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정화학물질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Signal Transformation of Neuron by NO (일산화 질소에 의한 뉴런의 신호변화에 대한 연구)

  • 김석환;류광렬;허창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10a
    • /
    • pp.626-629
    • /
    • 2001
  • 인간의 뇌에는 천 억개 이상의 신경세포들이 있다. 이들은 신경작용의 매우 복잡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서로 연결되어져 있다. 하나의 신경세포로부터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은 다른 화학 전달물질들에 의해 이루어지며 신호 전이는 시냅스라고 불리는 신경세포간의 특정 접촉부 위에서 일어난다. 뉴런의 신호전달 체계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초반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현재는 각 뉴런에 대한 정확한 신호전달 원리를 밝히는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신경전달 물질중 하나인 일산화 질소는 인간의 세포에 노출되었을 경우 세포막을 기준으로 농도 차가 발생하여 근육이 이완되는 현상을 유발한다. 이런 세포막을 기준으로 한 운동신경 변화, 심장박동의 변화, 근육의 이완철상 및 치명적인 이상을 초래하는 현상을 GENESIS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해 보았다.

  • PDF

Separation of Colloidal Particles By Flow Field-Flow Fractionation Using Hollow Fibers For Ultrafiltration

  • 이향수;신세종;이원주;민병렬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b
    • /
    • pp.59-61
    • /
    • 1997
  • 최근 신소재에 관한 연구는 첨단기술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며, 특히 다목적, 다기능 고분자는 여러 분야에 활용되므로 이에 관한 집중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분자는 보통 화합물과는 달리 여러 분자량의 중합체가 분포되어 있으므로 물리-화학적 특성을 알아내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 분자량 분포 등의 정보가 폭 넓게 파악되어야만 그 물질의 정확한 활용과 소재 개발이 가능하다. 특히 protein 등과 같은 생체 고분자들은 유전, 특정 반응에 작용하는 효소, 호르몬 등 수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나 그 분리.정제 과정은 상당히 어려우며,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 정제 과정에서 활성을 잃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분자들의 물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최우선적으로 필요하다.

  • PDF

투과증발 공정

  • 장재화;이규현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03a
    • /
    • pp.127-158
    • /
    • 1996
  • 투과증발은 막분리 기술의 하나로 역삼투막, 한외여과막 등의 다른 막분리와 달리 혼합물 분리가 막소재 물질과 분리 대상 유기물 사이의 화학 친화도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혼합물중의 특정 성분에 대한 선택도가 높은 비다공성 고분자 복합막이 사용된다. 투과증발막 투과의 구동력은 투과 성분의 활동도(activity) 차로 이는 부분 증기압차로 구체화되며, 이 구동력을 높이기 위해서 feed side는 고온 유지를 위한 열교환기가 필요하며 permeate side는 진공하에서 감압에 의한 증기상으로의 전환을 이루게 하며 이를 다시 응축하여 연속 투과가 일어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투과증발의 핵심 기술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하여 높은 투과선택도(permselectivity)를 갖는 투과증발막의 제조 기술이며, 제조된 막을 실공정에 적용하기 위한 모듈 설계, 제작 기술과 이를 시스템화하여 실규모로 Scale-up 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 기술도 실용화를 위해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Atomic Structure of Dissolved Carbon in Enstatite: Raman Spectroscopy and Quantum Chemical Calculations of NMR Chemical Shift (라만 분광분석과 NMR 화학 이동 양자 계산을 이용한 엔스테타이트에 용해된 탄소의 원자 환경 연구)

  • Kim, Eun-Jeong;Lee, Sung-Keun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4
    • /
    • pp.289-300
    • /
    • 2011
  • Atomistic origins of carbon solubility into silicates are essential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arbon on the properties of silicates and evolution of the Earth system through igneous and volcanic processes. Here, we investigate the atomic structure and NMR properties of dissolved carbon in enstatite using Raman spectroscopy and quantum chemical calculations. Raman spectrum for enstatite synthesized with 2.4. wt% of amorphous carbon at 1.5 GPa and $1,400^{\circ}C$ shows vibrational modes of enstatite, but does not show any vibrational modes of $CO_2$ or ${CO_3}^{2-}$. The result indicates low solubility of carbon into enstatite at a given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Because $^{13}C$ NMR chemical shift is sensitive to local atomic structure around carbon and we calculated $^{13}C$ NMR chemical shielding tensors for C substituted enstatite cluster as well as molecular $CO_2$ using quantum chemical calculations to give insights into $^{13}C$ NMR chemical shifts of carbon in enstatite. The result shows that $^{13}C$ NMR chemical shift of $CO_2$ is 125 ppm,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Calculated $^{13}C$ NMR chemical shift of C is ~254 ppm. The current calculation will alllow us to assign potential $^{13}C$ NMR spectra for the enstatite dissolved with carbon and thus may be useful in exploring the atomic environment of carbon.

파이렌 이중체 기반 2 킬레이트 결합자리 형광분자에 대한 금속 양이온의 형광 소광 원리 탐색

  • Kim, San;Nam, Yeon-Sik;Im, Jong-Hyeon;Lee, Jin-Y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7.03a
    • /
    • pp.118-127
    • /
    • 2017
  • 형광화학센서는 형광분자의 화학적으로 유도된 형광의 소광 또는 증광을 통해 생체 등에서 특정 물질을 관찰할 수 있기에 그 활용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킬레이트 결합자리를 가지는, 파이렌 이중체를 발색단의 형광분자(Pyex)를 이용하여, PET (photoinduced electron transition)와 AID (absorbance intensity decreasing)의 형광 소광 원리에 집중하여, 전자구조계산과 TD (time-dependent) 계산을 근거로 금속 양이온의 형광 소광 원리를 분류하고, 더불어 그에 관여하는 금속 양이온의 원자오비탈까지 탐색하였다. 그 결과 Pyex와 그 칼륨이온 복합체에서는 실험값과 일치하는 형광이, 납과 은 이온 복합체에서는 소광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납 이온의 경우 PET를 주된 원인으로 AID와 함께 작용하여 소광을 발생시키고, 은 이온의 경우는 AID에 의해 소광이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납 이온의 p 오비탈이 소광에 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결과도 나타났다.

  • PDF

A Design of an Expert System for the Treatment and the Routing of Contaminated Groundwater (오염된 지하수 처리와 추적을 위한 엑스퍼트 시스템의 개발)

  • 성기원;선우중호
    • Water for future
    • /
    • v.23 no.4
    • /
    • pp.477-486
    • /
    • 1990
  • The domai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flow is a broad and multidisciplinary field requiring expertise in engineering, geology, chmistry and toxicology, and is an ideal area for the application of Expert System. The Expert System which is developed in this research can assist user to find possible remedial actions in case that the groundwater was contaminated with toxic pollutants. Documentation including the degree of toxicity, the possibility of chemical reaction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 can be supported also. Prolog, and artificial intelegence programming language, is used to implement the prototype expert system. This expert system can explicitly advise users about contaminants' toxicity, possiblity reaction with other chemicals and their concentrations.

  • PDF

Site-specific Dye-labeling of the Bacterial Cell Surface by Bioconjugation and Self-assembly (바이오접합과 자가결합을 이용한 박테리아 세포막의 위치 특이적 형광 표지)

  • Yang, I Ji;Lim, Sung I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0 no.3
    • /
    • pp.398-406
    • /
    • 2022
  • The outer membrane of Gram-negative bacteria is the outermost layer of cellular environment in which numerous biophysical and biochemical processes are in action sustaining viability. Advances in cell engineering enable modification of bacterial genetic information that subsequently alters membrane physiology to adapt bacteria to specific purposes. Surface display of a functional molecule on the outer membranes is one of strategies that directs host cells to respond to a specific extracellular matter or stimulus. While intracellular expression of a functional peptide or protein fused to a membrane-anchoring motif is commonly practiced for surface display, the method is not readily applicable to exogenous or large proteins inexpressible in bacteria. Chemical conjugation at reactive groups naturally occurring on the membrane might be an alternative, but often compromises fitness due to non-specific modification of essential components. Herein, we demonstrated two distinct approaches that enable site-specific decoration of the outer membrane with a fluorescent agent in Escherichia coli. An unnatural amino acid genetically incorporated in a surface-exposed peptide could act as a chemoselective handle for bioorthogonal dye labeling. A surface-displayed α-helical domain originating from a part of a selected heterodimeric coiled-coil complex could recruit and anchor a green fluorescent protein tagged with a complementary α-helical domain to the membrane surface in a site- and hetero-specific manner. These methods hold a promise as on-demand tools to confer new functionalities on the bacterial membranes.

Present Trend and Prospect of Catalyst Technology at Room Temperature for Controlling Indoor Air Quality (IAQ) (실내대기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상온산화 촉매 기술의 동향과 전망)

  • Lee, Sang-Hyun;Kim, Sung Su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19 no.5
    • /
    • pp.1-11
    • /
    • 2016
  • 우리나라는 197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급격한 경제성장과 산업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경제성장과 함께 주택의 보급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고, 주택의 보급을 위한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의 개발이 급속도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사용하는 기구 및 건축재료가 매우 다양해졌으며, 이로 인한 새로운 오염물질의 배출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최근 새로운 기술로 소개되고 있는 촉매 산화법의 경우 제거하려는 대상 실내대기오염물질을 촉매를 이용하여 CO2나 H2O 등으로 산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며, 최근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촉매를 이용하는 촉매 산화법은 광촉매 산화법과, 촉매의 성능만을 이용하여 대상물질을 산화하는 촉매산화법으로 구분된다. 광촉매 산화법은 특정 파장에서 반응하는 촉매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실내오염물질을 산화제거하는 방법으로, 산화성능이 우수하여 여러 가지 실내오염가스에 적용되고 있으나,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며, 포름알데히드 산화 시 CO2와 H2O 이외에도 dichloroacetyl chloride (C2HCl3O), trichloroethylene (C2HCl3), phosgene (COCl2) 등과 같은 부수적인 2차 유해물질이 발생함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대책이 수반되어야 한다. 반면, 촉매 산화법의 경우 별도의 광원이나 에너지원 없이, 촉매를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을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완전 산화시키는 방법으로써, 최근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상온에서 구동 가능한 촉매가 개발되었고, 이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상온산화촉매기술의 연구동향 및 사례를 확인하고, 향후 상온산화촉매기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경부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2016000140004).

Development of a Computer Code for Analyzing Time-dependent Nuclides Concentrations in the Multi-stage Continuous HLW Processing System (I) - Equilibrium Steady State - (다단계 연속후처리를 포함하는 핵주기공정의 핵종농도 동적분포 해석코드 계발(I) -정상 평형상태 해석모델-)

  • Oh, Se-K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11a
    • /
    • pp.262-264
    • /
    • 2000
  • 원자로 내에서 연소 중인 핵연료나 저장 또는 재처리 중인 사용후핵연료의 성분으로서 시설의 공정설계, 안전성분석 및 차폐설계에 중요한 입력자료가 되는 핵분열생성물질, 방사화생성물 및 악티나이드의 핵종 농도와 이에 대응하는 방사능 강도의 기기 별 시간변 화율을 해석할 수 있는 코드 개발할 목적으로 MULTISAMS 정상 평형상태 모델을 구현하였다. MULTISAMS 코드의 반응공정 모델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방사성물질의 혼합유체가 순환하는 세 종류의 반응기(원자로, 열교환기 및 화학반응기) 계통에서 자연적 또는 설계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반응기 간의 물질 흐름; 각 반응기 내에서 방사성 붕괴, 변환, 이동과 중성자 흡수 및 핵분열; 외부로부터 특정 핵종의 유입혹은 유출을 고려한 시간종속 핵종농도보존방정식 이론에 근거한다. 코드의 유용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현재 개념설계가 진행 중인 AMBIDEXTER원자력 에너지시스템을 대상으로 ORIGEN2 계산과 비교하였다. 두 코드 간의 입력조건과 배경이론차이점 때문에 절대적 비교가 불가능하므로 단순이론의 중간매개코드로서 SAMS를 이용한 2단계 비교방법을 따랐다. 결론은 MULTISAMS는 ORIGEN2 계산의 수렴치와 근사하게 일치하면서 ORIGEN2 가 다룰 수 없는 핵주기 연속후처리공정의 정상가동 시 핵종 평형농도를 기기 별로 계산할 수 있다는 장점을 확인하였다.

  • PDF

Competitve Interactions of Cadmium with Magnesium in Three Different Soil Constituents (3개의 다른 토양에서의 카드늄과 마그네시움의 경쟁적 상호작용)

  • Doug-Young Chung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1 no.1
    • /
    • pp.81-88
    • /
    • 1996
  • To study the Cd adsorption in the presence of competing ions in soil-solution interphase, three soil samples from the Bt horizon were taken and analyzed for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dsorption of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EGME) and N, were determined to establish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oils. We attempted to establish a qeneralizing competitive sorption isotherms for soils of entirely different composition of the solid phase, resulting in the routine use as a guidelines for the fate of reactive solute in soil profiles. Many physicochemical factors including competitive adsorption bettween solutes will affect the general adsorption phenomena as shown in a single not only on the soil:solution ratio used, but also on the surface areas of its respective soil samples. This phenomenon was attributed to competition Cd for sorption sites with Mg by different soil constituents. These adsorption isotherms are able to use as examples to demonstrate that this phenomenon can complicate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batch adsorption procedure as well as interpreting fate and adsorption of toxic inorganic compoun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