • /
    • 2007
  • 먹는 물 내에 존재하는 발암원인으로 의심되는 유기화학물질을 재래식 정수처리방법으로 제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들을 AOP산화 & M/F membrane 혼성공정법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처리수로 처리하고자 지하수를 반응조에 유효용량으로 유입하고 유기화학물질을 인위적으로 투입 혼합하여 충분히 희석시키고 이것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최적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유기 화학물질 중 VOCs는 페놀과 톨루엔을 그리고 농약은 파라치온, 다이아지논과 카바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은 각각 분류별 단일용액과 혼합용액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충분한 분해 및 제거를 위한 운전조건은 $H_2O_2$는 150 mL로 정량 주입하고, pH는 $5.5{\sim}6.0$, 온도는 $12{\sim}16^{\circ}C$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용존오존량은 5.0 mg/L이상, 반응시간은 $30{\sim}40$분이 최적 조건이었으며 그리고 같은 반응기 내 분리막의 사용은 $0.45{\mu}m$ 공경크기의 M/F membrane을 이용하여 대량의 음용수를 얻기 위한 결정이었다.

안동지역 하천의 환경오염물질과 곤충면역 생체지표 분석 (Environmental Pollutants in Streams of Andong District and Insect Immune Biomarker)

  • 유건상;고성운;조성환;이화성;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08
    • /
    • 2005
  • 경북 안동지역의 10개 하천 및 하천 주변으로부터 2004년 5월에 물, 토양, 퇴적물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들 지역의 환경오염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표준공정시험법이나 U.S. EPA 법을 이용하여 시료 중의 총질소, 총인, 화학적 산소요구량, 중금속, 유기인 및 유기염소계 잔류농약, 그리고 dioxin-like PCBs 등의 오염물질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을 이용한 면역교란의 생체지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총질소가 9.12 mg/L 수준의 와야천을 제외하고는, 각 하천 중의 총질소, 총인,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환경부에서 정한 허용기준치보다는 비교적 낮았다. 각 하천 시료 중의 납과 카드뮴의 함량은 허용 기준보다도 매우 낮았지만, 하천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미천, 길안천, 현하천의 납과 카드뮴 함유량은 다른 하천의 시료들에 비해서 몇 배 이상 높게 검출되었다. 잔류농약은 미천 주변의 토양에서 유기인계 살충제인 다이아지논, 파라치온, 그리고 펜토에이트가 0.19, 0.40, $1.13\;{\mu}g/g$ 농도로 검출되었다. 반면에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알려져 있는 16종의 유기염소계 농약과 12종의 dioxin-like PCB congeners는 검출한계 미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와야천의 시료에 대한 곤충면역 교란효과를 고려해 볼 때, 이 하천의 수질과 주변의 토양이 조사한 오염원 이외의 화합물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화학적 및 생물학적 검정 기술의 제약점과 상호 보완성이 기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