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동역학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uality of Light (빛의 이중성)

  • 김기식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4 no.1
    • /
    • pp.120-131
    • /
    • 1993
  • The wave-particle duality of light is studied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oghts in physics. The various ideas from Einstein to quantum optics are traced and the experimental evidences for each idea are enumerated. Moreover, the delicate features in quantum mechanics are pointed out and the conceptual bases of those features are stated.

  • PDF

연안류 분포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 인자

  • 윤영호;김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142-145
    • /
    • 1993
  • 쇄파대 내에서는 여러가지 흐름이 상호 간섭하면서 작용하기 때문에 극히 복잡한 흐름장이 형성 된다. 해빈의 제반 동역학에 있어서 최우선되는 작용력은 파동 이지만, 흐름 또한 표사와 확산현상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쇄파대 내외의 천수역에서는 해류나 조류 등 지구 물리학적 크기의 흐름보다는 소위 해빈류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해빈류계는 그 평면적인 흐름의 형태에 따라 연안류계(longshore current system), 순환류계(symmetrical celluar system), 사행류계(meandering system) 등 3가지로 분류된다(Basco, 1982). (중략)

  • PDF

Availability of thermal energy (열에너지의 유효성)

  • 김희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7 no.4
    • /
    • pp.1-8
    • /
    • 1985
  • 인류에 필수불가경한 에너지는,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에 의한 염에너지와 수력, 조력, 파력, 풍력 등의 비열에너지가 있으나, 에너지이용량중 열에너지가 절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열에너 지는 전기한 화석연료 뿐만 아니라, 태양집, 태양열발전소와 같은 태양열에너지의 직접이용, 핵에 너지의 열에너지전환, 지열, 해수의 온도차이용등, 열에너지는 다량하면서 막대한 에너지량을 보 유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ㅈ로 석유자원에 의존하여 온 것이 현상이다. 그러나, 1970년대 초기에 엄습한 석유파동이래, 세계적으로 에너지위기감에 사로잡혀, 세계각국은 탈석유화에 따른 에너지 의 다양화와 에너지절약이 감소되게 되었다. 연료절약에 관하여 말하면, 에너지이요의 효율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함에 있어서 열에너지이용에 관한 평가방법에 새로운 검토가 가해져서, 더 합 리적인 평가방법의 확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종래의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한 열 에너지의 양적평가 뿐만 아니라, 열역학 제2법칙에 의한 질적평가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유효에 너지(available energy) 또는 엑세르기(Exergie)의 개념이 위상되고 있다. 물론 이 개념을 적용 하여 열역학 제2법칙에 의한 해석에 따른 일정산(heat balance)에 있어서 전혀 새로운 결과가 얻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는 열정산에 있어서 열역학 제1법칙에 의한 평가방법만이 강 조되어, 열역학 제2법칙에 의한 평가방법은 거의 도외시되어온 것이 실정이며, 우리나라에서 발 간되는 열역학에 관한 도서에서도 이에 관한 검토 내용이 거의 찾아볼수 없거나, 가령 언급된 것이 있다 하더라도 그 내용이 간략하여 그 중요성이 경시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열역학 제2법칙에 의한 에너지정산에 의하여, 제1법칙에 의한 것보다 열에너지의 합리적이고 또한 유 효한 과학적평가가 가능하게 되어, 장치나 기기의 개선에 구체적이면서 합리적인 지침이 주어 지게 된다. 그리하여 이들 개념과 방법의 소개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지금부터 우리들이 잘 아는 용어를 사용하여 해설을 서로 하기로 한다.

  • PDF

Thermal Radiative Properties of Multilayer Graphene/Glass Structure (다층 그래핀/유리 구조체의 적외선 열복사 특성 연구)

  • Park, Kyung-Ah;Lim, Mikyung;Jung, Hyun-June;Kim,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34 no.1
    • /
    • pp.27-32
    • /
    • 2021
  • In this study, we fabricated multilayer graphene on a glass substrate by stacking the monolayer graphene synthesized via chemical vapor deposition. The electrical sheet resistance and optical transmittance were evaluated to confirm the quality of the stacked multilayer graphene. Using the fabricated multilayer graphene/glass structure, we characterized its thermal radiative property in terms of the integrated emissivity. The integrated emissivity of the multilayer graphene/glass structure was tuned from 0.91 to 0.72 when the number of graphene layers was changed from 1 to 12. We also demonstrated that the emissivity tunability provided a way to control the apparent temperature of an object that can be used in infrared stealth applications.

The development of non-contact soil moisture sensors using Rayleigh waves and a fully convolutional network (레일리파와 딥러닝를 활용한 비접촉식 토양수분센서 개발)

  • Seoungmin Lee;Dong Kook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3-223
    • /
    • 2023
  • 토양수분은 지표면과 지하 영역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 및 열에너지의 분배를 제어하거나, 토양 영양분, 식물 성장 및 미생물 활동과 같은 다양한 환경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구성요소이다. 토양수분은 생태수문학 및 생지화학적 역학, 저수지 관리, 가뭄 및 홍수의 경고, 토양 수분 변화에 따른 작물 수확량 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토양 수분의 정확한 측정은 필수적이며,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중력 측정법, 장력 측정법, 전기 저항법 및 시간-주파수 영역반사측정법 등의 다양한 측정 방법들이 다년간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다만, 앞선 방법들은 철저한 실험을 통해 높은 정확성을 확보하였지만, 토양 교란이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하며 실험 현장 토양의 물리적, 생물학적, 그리고 화학적 특성의 보존은 매우 어려운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레일리파를 이용한 비접촉식 비교란 토양수분 센서 개발을 목표로 한다. 모래, 실트, 점토와 같은 세 가지 특징적인 토양 유형에 따른 파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파동으로부터 토양 수분을 추정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시간-주파수 방법을 활용하여 토양수분을 함께 측정하였다. 비접촉 파동신호를 토양수분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fully convolutional network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델의 결과 검증은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활용하여 검증하였으며, 모래, 실트, 점토에서 각각 0.0131, 0.0021, 0.0034 m3 m-3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한 누출 레일리파를 사용한 비교란-비접촉 토양수분 측정 방법으로, 토양을 교란하지 않고 토양수분을 측정 할 수 있는 높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Minera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me Rocks as Aggregates and Their Suitabulity for Concrete (골재용 암석의 광물학적 및 역학적 특성과 콘크리트용으로서의 적합성 연구)

  • 진호일;민경원;연규석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4
    • /
    • pp.183-193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firstly, to determine the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me rock aggregates, secondly, to offer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ose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irdly, to evaluate their suitability for concrete aggregates. Mineralogical, che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d rock aggregates indicate that granite from BJ quarry and banded gneisses from KB. HI and SK quarry, and quartzite from the Hongcheon riverside are not proper to cement concrete aggregates because of quartz's potential possibility of alkali-silica reaction, and limestone in SY quarry is proper to asphalt concrete aggregates owing to dolomite causing alkali-carbonate reaction. Augen gneiss and diorite from KB and SA quarry, respectively, are to be not suitable for concrete aggregates because of biotite contents, but augen gneiss in HI quarry and gneisses in Hongcheon riverside are proper to concrete aggregates because of mineralog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Approaches of the Computaional Mechanics on the Stress Wave Analysis (응력파동해석에 대한 전산역학적 접근방법)

  • 조윤호;정현규;김승호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2.04a
    • /
    • pp.415-429
    • /
    • 2002
  • Various modeling techniques for ultrasonic wave propagation and scattering problems in finite solid media are presented. Elastodynamic boundary value problems in inhomogeneous multi-layered plate-like structures are set up for modal analysis of guided wave propagation and numerically solved to obtain dispersion curves which show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guided waves. As a powerful modeling tool to overcome such numerical difficulties in wave scattering problems as the geometrical complexity and mode conversion, the Boundary Element Method(BEM) is introduced and is combined with the normal mode expansion technique to develop the hybrid BEM, an efficient technique for modeling multi-mode conversion of guided wave scattering problems.

  • PDF

Deformation of Sound Propagation to Account for Wind Advection (바람의 이류를 고려한 사운드 전파의 변형)

  • Jong-H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85-58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바람의 이류(Advection)를 고려하여 사운드의 전파를 변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사운드는 공기와 같은 매질의 진동을 통해 전파되는 파동이며, 이런 바람의 이동 방향은 사운드 에너지 전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광선추적법(Raytracing) 기반으로 모델링한다. 기존의 사운드 전파는 물리기반, 기하처리(Geometry processing), 혼합기법(Hybrid method) 등의 방법이 제안됐으며, 다양한 장면에서 좋은 결과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바람의 움직임은 유체역학을 기반으로 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에 의해 표현되기 때문에 사운드 전파만으로는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전파 형태를 모델링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바람의 유동 중 이류를 고려하여 사운드 맵을 효율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Time Series Perturbation Modeling Algorithm : Combination of Genetic Programming and Quantum Mechanical Perturbation Theory (시계열 섭동 모델링 알고리즘 : 운전자 프로그래밍과 양자역학 섭동이론의 통합)

  • Lee, Geum-Y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3
    • /
    • pp.277-286
    • /
    • 2002
  • Genetic programming (GP) has been combined with quantum mechanical perturbation theory to make a new algorithm to construct mathematical models and perform predictions for chaotic time series from real world. Procedural similarities between time series modeling and perturbation theory to solve quantum mechanical wave equations are discussed, and the exemplary GP approach for implementing them is proposed. The approach is based on multiple populations and uses orthogonal functions for GP function set. GP is applied to original time series to get the first mathematical model. Numerical values of the model are subtracted from the original time series data to form a residual time series which is again subject to GP modeling procedure. The process is repeated until predetermined terminating conditions are met. The algorithm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construct highly effective mathematical models for many real world chaotic time series. Comparisons with other methodologies and topics for further study are also introduced.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Science Subject: With a Focus on Optics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 문항 특성 분석 : 광학 내용을 중심으로)

  • Lee, Bongwoo;Lee, I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3
    • /
    • pp.465-4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physics (optics) in nationwide standardized assessment and to investigate middle-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of achievement by using an option response rate distribution curv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10 optics problems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tems for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 conducted in 2010-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a little higher achievement in optics than classical mechanics and electromagnetism. Second, students achieved significantly worse in 'formation of image' in 'light' part and 'variation of phase in propagation of wave' in 'wave' part. Third, students showed a context-dependent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result. Additionally,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about the readjustment of some optics concepts level of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basic level students, and the need fo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cused on the realistic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