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노라마 가상 현실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bic Panorama Virtual Reality (정육면체 파노라마 가상현실 설계 및 구현)

  • 이종찬;김응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721-725
    • /
    • 2002
  • 가상현실 기술에는 공간상에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파노라마 기술과 사물의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오브젝트 기술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현재까지의 기술 중 오브젝트 가상현실에 대하여서는 관찰자가 오브젝트론 상, 하, 좌, 우로 회전, 이동시키면서 확대, 축소 가능한 상태로 볼 수 있는 입체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하지만, 파노라마 가상현실의 표현에 있어서는 제작 방식의 제한된 상황으로 천장과 바닥의 표현이 왜곡되거나 표현되지 못하는 단점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노라마의 기본적 개념과 파노라마 가상현실 제작과정을 통하여 상하 표현의 제한되는 단점을 파악하고, 상하의 표현을 근본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육면체 타입의 새로운 데이터 형식을 제안하여 파노라마 가상현실 공간을 구성하도록 한다.

  • PDF

Creating Full View Panorama Image from Multiple Images (다중영상으로부터 360도 파노라마 생성)

  • Joe, Jun-Seong;Lee, Bum-Jong;Park, J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162-166
    • /
    • 2007
  • 단일 영상의 시야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중 영상으로부터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은 좌우 360도까지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어서 복잡한 실제 환경을 가상 환경에서의 배경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환경에서의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노라마 영상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다중 영상들을 촬영하고 이를 사용하여 하나의 구형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상하 시야각을 180도까지 확보하기 위한 제작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생성된 구형 파노라마 영상으로부터 3차원 렌더링에 적합한 텍스쳐로의 변환과정을 제시한다 실제 환경을 가상화할 시에 파노라마 배경을 사용하면 조밀한 배경을3차원적으로 모델링하지 않고도 배경을 3차원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제안된 기법은 가상현실 응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Implement and Design of Viewer System based on the Panoramic Virtual Reality (파노라마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뷰어 시스템 설계와 구현)

  • Kim, Chang-Ki;Hong,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983-986
    • /
    • 2013
  • 최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컴퓨터를 활용한 일상생활의 편리함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며, 현대인의 바쁜 일상은 보다 나은 효율적인 생활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특정 장소에 가보지 않고 그곳을 컴퓨터를 통해 간단한 조작으로 가상의 공간을 탐색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파노라마 가상현실(panoramic virtual reality)을 이용해 보다 편리한 가상 세계의 탐색의 경험을 도운다. 가상현실을 구성하는 장면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스티칭, 편집 그리고 가상머신의 이용법, 핫스팟을 통한 장소와 장소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소개한다.

Smartphone PVR-based Cultural Assets Experience (스마트폰 PVR 기반 문화재 체험)

  • Choi, Hong-Seon;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7-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대상이 되는 문화재를 파노라마로 촬영하고, 촬영된 파노라마 사진을 equirectangular 형태로 정합하여 3D studio max에서 가상의 공간에 mapping시키고, mqo포맷으로 출력한다. 안드로이드 OpenGL에서 출력된 mqo포맷을 불러와 GUI button을 활용하여 파노라마 가상현실 기술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PDF

A Study on 3D Panoramic Generation using Depth-map (깊이지도를 이용한 3D 파노라마 생성에 관한 연구)

  • Cho, Seung-Il;Kim, Jong-Chan;Ban, Kyeong-Jin;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6
    • /
    • pp.831-838
    • /
    • 2011
  • Computer vision research area, a division of computer graphics application area that creates realistic visualization in computer, conducts vigorously researches on developing realistic 3D model or virtual environment. As the popularization and development of 3D display makes common users easy to experience a solid 3D virtual reality, the demand for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increasing. This paper proposes 3D panorama system using depth point location-based depth map generation method. 3D panorama using depth map gives an effect that makes users feel staying at real place and looking around nearby circumstances. Also, 3D panorama gives free sight point for both nearby object and remote one and provides solid 3D video.

Virtual Reality Panorama System using Stitching Techniques and Depth-map (스티칭 기법과 깊이지도를 이용한 VR 파노라마 시스템)

  • Cho, Seung-Il;Kim, Jong-Chan;Ban, Kyeong-Jin;Kim, Eu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544-546
    • /
    • 2011
  • The popularization and development of 3D display makes common users easy to experience a solid 3D virtual reality, the demand for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increasing. This paper proposes VR panorama system using vanishing point location-based depth map generation method. VR panorama using depth map gives an effect that makes users feel staying at real place and looking around nearby circumstances.

  • PDF

Construction of Cubic Panoramic Image for Realistic Virtual Reality Contents (실감형 VR 콘텐츠 제작을 위한 큐브 파노라마 영상의 구성)

  • Kim, Eung-Kon;Seo, Se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31-435
    • /
    • 2006
  • Panoramic Image provides wider field of view than image from acquisition equipment such as a camera and provides realism and immersion to users compared with single image. Cubic panoramic image provides three dimensional access zooming and rotating in top, bottom,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we require commercial softwares to make a panoramic image and can see distorted images in top and bottom direction.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hat constructs cubic panoramic virtual reality image using Apple QuickTimeVR's cubic data structure without any commercial software to make realistic image of top and bottom direction in cubic panoramic virtual reality space.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Hoseo University Cyber Museum based on the Panoramic Virtual Reality (파노라마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호서대학교 사이버 박물관의 설계 및 구현)

  • Hong, Sung-Soo;Kim, Chang-Ki;Irfan, K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48-1451
    • /
    • 2012
  • 파노라마 가상현실이란 특정 장소의 경험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현실 세계의 장소에 직접 가보지 않고 가상 현실 속의 사물이나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탐색하고 습득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는 이상적인 키 포인트를 탐지하는 동적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함께 이 지점과 인접한 이미지를 병합하고, 부드러운 색상 전환을 위해 이미지를 혼합하는데 사용된다. FAST와 SURF 탐지는 이미지의 확실한 특징을 찾는데 사용되고, 가장 가까운 이웃 알고리즘은 해당되는 특징을 일치시키는데 사용되며, RANSAC을 사용하여 일치하는 키 포인트를 homography로 판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자동 선택하여 스티칭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The Generation of Cube Panoram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큐브 파노라마 가상현실 공간 구현)

  • 이종찬;김응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10a
    • /
    • pp.177-180
    • /
    • 2001
  •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divided two parts Panorama technology to imbody VR on space and Object technology to embody VR of things. About Object VR technology until present, they provided a cube access way, then observer can see object up, down, left, right side and zoom-in, zoom-out, but there is a fact that up-and-down expression is distorted or shows shortcoming that is not expressed by limited situation of manufacture way in Panorama VR's express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examine the shortcoming that do not become top-and-bottom expression through basic concept of Panorama and Panorama VR manufacture process and do to propose cube type of new data format that permit up-and-down expression as a real world and compose Panorama VR space.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 Program using 3D Panorama Virtual Reality Technique (3D 파노라마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한 지질 답사 학습 자료의 개발과 적용)

  • Kim, Hee-S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5 no.3
    • /
    • pp.180-191
    • /
    • 2014
  • In this study, a geological field trip learning program using 3 Dpanorama virtual reality (PVR) techniques is developed to learn about the Chaeseokgang area located in a national park near Byeonsan-bando, Jeonbuk, Korea. The developed $360^{\circ}{\times}180^{\circ}$ PVR program can show every face of observational points and interact as zoom-in, zoom-out and image rotation. For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materials, it is provided with a compass, a protractor for measuring the dip of strata and observation of specimen of observational points. It also assists students to learn by providing enlarged images, pop-up windows, and expert explanation main observational points. The program is applied to the class of 35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responses of the students were 85% or more. It is suggests that this program be used as indirect situated learning material and a solution to geological field trip problems like cost, safety, distance, and so on geological learning of middle school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