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괴양상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23초

탄도충격으로 파괴된 다결정 Alumina의 파면조직 (Fractographic Studies in Ballistically Damaged Polycrystalline Alumina)

  • 김종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7-134
    • /
    • 1978
  • 탄도충격에 의하여 파괴된 단결정 alumina의 파면조직을 광학 및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파면의 주된 파괴 양상은 결정 입개면의 분리 또는 결정입내 파괴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파괴과정은 복잡한 cleavage 양상과 결정입자 내에서의 소성변형을 수반하고 있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에 의하면 alumina ceramics의 충격 파괴과정에서 에너지의 흡수가 국부적인 소성변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양강댐 가상 파괴파의 수치모의 (A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Dam-Break Wave from the Hypothetical Failure of Soyanggang Dam)

  • 이상호;이길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09-122
    • /
    • 1992
  • 파괴양상, 조도, 하류댐 지점의 수위-유량 관계 및 붕괴여부에 불확실성이 있으나, 소양강댐이 가상 파괴될 경우 댐 파괴파의 전파양상을 DAMBRK로 수치모의하였다. 모의결과, 서울은 6~8시간 내에 범람이 예상되며 표고 30-20m 이하 지역이 침수되고, 춘천의 대부분 지역이 침수된다. 첨두유량은 파괴시간 1~2시간에 대하여 인도교에서 약 7.0만 CMS이고 춘천은 약 22~34만 CMS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하류댐들의 붕괴여부나 파괴양상이 서울지역에 대한 범람양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 PDF

교량 바닥판의 파괴형태를 고려한 임계보강재비의 이론적 산정 (Theoretical Assessment of Limit Strengthening Ratio of Bridge Deck Based on the Failure Characteristic)

  • 심종성;오홍섭;유재명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10-117
    • /
    • 2002
  • 공용하중의 증가 등에 따른 교량 바닥판의 성능향상 시 바닥판 두께, 콘크리트 강도, 철근강도 그리고 철근비와 더불어 보강재비에 의하여 바닥판의 파괴양상은 바뀌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량 바닥판의 파괴양상은 주철근 및 배력철근의 항복 이후에 펀칭전단파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외부부착공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이러한 파괴양상을 유지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바닥판에 사용된 철근비 및 보강재비 등을 주요변수로 하여 항복선 이론 및 소성 펀칭모델 등을 적용한 항복강도 및 파괴강도를 해석하였으며, 철근비에 따른 임계보강재량을 제안하였다.

개착사면의 구조적 특성과 파괴양상을 고려한 계측 해석 (Monitoring of Cut-Slope Behavior with Consideration of Rock Structure and Failure Mode)

  • 조태진;박소영;이상배;이근호;원경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6호
    • /
    • pp.451-466
    • /
    • 2006
  • DOM 시추코어에서 측정된 불연속면의 위치 및 방향성 자료를 이용하여 현장암반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사면거동 해석이 가능하였다. 3차원 공간에서 설정된 절리들의 위치에 의거하여 붕락 현상이 발생된 개착사면의 추가적인 파괴양상을 예측하였으며, 개별 절리면의 붕락위해 가능성과 개착면 상에서의 trace 위치를 파악하여 세부적인 사면거동 양상을 파악하였다. 개착사면 횡단면에서 개별절리들의 파괴거동 양상과 사면체 블록형성을 대수학적으로 산출하여 사면 붕락심도를 규명하였다. 현장사면에 자동화 계측시스템을 설치하여 사면 거동에 대한 계측자료를 수집하였으며, DOM 시추공 내에 지중경사계를 설치하여 사면거동 양상을 횡단면 해석 결과와 대비시켜 분석하였다. 지중경사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개착면의 표면변위 자료에 의거하여 사면 파괴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고찰하였으며, 강우가 사면거동에 끼치는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트러스 모델을 이용한 춤이 깊은 보에 정착된 헤드 철근의 파괴 메커니즘과 극한 내력 해석 (Failure Mechanism and Ultimate Strength of Headed Bar Anchored in Deep Beam Using Truss Models)

  • 천성철;홍성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봄학술 발표회 논문집(I)
    • /
    • pp.143-146
    • /
    • 2005
  • 최근 들어 90도 표준갈고리의 대안으로 정착판을 지니는 헤드 철근(headed ba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헤드 철근의 정착내력은, 정착판의 지압력과 위험단면에서 헤드까지 정착길이의 부착력으로 발현된다. 실제 구조물에서는 정착되는 부재의 재료 및 기하학적 물성에 의해 다양한 파괴가 발생된다. 따라서 헤드 철근의 정착내력은 단순히 지압력과 부착력의 합으로 산정될 수 없으며, 발생 가능한 모든 파괴양상을 고려한 최소 내력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헤드 철근의 정착내력을 산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해석모델로, CCT 절점에 정착된 헤드 철근의 트러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트러스 모델의 파괴는 부착파괴와 콘크리트의 압축파괴로 구분되며, 재료 및 기하학적 물성에 의해 파괴 양상이 결정된다. 이러한 트러스 모델은 외부 보-기둥 접합부와 같이 보다 복잡한 부위에 정착된 헤드철근의 정착 기구를 설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얕은기초의 하중지지거동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Load Bearing Behavior of Shallow Foundations)

  • 이승현;이수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22-6328
    • /
    • 2014
  • 얕은기초의 하중지지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3종류의 얕은기초를 가정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띠기초에 대한 해석을 통해 구한 파괴시의 기초하부지반의 파괴양상은 팽창각이 없는 경우 국부전단파괴양상을 보였으며 팽창각이 있는 경우에는 전반전단파괴양상을 보였다. 팽창각에 따른 극한하중에 있어서는 팽창각이 있는 경우의 극한하중이 팽창각이 없는 경우에 비해 1.5배 큰 값을 보였다. 원형기초와 정사각형 기초에 대한 해석결과에 따르면 팽창각의 존재여부와 관계없이 파괴시 기초 인접지반면에 상향의 변위가 발생하여 전반전단파괴양상을 보였다. 극한하중에 있어서는 팽창각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10% 정도 증가하였다. 세 종류의 얕은기초에 대하여 해석을 통해 얻은 하중-침하곡선을 살펴볼 때 팽창각이 클수록 하중지지능력이 큼을 알 수 있었다.

4변이 단순지지된 폴리머 모프터 샌드위치 패널의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Polymer Mortar Sandwich Panels with Simply Supported Four Edges)

  • 연규석;김광우;김기성;황진용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5-155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표면부를 에폭시 폴리머 모르터로 하고 , 중심부를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하는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여, 표면부를 용접철강으로 보강한 경우와 보강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4강 단순지지 조건에서의 정적 차 통해 하중-처짐, 휨모멘트-변형률, 파괴양상 등을 구명하였다. 단위중량, 극한가중, 휨모멘트는 중심부의 두께보다 표면부 두께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극한처짐은 보강안된 경우 표면부 보다 중심부 두께의 영향이 월등히 컸으마 보당된 경우는 표면부나 중심부 두께의 영향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용접철망의 보강은 샌드위치 패널의 처짐억제 보다 인성증가에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샌드위치 패널의 파괴양상은 보강하지 않은 경우 선형파괴가 일어난데 비해 보강한 경우에는 방사상의 파괴가 일어났다.

강판 휨보강된 철근콘크리트보의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Steel Plates)

  • 오병환;조재열;강동옥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33-244
    • /
    • 1997
  • 구조적으로 손상을 입은 구조물들에 대한 보강방법으로 강판, 카본쉬트, 아라미드섬유쉬트 등을 이용한 접착공법이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널리 Tm이는 방법은 강판접착공법이다. 강판접착공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보의 구조적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의 영향이나 강성, 파괴양상등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강판접착공법에서 파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박리하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철근콘크리트보부재를 대상으로 하여 주요실험변수로 선행하중의 크기, 강판의길이, 강판의 두께, 앵커볼트의 간격과 유무, 강판의 층수, 측면보강높이를 실험변수로 하여, 휨인장에 대해 강판잡착공법을 적용하여 포괄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3등분점하중법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처짐, 인장 및 압축 철근의 변형도, 콘크리트와 강판의 변형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파괴양상과 파괴하중을 분석하였다.

폭약 이격에 따른 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파괴양상 연구 (A Study on Blasting Aspect of Steel Member and Concrete Member According to Separation distance of Explosives)

  • 양형식;김정규;고영훈;노유송;신명진
    • 화약ㆍ발파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14
  • 외부장약 발파시 부재와 폭약의 이격거리에 따른 절단 및 파괴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강 부재와 콘크리트 부재에 TNT 카트리지 폭약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강 부재나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파괴 장전공식은 다소 보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콘크리트 부재에 비해 강 부재가 폭약 이격거리에 대한 파괴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강 부재의 경우 표준폭약 이상으로 장전해도 폭약이 부재에서 2cm 이격된 경우 절단되지 않고 구부러짐만 나타났다. 같은 이격에 대하여 콘크리트 블록 부재의 경우 구조물의 파괴를 유도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초, 굴착

  • 정교철;오대열
    • 대한지질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질공학회 2004년도 암반의 조사와 적용(단행본)
    • /
    • pp.24001-24056
    • /
    • 2004
  • 암반 기초에서 발생 가능한 파괴형태로는 $\circled1$전단파괴(Shear failure) $\circled2$관입파괴(punch failure) $\circled3$붕락(Collapse) $\circled4$균열파괴 (cracking) $\circled5$분쇄상파괴 (crushing) $\circled6$쐐기상파괴 (wedging)를 들 수 있다. 그림 2.4-1에서 (a)는 연암층 내에서의 전형적인 전단파괴를 나타내고, (b)는 소성암반 상부에 강성암반이 놓였을 때의 전단파괴를 보여준다. (c)는 2층으로 구성된 지반에서의 전단파괴 양상이며, (d)는 편심하중이 작용할 때의 전단파괴이다. (e)는 사면 상에서의 활동에 의한 파괴유형이다. (f)는 절리가 발달한 풍화된 암반내로 진행되는 관입파괴를 보여주고 있다. (e)는 연암지반 내부로 강성암반이 관입되어 파괴된 모습이다. (h)는 풍화된 화강암에서의 관입파괴 유형이다. (i)는 석회암층 내부의 지하공동에 의한 붕락현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j)는 지하수의 유동에 의해 형성된 공동으로 인한 붕락파괴를 나타낸다. (k)는 균열파괴, (l)은 분쇄상 파괴, (m) 쐐기상 파괴, (n)은 단층선을 따른 파괴 유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