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정화학물질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9초

화학물질 사고·테러 대응을 위한 경계구역 선정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Selecting Boundary Areas to Respond to Chemical Accidents and Terrorism)

  • 전병한;김현섭;이현승;박춘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60-6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화학사고 및 화학테러 대응 시 화학물질로부터 인명 및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경계구역 설정에 관하여 국·내외 사례 조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경계구역 선정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다양한 관계부처에서는 공통적으로 hot zone, warm zone, cold zone으로 구분하여 사용 중이나 특정 지역에 대해서는 용어 활용 측면에서 상이한 의미로 혼용되고 있다. 따라서 경계구역을 기존 3개 지역에서 hot zone, warm zone, cold zone, safety zone 4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활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warm zone을 관심지역, safety zone을 안전지역으로 용어를 정립하도록 한다. 기존에 적용하던 ERPG 급성노출기준은 다양한 노출시간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노출상황 적용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적용 우선순위를 AEGL, ERPG, PAC, IDLHs 순으로 하도록 한다. CARIS 정보제공 방안은 확산평가가 가능한 물질 또는 불가능한 물질이거나 실내누출 상황으로 구분하고 풍향신뢰선과 ERG의 초기이격거리 및 방호활동거리를 함께 표현하여 현장대응 및 주민대피 결정 정보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ARACNE를 이용한 미생물 Metabolic network의 기능적 연관성 분석 (Quantitative Relationship Analysis of Bacterial Metabolic Network using ARACNE)

  • ;홍순호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287-290
    • /
    • 2009
  • 최근 미생물을 이용하여 기존에 화학산업을 통하여 생산되어지던 여러 화학물질 혹은 대사산물을 생산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미생물의 대사특성을 개량하기 위하여는, 미생물의 대사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일차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사network간의 기능적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transcriptome 연구에 주로 활용되던 ARACNE 기법이 활용되었다. 특정 대사 subpathway들이 미생물 균주들 사이에 존재하는 패턴이 유사하다면 그 대사 subpathway들이 서로 기능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 하에, ARACNE를 활용하여 미생물들의 subrathway들의 존재 패턴을 분석함으로서 각 subpathway 사이의 기능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 활용된 새로운 대사network 분석기법을 활용한다면 더욱 효율적인 대사network 분석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물리적 노화로 인한 미세 다공성 중합체의 투과성 저하 (Aging: Degradation of Permeability in Microporous Polymeric Membranes)

  • 김규남;고동연
    • 멤브레인
    • /
    • 제29권4호
    • /
    • pp.191-201
    • /
    • 2019
  • 산업 응용에 적용할 수 있는 중합체 막의 상용화 전에, 고성능 중합체가 실질적인 도전, 즉 연장된 서비스 시간에 대한 장기 안정성을 극복해야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매우 높은 분수 자유 부피(fractional free volume) 및 높은 투과성을 나타내는 고유한 미세 다공성 중합체(polymers of intrinsic microporosity)는 비효율적 무작위 패킹에 의해 생성된 여분의 부피가 물질의 부피적 평형에서 멀어짐과 동시에, 다시 부피적 평형 상태로 복귀하려는 특성, 즉 자유 부피를 줄여가는 특정으로 인해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물리적 노화에 영향을 받기 쉽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미세 다공성 고분자의 물리적 노화를 재검토하고 PIM에서 물리적 노화를 완화하려는 가장 두드러진 시도 중 일부를 논의할 것이다.

방전플라즈마 화학반응을 이용한 CFC의 분해

  • 강현춘;우인성;강안수;황명환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59-162
    • /
    • 1998
  • 경제활동의 증가와 다양한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날로 고조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많은 환경파괴의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 한가지가 성층권의 오존층 파괴이고 그 주원인 물질이 CFC가스이다. CFC는 매우 안정하며 비활성이기 때문에 자동차냉매, 스프레이 분무제, 플라스틱 포장재 제조, 전자제품의 세척등 많은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특정프레온의 사용을 부분 또는 전면 금지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프레온가스를 회수하기 위하여 응축에 의한 액화, 활성탄소나 제올라이트에 의한 흡착등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에너지가 지나치게 많이 소모되거나 장치비용이 고가인 관계로 문제가 되어왔고 시스템이 복잡하여 새로운 기술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다양한 결정화 촉진제를 이용한 나노크기의 TPA-silicalite-1 제조 (Preparation of nanosized TPA-silicalite-1 with various crystallization promoters)

  • 김호동;정상진;김명훈;김영희;김수룡;이영무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48-48
    • /
    • 2003
  • 미세기공(microporous)을 가진 제올라이트는 다양한 유기질 분리의 촉매제 및 광학, 화학 센서, 기체 분리 등의 고기능 소재로서 크게 주목받고 있으며, 비표면적의 증가, 새로운 기능의 발현 둥으로 최근 들어 나노크기를 갖는 제올라이트 합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 분리에 응용하기 위한 제올라이트 분리막 개발에 앞서 분리막 제조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어지는 적합한 크기와 형상을 갖춘 나노크기의 제올라이트를 합성하였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출발물질로서 실리카 원으로는 TEOS, LUDOX AS-40, Cab-O-SIL 등을 사용하였으며, 템프레이트(TPAOH)와 함께 특정조성의 TPAOH/SiO$_2$,/$H_2O$ 겔을 만들었다. 합성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로서 저온하의 2단계 온도 변화법을 적용하였으며, 결정성장속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NaH$_2$PO$_4$, H$_2$SO$_4$, NH$_4$OH 등의 결정화 촉진제로 사용하여 수열합성법으로 Silicalite-1를 합성하였다.

  • PDF

한반도 강수의 화학적 특성 및 습성강하량 추정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Wet Deposition of Acid Precipitation in Korea, 1999)

  • 노혜란;김소영;정일웅;조창래;박철진;한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86
    • /
    • 2000
  • 80년대 초기 연구에서는 강수의 산성화 문제가 산업활동이 집중된 서울이나 도시지역에서 대부분 수행되었고 인력과 연구비등의 제한으로 인하여 관측지점이 한정적이어서 산성강하물의 전체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전국적인 감시망을 구성하지 못하고 각 연구기관들의 관심이나 여건에 따라 특정지역에 편중되어 있었다(이보경, 1999). 최근 우리 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은 높은 인구밀도와 급속한 산업발전으로 인해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한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대기오염물질 장거리 이동과 관련하여 한반도 강수 산성화 현상 및 추세파악, 원인 규명 및 대책 수립을 위한 지속적인 정밀 관측이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애기장대 MYB7 유전자의 리그닌 생합성 억제 조절 (AtMYB7 Acts as a repressor of lignin biosynthesis in Arabidopsis)

  • 김원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3호
    • /
    • pp.215-220
    • /
    • 2016
  • 식물의 이차생장의 결과로 생산되는 바이오매스의 대부분은 식물의 이차세포벽에 축적된다. 식물의 이차세포벽은 크게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이라는 3가지 물질로 구성되며 이들 중 페놀성 복합 화학 물질인 리그닌은 셀룰로스나 헤미셀룰로스와 달리 알코올 발효과정의 저해 물질로이다. 따라서, 식물의 이차세포벽 생합성의 과정을 조절함으로 전체 바이오매스의 생산량과 조성을 바이오 에너지 생산을 위해 최적 조건으로 조절함으로써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최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애기장대 유래 MYB7 유전자를 CaMV35S 프로모터 조절 하에서 과별현되게 한 식물체와 식물의 전사조절에서 하위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진 SRDX 융합 단백질 즉, MYB7-SRDX 과발현체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MYB7 전사조절 인자가 리그닌의 생합성을 억제 조절한다는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는 MYB7 전사조절인자를 이용하면 바이오 에탄올 발효과정에 저해 물질로 작용하는 리그닌을 경감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세정 공정용 $CO_2$ 클러스터 장비의 클러스터 발생 특성 분석

  • 최후미;조유진;이종우;김태성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03-303
    • /
    • 2013
  • 표면에 부착된 나노/마이크로 입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오염물질로 작용한다. 특히 형상이 미세하고 공정 단계가 복잡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 소자 공정에서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입자상 오염물질의 제거에 관하여 상용화된 습식 세정 방법이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표면 손상, 화학 반응, 부산물, 세정 효율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 새로운 세정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건식 세정 방법, 그 중에서도 입자의 충돌을 통해 제거하는 방법인 에어로졸 세정, 필렛 세정 등이 개발되었으나 마이크로 크기로 생성되는 입자로 인하여 형상의 손상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 단위로 기체/고체 혼합물만 생성하여 세정하는 가스 클러스터 세정 방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클러스터 세정 장비를 이용한 표면 처리는 충돌에 의한 제거에 기반한다. 따라서 생성 및 가속되는 클러스터로부터 대상으로 전달되는 운동량의 정도가 세정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생성되는 클러스터의 크기에 종속적이다. 생성 클러스터의 크기 분포는 분사 거리, 유량, 분사 각도, 노즐 냉각 온도 등의 변수에 관한 함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_2$ 클러스터를 이용한 세정 특성을 정의 및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클러스터 특성에 관하여 이론적, 수치 해석적,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CO_2$의 물리적 특성 및 이를 이용한 특정 크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데 요구되는 임계 클러스터 크기 계산을 이론적으로 구하였다. 이는 오염물질의 부착력과 클러스터의 운동량 전달에 의한 제거력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두 번째로 클러스터 크기분포를 수치 해석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각 조건에 대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구해진 노즐 내 기체의 냉각 속도를 GDE (General Dynamic Equation) 계산에 대입하여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PBMS(Particle Beam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클러스터 크기분포를 각 조건에 대하여 구할 수 있었다. 또한 크기 분포 경향에 대한 간접적 확인을 위하여 포토레지스트가 코팅된 웨이퍼에 클러스터의 충격으로 생성된 크레이터 크기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생성되는 클러스터는 노즐의 유량 증가, 온도 상승에 각각 비례하여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SCA를 이용한 노화된 종이의 표면 변화 특성 관찰

  • 양봉숙;김형진;조병묵;오정수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39-139
    • /
    • 2000
  • 종이는 제조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화가 야기되기 시작하며 이에 수반되는 현상으로서 종이의 기계적 강도 손실 및 종이의 색 변화를 들 수 있다. 종이의 노화 현상은 주로 빛, 열, 대기 오염물질, 미생물, 곤충 및 화학약품 등의 외부 인자들에 의해 종이 내에서의 가수 분해 또는 산화작용을 발생시키며 이는 종이의 폭넓은 이용올 제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종이의 노화기작은 주로 산 가수분해 및 산화작용 그리고 가교결합 둥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는 종이의 주 구성요소인 셀룰로오스의 수산기가 반웅하여 카르보닐기를 형성하면 서 저분자화 되거나 산소에 의해 산화되면서 저분자화 되어 종이의 강도적 손실이 일어난다 고 보고되고 있으며 종이의 황색화(Yellowing) 현상은 주원인이 종이에 잔존하고 있는 리그 년이 빛과 열에 의해 반응하여 산화됨으로써 야기된다고 설명되고 있다. 즉, 열이나 자외선 및 가시광션의 조사로 인한 셀룰로오스 및 기타 종이 구성물의 산화에 의해 종이가 퇴색되 거나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노화 거동은 상온의 경우에서는 펄프와 종이의 황색화가 천천히 일어나지만 옹도가 점차 올라갈수록 그 속도는 빨라진다. 종이가 노화되면서 일어나는 산화반용은 주로 대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기 쉬운 표변에서부 터 발생하기 쉽다. 열처리를 통해 표면에서의 산화 작용은 촉진되고 종이의 구성원소의 결 합에 화학적 변화가 야기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모든 원소가 독특한 결합에너지를 가 지고 있다는 것에 착안 시료 표면에 특정 x-선 및 전자빔을 입사하여 방출하는 광전자의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시료 표면의 조성 및 화학적인 결합상태를 알 수 있는 ESCA ( (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를 이용하였다 .. ESCA는 주로 표면 원소의 규 명 및 정량분석과 화학결합 상태의 정성, 정량 분석, 깊이에 따른 원소의 농도 분포 분석, 고분자화합물의 특성 조사, 표면 원소의 화학결합에 따른 전자상태 연구 둥에 활용되 고 있 다. 즉, 종이가 노화되면서 원소들 사이에 변화되는 결합을 이러한 에너지 분석에 의해 원소 정성분석 또는 정량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여 열처리 시 종이 표면에서 일어 나는 변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종이의 노화를 가속화시키는 빛, 대기오염물질, 및 기타 다른 인 자들은 배제하고 열 만을 가해 노화의 진행속도를 높인 후, 노화 진행 시 종이 표변에 일어 나는 산화작용 및 가수분해를 표면 분석 장치인 ESCA를 이용하여 종이의 주 구성원소인 탄소와 산소가 열처리 시 변하는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또한 카르복실기 정량과 종이의 pH 측정 및 X -ray Diffractometer를 이용하여 결정화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탄소의 결합에너지는 분포가 C-H에서 COO-, 또는 C=O로 달라짐으로써 종 이가 산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결합에너지 분포의 변화가 펄프의 종류 에 따라서 다르게 이동함으로써 제조된 시트의 표면 산화반응이 서로 다르게 일어나고 있음 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사용한 펄프의 화학 조성분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 사료된다.

  • PDF

화학적 발암원의 조직 특이성 암유발기전 - DMBA와 NMU의 선택적 유암 발생기전을 중심으로 (Molecular Basis of Organospecific Carcinogensis by Chemical Carcinogens-Study with Breast Cancer Specific Carcinogens: DMBA as an Indirect-Acting carcinogen and NMU as a Direct-Acting cancinogen.)

  • 박종영;김승원;박상철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2
    • /
    • 1989
  • 특정 발암원의 조직특이성 암유발기전을 연구하기 위하여 DMBA의 구강투여 또는 NMU의 동맥주입에 의하여 유암이 유도되는 실험모델을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화학적 발암원의 유암유발기전에 미치는 숙주인 흰쥐의 연령효과를 아울러 비교분석하였으며, 특히 발암원의 조직내 활성화, 불활화 및 해독 그리고 DNA 손상과 수성등의 변화를 구명하였다. 유암의 발생율은 1년생 흰쥐보다 생후 50일 흰쥐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특정조직의 선택적 발암기전을 설명하는 기전의 일환으로 조직 DNA의 특정 발암원에 의한 공유결합성 지표(covalent binding index, CBI)를 발암원의 활성화 기전 지표로는 cytochrome P450의 함량을 반면 불확화의 지표로는 glutathione S-transferase와 peroxide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조직의 CBI는 생후 50일군의 유선조직이 DMBA나 NMU에 대하여 간조직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시험관내 CBI 실험에서는 생후 50일군 유선조직의 microsome 분획의 발암원 활성화능이 보다 높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T.C.D.D. 의존성 cytochrome P450 함량도 생후 50일군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불활화 효소들은 연령 변화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들은 DMBA나 NMU와 같은 발암물질이 특정조직, 특히 유선조직에 생후 50일군에서 유암을 선택적으로 유발하는 기전은 표적 조직의 높은 발암원 활성화능, 낮은 불활화등 그리고 효율이 낮은 DNA 수선능이 연계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