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팁인

Search Result 50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Numerical Investigation of Effects of Tip Clearance Height on Fan Performance and Tip Clearance Flow in an Axial Fan of the Cooling Tower (냉각탑용 축류팬의 팁 간격이 팬 성능 및 틈새 유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Oh, Keon-Je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6 no.1
    • /
    • pp.44-50
    • /
    • 2012
  • 팁 간격의 크기가 냉각탑용 축류팬의 성능과 누설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2가지 팁 간격을 가진 경우에 대해서 점성유동을 해석하였다. 케이싱 내에서 작동하는 축류팬 주위의 유동을 연속방정식, Navier-Stokes 방정식 등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여 수치해석 하였다. 난류유동에 나타나는 레이놀즈 응력은 ${\kappa}-{\epsilon}$ 난류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전체적으로 H형 격자계를 사용하였으며, 팁 주위의 유동을 해석하기 위해서 팁 영역 주위에 부분적으로 조밀한 격자를 두었다. 팁 간격이 증가하면 누설 유동의 증가로 인한 유동 손실의 증가로 전압상승과 수력효율이 감소하였다. 팬 직경에 대한 팁 간격이 0.4%에서 1.0%로 증가하면 전압상승 값이 약 10% 정도 감소하였으며, 수력효율은 약 3% 정도 감소하였다. 팁 간격이 팁 근처 날개 주위의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팁 간격이 증가하여 누설 유동이 증가하면 흡입면과 압력면의 압력차가 전연 부근에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누설 와류의 중심은 코드를 따라서 흡입면으로 부터 떨어져 나가면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누설 와류의 위치를 보면 팁 간격이 증가하면 와류 중심의 위치가 흡입면 쪽으로 이동하고, 흡입면에서 떨어진 거리도 날개 후반부에서 증가 폭이 커지는 포물선 형태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Groove Shape of Blade Tip on Tip Surface Heat Transfer Coefficient Distributions of a Turbine Cascade (블레이드 팁의 Groove 형상이 터빈 캐스케이드 팁 열전달 계수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Nho, Young-Cheol;Jo, Yong-Hwa;Lee, Yong-Jin;Kim, Hark-Bong;Kwak, Jae-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4 no.6
    • /
    • pp.60-68
    • /
    • 2010
  • In this study, the conventional plane tip, double squealer tip, and various groove tip blades were tested in a linear cascade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tip shapes on tip surface heat transfer coefficient distributions. Detailed heat transfer coefficient distributions were measured using a hue-detection based transient liquid crystals technique. Two tip gap clearances of 1.5% and 2.3% of blade span were investigated and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cascade exit velocity and chord length was $2.48{\times}10^5$.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s on the tip surface with various grooved tips were lower than those with plane tip blade.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n grooved along suction side tip was lower than that on the squealer tip.

Effect of Groove Shape of Blade Tip on Tip Surface Heat Transfer Coefficient Distributions of a Turbine Cascade (블레이드 팁의 Groove 형상이 터빈 캐스케이드 팁 열전달 계수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Nho, Young-Cheol;Jo, Yong-Hwa;Lee, Youn-Jin;Kim, Hark-Bong;Kwak, J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5a
    • /
    • pp.311-318
    • /
    • 2010
  • In this study, the conventional plane tip, double squealer tip, and various groove tip blades were tested in a linear cascade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tip shapes on tip surface heat transfer coefficient distributions. Detailed heat transfer coefficient distributions were measured using a hue-detection based transient liquid crystals technique. Two tip gap clearances of 1.5% and 2.3% of blade span were investigated and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cascade exit velocity and chord length was $2.48{\times}10^5$.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s on the tip surface with various grooved tips were lower than those with plane tip blade.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n grooved along suction side tip was lower than that on the squealer tip.

  • PDF

standard enactment of Reliability testing for contact tip during GMA welding (GMA용접용 콘택트팁의 신뢰성 평가 기준 제정)

  • 김남훈;김희진;유회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4.07a
    • /
    • pp.139-145
    • /
    • 2004
  • 용접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가스메탈아크 용접에서 고내마모성의 콘택트 팁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현재 국내외에서는 콘택트팁에 대한 수명평가 기준이 없으며, 일부 업계에서 자체 규격을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지만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팁의 신뢰성 평가기준을 제정하고자 하였다. 팁의 주요 파손기구로는 고온 마찰마모, 전기적 에로존, 번백 등이 있다. 신뢰성 평가는 경도 시험, 열처리 후 경도, 용접 마모, 전기전도도를 시험으로 구성되었다. 팁의 수명은 마모가 45%에 도달했을 경우 송급된 와이어 총 길이로 하였으며, 4시간까지 마모시험 한 결과를 근거로하여 한계수명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조성의 다섯 가지의 콘택트팁에 대하여 4시간동안 내마모성 실험을 하였으며, 마모정도는 1시간 단위로 면적비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가공경화형팁은 1시간이내에 재결정 및 입자성장에 의한 경도 저하로 가공경화가 팁 수명에 지속적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반면, 석출경화형팁은 석출경화 효과가 지속되어 가공경화형팁보다 수명이 향상 되었다.

  • PDF

Numerical Study of the Supersonic Turbine Rotor Tip Variation Effect on the Turbine Performance (로터 팁 간극이 초음속 터빈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 Park, Pyun-Goo;Jeong, Eun-Hwan;Kim, Jin-Han;Lee, Soo-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82-386
    • /
    • 2006
  • Three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f the supersonic turbines with different rotor tip clearance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tip gap clearance variations on the turbine performa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turbine performance deteriorates and the tip leakage increases by the effect of the rotor tip clearance and the tip leakage affects turbine performance degradation dominantly.

  • PDF

Contact Analysis of a Robotic Cleaning Mechanism Using Soft Tip (소프트 팁을 이용한 로봇 청소 메카니즘의 접촉 해석)

  • Kim B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53-55
    • /
    • 2006
  • 본 논문은 청소 로봇 메카니즘을 위한 소프트 팁의 접촉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 사용하면, 어떤 소프트 팁의 기하학적인 탄성 모델을 근거로, 청소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소프트 팀에 작용되는 접촉력을 팁의 압축변위 정도에 따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을 청소 로봇 메카니즘에 탑재된 매니퓰레이터의 위치제어 변위로 활용함으로써, 소프트 팁의 적절한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Heat Transfer and Flow Characteristics on Squealer Tip of Gas Turbine Blade (가스터빈 블레이드 팁의 열전달과 유동 특성에 대한 수치적 해석)

  • Jiao, Liu;Kang, Youngseok;Kim, Donghwa;Cho, Ji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12
    • /
    • pp.1062-1070
    • /
    • 2016
  • The heat transfer and flow characteristics of gas turbine blade tip we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by using the conjugate heat transfer analysis. The rotor inlet boundary condition profile which was taken from the first stage nozzle outlet was used to analyse. The profile contained the velocity and temperature inform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influence of tip clearance about aerodynamic loss,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film cooling effectiveness with the squealer tip designed blade model which tip clearance variation range from 1% to 2.5% of span. Results showed that the aerodynamic loss an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increased when the tip clearance was increased. Especially when the tip clearance was 2% of the span, the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on the tip region was increased obviously.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of tip region was increasing with decreasing of the tip clearance. There was high film cooling effectiveness at cavity and near tip hole region.

Fabrication of triode type Ti-silicided field emission tip array (3극 티타늄 실리사이드 전계방출 팁 어레이의 제작)

  • Ohm, Woo-Yong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4 no.3
    • /
    • pp.1-5
    • /
    • 2007
  • A new field emission tip array was realized by Ti silicidation of Ti coated Si tip, which has long term durability, chemical stability, and high emission current density. The fabricated Ti silicided FE tip array under high vacuum condition of about $10^{-8}Torr$ shows that the turn-on voltage is about 40V and the emission current is about $69{\mu}A$ when the bias of 150V is applied between anode and cathode of $100{\mu}m$ distance.

AC 이중전기영동법에 의한 나노팁 제작용 탄소나노튜브 시편

  • 최재성;이준석;강경수;곽윤근;김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1-161
    • /
    • 2004
  • AC 이중전기영동(AC electrophoresis)의 원리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팁 제작용 탄소나노튜브 시편의 기초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끝이 뽀족한 다수의 팁(tip)에 탄소나노튜브를 비교적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공정의 기반이 된다. 이것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팁(nano-tip)이나 탄소나노튜브 나노그리퍼(nanogripper) 제작 공정에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시편의 제작을 위해, 끝단이 곡률반경이 50nm 정도인 텅스텐 팁과 직경 1.5mm, 깊이 1.5mm의 실린더형 금속전극을 사용했다.(중략)

  • PDF

나노 Gripper를 이용한 마이크로/나노 파티클의 조작에 관한 연구

  • 이준석;최재성;강경수;곽윤근;김수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4-154
    • /
    • 2004
  • 초기 직경이 500$\mu\textrm{m}$인 텅스텐 봉을 전해에칭을 통하여 끝단 직경이 수 $\mu\textrm{m}$인 텅스텐 팁으로 가공하였다. 그리고, 적절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 다증벽 탄소나노튜브를 제작된 텅스텐 팁 끝에 적절한 매니퓰레이션을 통하여 부착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나노 팁(텅스텐 팁과 탄소나노튜브로 구성)은 매우 긴 탄소나노튜브의 길이 때문에 나노 팁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경우가 많다. 즉, 나노 그리퍼로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해에칭을 이용하여 나노 팁의 길이를 나노 그리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였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