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징신호

Search Result 1,69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eature detection of peaks of sound signal using MEM (최대 엔트리법을 이용한 음향 신호의 특징 피크의 검출)

  • 성종훈;김영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8.11a
    • /
    • pp.562-564
    • /
    • 1998
  • 보통 음향 신호를 분석을 할 때에 시간영역의 신호를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FFT 변환을 해서 분석을 한다. 이렇게 단순히 FFT를 해서 주파수영역의 신호에서 어떤 특징적인 점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원 신호를 FFT를 하지 않고 선형 예측 분석이라는 방법을 적용하여 신호에 특징적인 피크 점들을 구하면 쉬운 방법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음향의 신호를 분석을 할 때에 선형 예측 분석법을 이용하면 신호에서 특징적인 피크들을 구하기가 용이함을 보이고 신호의 특징 피크 점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분석을 해보았다.

  • PDF

Feature Extraction for Bearing Prognostics using Weighted Correlation Coefficient (상관계수 가중치를 이용한 베어링 수명예측 특징신호 추출)

  • Kim, Seokgoo;Lime, Chaeyoung;Choi, Joo-H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1 no.1
    • /
    • pp.63-69
    • /
    • 2018
  • Bearing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many rotary machineries. To prevent its unpredicted failures and undesired downtime cost, many researches have been made in the field of 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PHM), in which the key issue is to establish a proper feature reflecting its current health state properly at the early stage. However, conventional features have shown some limitations that make them less useful for early diagnostics and prognostics because it tends to increase abruptly at the end of life. This paper proposes a new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the envelope analysis and weighted sum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The developed method is demonstrated using the IMS bearing data given by NASA Ames Prognostics Data Repository. Results by the proposed feature are compared with those by conventional approach.

Modeling of Speech Signals Using Segmental-Features (분절 특징을 이용한 음성 신호의 모델링)

  • 윤영선;오영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371-37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분절 특징을 모수적 궤적 모델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이 특징을 분절 HMM(segmental HMM)의 입력으로 하는 음성 신호의 모델링 방식을 제안한다. 분절 특징은 음성의 경향을 나타내는 궤적으로 표현되고, 그 궤적은 연속되는 프레임 상에서 전이 정보를 포함하도록 디자인 행렬과 다항식의 회귀 함수를 이용하여 구해진다. 이 궤적을 분절 HMM에 적용하기 위하여, 외적 분절 변이와 내적 분절 변이에 대한 확률 분포 표현을 개선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TIMIT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분절 특징은 음성 신호의 인접한 프레임간의 상관관계를 표현하는 동적 특징과 같은 효과를 보였으며, 1차 미분계수를 포함하여 분절 특징을 구한 경우에는 기존의 특징 표현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Evaluation of UTE Signal Acquisition Efficacy in Molecular MRI (분자 MR영상에서 UTE 신호의 효용성 평가)

  • Lee, Sang-Bock;Choi, Gui-Ra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6 no.4
    • /
    • pp.305-311
    • /
    • 2012
  • This study compares the TE and UTE is to evaluate. We was programming by DWT of Matlab Tool-box for evaluation. M-program used feature value extract between TE Images and UTE Images. Two images using the extracted feature values were compared. Comparison of similar features two images phase was found to have value.

Heart Beat Detection Method Using Heterogeneous Physiological Signal Analysis (이종 생체 신호를 이용한 심장 박동 검출 기법 연구)

  • Yu, Jongmin;Jeon, Taegyun;Jeon, M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737-740
    • /
    • 2014
  • 본 연구는 이종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심장 박동 신호를 검출하도록 고안되었다. 제안 알고리즘은 이종 생체 신호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과정과 이를 이용하여 심장 박동의 특징점을 추정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electrocardiogram(ECG)의 특징점과 동일한 위상의 잡음 신호로 인해 특징점 추출이 난해한 경우 이종 생체 신호를 이용해 특징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Physionet 의 Challenge/2014 데이터베이스에서 잡음이 존재하는 레코드를 대상으로 수행한 심장 박동 검출 실험에서 Sensitivity 는 98.97%, positive predictivity 는 99.54%를 기록했다.

Fast Recognition Algorithm of Traffic Light Sign by Color and Shape Feature (색상 및 형태 특징을 고려한 교통신호 고속 인식 알고리즘)

  • Kim, Jin-San;Kwon, Tae-Ho;Kim, Jai-Eun;Jung, Ky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200-203
    • /
    • 2016
  • 최근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교통 상황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교통신호등의 인식은 치명적인 결과를 야기하는 교통사고와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교통신호등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차선, 표지판 등과는 다르게 교통신호등은 빛을 발하는 특징이 있으며 그 모양과 형태 또한 규격화 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 중 색상과 형태 특징을 이용하여 두 단계의 추출과정을 거쳐 교통신호등을 인식한다. 먼저 HSV 색 공간에서 적색, 녹색, 주황색의 빛을 발하는 영역을 찾아낸 뒤, 신호의 원형 특징을 이용해 가로, 세로 사이즈와 크기로 신호의 후보를 추출한다. 다음, 신호등의 검은 박스 영역을 찾기 위해 추출한 신호 후보군의 주변부가 검정색인지를 확인한다. 최종적으로 신호등의 박스 부분을 검출하여 신호를 발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신호를 인식한다. 실험결과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는 기계학습을 사용하지 않고도 실시간 처리와 높은 인식률로 교통 신호를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he Features Extraction of Ultrasonic Signal to Various Type of Defects in Solid (고체내부의 결함형태에 따른 초음파 신호의 특징추출)

  • Shin, Jin-Seob;Jun, Kye-Su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6
    • /
    • pp.62-67
    • /
    • 1995
  • In this paper, the features extraction of reflected ultrasonic signals from various type of defects existing in Al metal has been studied by digital signal processing. Since the reflected signals from various type of the defects are ambiguous in features distinction from effects of noise, Wiener filtering using AR (auto-regressive) technique and least-absolute-values norm method has been used in features extraction and comparison of signals. In this experiment, three types of the defect in aluminum specimen have been considered: a flat cut, an angular cut, a circular hole. And the reflected signal have been measured by pulse-echo methods. In the result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of the reflected signal, it has been found that the features extraction method have been effective for classification of the reflected signals from various defects.

  • PDF

The Technology of the Audio Feature Extraction for Classifying Contents (콘덴츠 분류를 위한 오디오 신호 특징 추출 기술)

  • Lim, J.D.;Han, S.W.;Choi, B.C.;Chung, B.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6
    • /
    • pp.121-132
    • /
    • 2009
  • 음성을 비롯하여 음악, 음향 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미디어 타입이며, 미디어 기록 매체와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한 데이터 양의 급격한 증대는 수동적 관리의 어려움을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오디오 신호를 자동으로 구분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분류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특징을 추출하는 기술은 많은 연구들을 통해 발전하여 왔으며, 본 논문은 오디오 콘텐츠 자동 분류에서 높은 성능을 갖는 오디오 신호 특징 추출에 대해서 분석한다. 그리고 특징 분류기 중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가지는 SVM을 사용한 오디오 신호 분류 방법을 알아본다.

Noise Reduction and Characteristic Points Detectoin of ECG Signal using Wavelet Transforms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ECG신호의 잡음제거와 특징점 검출)

  • 장두봉;이상민;신태민;이건기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 no.1
    • /
    • pp.11-17
    • /
    • 1998
  • One of the main techniques for diagnosing heart disease is by examining the electrocardiogram(ECG). Many studies on detecting the QRS complex, p, and T waves have been performed because meaningful information is contained in these parameters. However, the earlier detecting techniques can not effectively extract those parameters from the ECG that is severely contaminated by noise source. In this paper, we performed the extracting parameters from and recovering the ECG signal using wavelets transform that has recently been applying to various fields.

  • PDF

A Method to Adjust Cyclic Signal Length Using Time Invariant Feature Point Extraction and Matching(TIFEM) (시불변 특징점 추출 및 정합을 이용한 주기 신호의 길이 보정 기법)

  • Han, A-Hyang;Park, Cheong-Sool;Kim, Sung-Shick;Baek, Jun-Geo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9 no.4
    • /
    • pp.111-122
    • /
    • 2010
  • In this study, a length adjustment algorithm for cyclic signals in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ime Invariant Feature point Extraction and Matching(TIFEM) is proposed. In order to precisely compensate the length of cyclic signals which have irregular length in the middle of signal as well as in the full length more feature points are needed. The extracted feature must involve information about the pattern of signal and should have invariant properties on time and scale. The proposed TIFEM algorithm extracts features having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he signal characteristics at first. By using those extracted features, feature vector is constructed for each time point. Among those extracted features, the only effective features are filtered and are chosen such as basis for the length adjustment. And then the partial length adjustment is performed by matching feature point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mimicking the three kinds of signals generated from the actual semiconductor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