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티베트 종교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티베트 복식 문양에 나타난 종교적 상징성 (A Study on Religious Symbolism of the Costume Pattern of Tibet)

  • 최미정;소황옥
    • 복식
    • /
    • 제66권1호
    • /
    • pp.42-57
    • /
    • 2016
  • The Tibetan people are an ethnic group that is native to Tibet who have adapted to the region's harsh climate and environment, and developed their own culture. Religion played a central role in maintaining its traditional culture and society in the histo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ibetan costume and religion, and examine patterns that appear on the costume to study their religious symbol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xplaining the symbolisms of the patterns that appear on the costume in terms of cultural maintenance and change. Based on literature review, I summarized the data about Tibet's environment, history and religion, and divided the residential district into three: ${\ddot{U}}$-Tsang, Amdo, Khamba. Then, I organized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and clothes, and studied Tibetan Buddhism (Vajrayana) costumes and features of the patterns that appear on the costumes. Through combining these data,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igious symbolism of the costume pattern of Tibet. Buddhism is at the heart of cultural and social maintenance and change in Tibet, and the patterns shown in the costume is influenced mostly from Buddhism. The features of general Tibetan costume vary with the region and life style, but the patterns that appear on the costume are used over a wide area to represent good luck and the spread of Buddhist teachings. The costumes for religious rites vary with religious sects, but most of the patterns are commonly used. The symbolism of pattern is a form of figure that represents the human psyche and physical world. The symbolism of pattern implies meanings such as compensation or futuristic wish. First, the lucky omen normally means long life, happiness and peace, and means religious salvation in Buddhist perspective. Second, warding off evil spirits normally means avoiding misfortune, and means dignity and self-protection, and protection of Buddhadharma in Buddhist perspective.

중국 캉바 가극 공연예술의 교육 심미적 특징 (Educa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Kangba Tibetan Opera Performing Arts)

  • 왕슈아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9
    • /
    • 2021
  • 중국의 티베트 가극은 높은 수준의 종합성을 갖춘 연극 형식으로, 서양 연극의 현실성과 중국 연극의 사의(写意)뜻을 결합한 교육 미학적 특징을 지닌다. 구체적인 표현 형식으로는 가면극, 마당극, 의식극, 종교극의 형식을 겸하고 있다. 티베트 가극은 지방극의 한 종류로 높은 연구 가치를 지니는데, 이는 교육적 미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세계 3대 희곡은 인도의 법극, 고대 그리스의 희곡, 중국의 희곡으로 이들은 각각 다른 표현 형식과 교육 미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티베트 전통극은 발원지의 특수성 때문에 이 3대 희곡의 부분 표현 형식을 종합적으로 이어왔다. 고대 그리스 비극은 디오니소스 제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초기 의식적 동작의 공연에서 남자들이 탈을 쓰고 연기했으며, 티베트 연극인 아체라모에서도 남자들이 탈을 쓰고 배역을 맡았다. 그 가면은 민간의 짐승 토템 동작과 종교적 무언극이자 액땜의식인 창무(羌姆)에서 유래하였다. 인도의 법극은 그 역사가 길기 때문에 <무론(舞论)>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구체적인 공연 형태는 이미 알 수 없지만 <무론(舞论)>에 관한 기록과 관련, 티베트 가극의 시작 부분에서 "온바", "자루", "라무"이 세인물의 활용은 법극의 '개념 인물극'이 지닌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티베트 가극은 민간 설창이야기를 각본으로 한 가무를 공연 형식으로 진행하고, 신에게 제사 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중국 희곡의 교육 심미적 특징을 계승하는 것으로 중국 전통 희곡의 중요한 한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캉바 가극 공연에서 가면이 지닌 교육적 의미, 캉바 가극 공연의 의식 생성, 캉바 가극 공연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고 춤추는 것 등 3가지 교육 심미적 특징에 관해 서술한다.

티베트 복식의 색채 감성과 의미 탐색 (A Study on the Color Sensation and Symbolism of Tibet Costume)

  • 왕종;김지수;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15-128
    • /
    • 2018
  • 티베트 고원에서 살고 있는 티베트인 또는 장족은 오랜 역사와 자연환경에 순응한 자신만의 독특한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어 독자적인 의복문화 형태를 지닌다. 복식 중에 색채, 문양, 도안의 사용에서 종교적인 의미를 나타낼 뿐 아니라, 복식을 통해 자신의 생활의 희망과 자연을 존중한 마음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 티베트 민족 복식의 색채 상징성에 관한 고찰을 통하여 티베트족 문화의 특수성을 이해하고자 장족 복식에 사용된 색채를 분석하고 그들만의 색채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장족의 색채인식, 상징성을 색의 사용 예시와 출현빈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복식사진의 색채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I.R.I HUE-TONE 시스템에서 매칭 색상과 색조를 찾는 방식이었다. 장족 복식도서의 칼라사진과 청해 장족문화박물관의 장족 복식을 직접 촬영한 사진, 인터넷 박물관의 복식사진 등 총 96장의 사진이었다. 결과는 첫째, 세상을 구성한다고 생각하는 가장 주요한 요소를 5가지 색 장오색에 연결하여 각 색마다 자연적 의미를 부여하는데, 빨간색은 불, 파란색은 하늘, 흰색은 구름과 흰 눈, 초록색은 초원, 노란색은 대지를 각기 상징한다. 둘째, 홍과 녹, 흑과 백, 홍과 남, 황과 자색 등 강렬한 색채조화를 이루도록 대담한 색채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 티베트인들의 특유한 심미관을 표현하는데 색의 일반적인 감성을 대부분 따르지만 그들만의 감성이 들어있는 색상이 존재하였다.

중국 티베트 복식문화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Study on the Fashion Design by Utilizing the China's Tibetan Dress Culture)

  • 진추기;서승희
    • 복식
    • /
    • 제64권4호
    • /
    • pp.131-149
    • /
    • 2014
  • Tibetans are one of the ethnic Chinese minorities, and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ir traditional costumes by investigating their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his research also examined the cultural elemen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Tibet's nature, religion, arts culture such as the Jang-po, Chin-sam, Kam-kjun and belts, which are used to fix the costumes. Based on such studies the traditional Tibetan costumes were set as a motif and were expressed appropriately into a contemporary style. By studying the composition of its costumes and its costume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betan costum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features. First, the 'variability of form' expresses a new type depending on how it is worn. Second, the 'color contrast' shows a strong visual contrast. Third, the 'difference of materials' combines different materials into one. Fourth, the 'symbolic meaning' grants meaning to the wearer. As a result of this study,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betan nature culture, religion culture and art culture as a basis, two suits of clothes for each characteristics and six suits of clothes were produced as a fashion design product.

부탄 파로 체추 <참>의 역사와 연행양상 (The History and Performative Aspect of Bhutan Paro Tshechu )

  • 전경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327-363
    • /
    • 2018
  • 부탄의 참은 체추 축제에서 연행된다. 체추는 부탄 왕국에 불교를 전파한 파드마삼바바의 탄생을 기리기 위해 열리는 종교 의식이자 전통 축제로서 17세기에 시작되었다. 부탄 참과 티베트 참은 <검은 모자의 춤(흑모신무)>, <화장터 수호신들의 춤(두다, 고루신춤)>, <파드마삼바바의 여덟 현신의 춤>, 파워와 파모 등 공통된 내용과 등장인물들을 갖고 있다. 반면에 <야만타카의 춤>, <드라메체에서 온 북춤>, <앗사라의 점심 도시락 골라 먹기>, <페마 링파의 세 가지 보물춤>, <수사슴과 사냥개들의 춤>, <신사와 숙녀들의 춤>, <영웅들의 춤>, <죽은 자들에 대한 심판의 춤> 등은 부탄의 특징적 연희이다. 더욱이 부탄 참의 어릿광대 앗사라들은 티베트의 참에는 등장하지 않는 인물들이다. 앗사라는 머리에 남근 형태의 긴 장식물을 꽂고 있거나, 얼굴이 비뚤어진 가면을 쓰고 손에 남근을 들고 다니면서 골계적인 연기를 한다. 부탄의 참은 라마교 사원에서 전승되고 있는 종교적 가면극으로서 원래 티베트로부터 전래한 것이지만, 후대에 점차 부탄의 역사, 신화, 전설, 신앙을 반영한 새로운 연희들이 많이 삽입되었다. 그래서 현재의 부탄 참은 매우 독자적이고 특징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