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이길이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31초

소아에서 검출한 특이한 과수태 요충 (An unusual over-gravid female of Enterobiw uemicularis recovered from a child)

  • 채종일;한은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215-218
    • /
    • 1997
  • 심한 항문 주위 가려움증이 있는 15개월 된 소아(인천 거주)로부터 과수태 요충 1마리를 항문 주위 도말법으로 회수하였다. 충체는 길이가 7.8 mm이고 폭이 0.5 mm였으며. 두익(73보) 자궁내 충란. 뽀족한 로리 등 요충 자충의 특이한 형태학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 충체는 과수태한 충체로서 자궁이 충체 전단에서부터 후단까지 길게 확장되어 있었으며. 충체 길이 의 약 99%까지 수많은 충란으로 가득 차 있고 다른 기관은 관찰하기 어려운 특이한 충체이었다.

  • PDF

산란계의 열환경별 특이음에 대한 음성학적 분석 (Acoustic Analysis for Thermal Environment-related Vocalizations in Laying Hens)

  • 전중환;연성찬;하정기;이승주;장홍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97-702
    • /
    • 2005
  • 본 연구는 산란계가 적정 환경, 더운 환경 그리고 추운 환경에서 특이하게 내는 특이음을 분류한 후 이들을 음성학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일반 발성음은 총 5가지 형태, 더위stress 특이음은 1가지 형태, 그리고 추위stress 특이음은 총 3가지 형태로 각각 나타났다. 기본주파수, 음의 강도, 음의 길이 및 포먼트에 대하여 열환경별 발성음간 유의차를 분석한 결과 모든 parameter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Discriminant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음의 길이, 제 1포먼트, 제 3포먼트 및 제 4포먼트가 다른 parameter들 보다 유용한 parameter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산란계는 열환경 변화에 따라 특이음을 내었으며, 이들 특이음은 기본주파수, 음의 강도, 음의 길이 및 포먼트 등과 같은 parameter들에 의하여 음성학적으로 판별될 수 있었다.

제비꽃종류에서 나타나는 엽록체 DNA 게놈의 특이 유전자 특징 (The Specific Gene Characteristics of Chloroplast Genome in Viola)

  • 고아름;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9-19
    • /
    • 2023
  • 제비꽃속 34분류군의 61개체를 대상으로 엽록체 DNA 게놈 특이 유전자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61개체의 엽록체 게놈 전체 길이는 155,535~158,940 bp 로 모두 전형적인 사분할 구조였다. 지역별로는 LSC 지역이 84,826~87,250 bp, SSC 지역이 16,338~18,654 bp, 그리고 IR 지역이 26,029~27,192 bp 였다. 유전자 개수는 131개로 84개 protein coding-gene, 37개 tRNA 유전자, 8개 rRNA유전자, 그리고 2개의 유사유전자인 𝜓rps19, 𝜓ycf1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LSC/IRa 경계에 위치한 rps19 유전자 길이는 279 bp로 모든 분류군에서 동일하였으며, 𝜓rps19의 길이는 다양했으나 유전자 개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SC/IRb 경계에 위치한 ycf1 유전자 길이는 약 5,600 bp 였으나, V. japonica (MZ151699) 1개체에서는 다른 종에 비해 약 1,000 bp 위치에서 발생한 점돌연변이로 인해 종결 코돈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한편 13분류군의 23개체에서는 𝜓ycf1의 길이가 650 bp 정도 짧은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 종류들은 원예종인 V. tricolor (ON262802) 이외에는 모두 줄기가 없는 분류군들로 IR 지역의 확장과 SSC 지역의 수축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ndhF는 대체로 SSC 지역에 위치하나, V. inconspicua (MZ065354), V. mongolica (MW802534, ON548135), V. yunnanfuensis (MW802541) 등 4개체에서는 IRa/SSC 경계에 위치하면서 유사유전자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다른 제비꽃 종류에 비해 유전자 개수가 132개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V. collina (OP271831), V. mirabilis (MH256000), V. tricolor (ON262802) 등 3분류군에서는 SSC 지역이 inversion 되어 엽록체 이성질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제비 꽃속 엽록체 게놈 61개체의 ycf1, 𝜓ycf1, ndhF, 𝜓ndhF 등은 유전자 길이와 개수 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비꽃속에서도 엽록체 이성질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공구날 특이길이의 물리적 적합성 고찰 (Physically Compatible Characteristic Length of Cutting Edge Geometry)

  • 안일혁;김익현;황지홍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9-288
    • /
    • 2012
  • The material removal mechanism in machining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utting edge geometry. Its effect becomes even more substantial when the depth of cut is relatively small as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 length which represents the shape and size of the cutting edge. Conventionally, radius or focal length has been employed as the characteristic length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shape of cutting edge is round or parabolic. However, in reality, there could be various ways to determine the radius or focal length even for the same tool edge profile, depending on the region to be considered as cutting edge in the measured profile and the constraints to be set in constructing the best fitted circle or parabola.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proposes various model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length in terms of radius or focal length. Their physical compatibility are validated by carrying out 2D orthogonal cutting experiments using inserts with a wide range of characteristic length ($30{\sim}180\;{\mu}m$ in terms of radius) and then by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 length and the cutting forces. Such validation is based on the common belief that the larger the characteristic length is, the blunter the cutting edge is and the higher the cutting forces are. Interesting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is higher for the radius or focal length obtained with a constraint that the center of best fitted circle or the focus of the best fitted parabola should be on the bisectional line of the wedge angle of tool.

낮은 민감도를 지니는 특이섭동 델타연산자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Singularly Perturbed Delta Operator Systems with Low Sensitivity)

  • 심규홍;사완;이경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76-8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델타연산자를 이용한 통합시스템에서 사전에 민감도가 낮게 설정된 폐루프 궤적을 성취해주는 상태 궤환 제어기의 설계기법이 제안되었다. 양시등급 시스템에서는 빠른 모드를 무시함으로써 수행되는 특이섭동기법에 의해서 그 차수가 감소된다. 제안된 기법은 특이성동상수의 범위에서 실제 궤적의 변화를 다룬다. 물론 최적화를 위한 필요조건들도 유도된다. 이전의 연구는 연속시스템에서 이루어졌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산 시스템 및 델타통합시스템으로 확장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은 수치예제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단일방향 복합재료의 공유면에 존재하는 모서리 균열의 경계요소해석 (Boundary Element Analysis of Stress Intensity Factor for Interface Edge Crack in A Unidirectional Composite)

  • 이상순;김정규
    • 전산구조공학
    • /
    • 제9권1호
    • /
    • pp.77-83
    • /
    • 1996
  • 이 논문에서는 경계요소법을 사용하여 횡방향의 인장변형률을 받는 단일방향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섬유와 기지의 공유면에 존재하는 모서리 균열에 대한 응력확대계수를 계산하였다. 그러한 균열은 복합재료의 자유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특이 응력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응력확대계수의 크기는 균열길이가 작은 경우에는 균열길이에 따라 조금씩 증가되다가, 균열길이가 커지면 일정한 값에 이르게 된다.

  • PDF

종 식별 분자 마커 개발을 위한 섬모충류 Euplotes의 small subunit ribosomal RNA 변이성 분석 (Analysis of Genetic Variation in the Small Subunit Ribosomal RNA Gene of Euplotes Ciliates for Developing Species Diagnostic Molecular Marker)

  • 김선영;김세주;민기식;양은진;유만호;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25-233
    • /
    • 2007
  • Small subunit ribosomal RNA (18S rRNA)의 loop 부위들의 변이를 분석하여 해양 섬모충류의 종 특이 유전적 마커로써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9종의 Euplotes (Hypotrichia : Ciliophora)에 대하여 18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변이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V1, V3 그리고 V5 부위는 종간 변이가 없었고, V7과 V8은 종간변이는 높으나 염기서열의 길이가 각각 44 bp와 79 bp로 길이가 짧아서 충분한 유전 정보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이 부위들은 종특이 분자마커로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V2와 V4부위는 $1.75{\sim}20.61%$로 높은 변이성을 보여주었고 종간 계통 관계도 잘 나타내었다. 또한 염기서열의 길이도 각각 123 bp와 306 bp로 마커 개발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18S rRNA의 V2와 V4부위는 섬모충류의 종 특이 분자 마커 개발에 가장 적합한 부위라는 결론을 얻었다.

측지 역 문제 해석기법의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f Methods to solve the Geodetic Inverse Problem)

  • 이용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9-3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WGS84 세계타원체를 기준으로 다양한 거리의 '표준측지선'은 물론, 극 및 적도와 그 주변을 지나면서 '특이영역에 위치하는 측지선'을 대상으로 측지 역 문제의 해석기법 별 정확도 및 특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측지 역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전통적인 방법은 물론 최근 제시된 방법 등 다양한 측지 역 문제 해석기법의 알고리즘, 총 18종을 분석하여 프로그래밍 하였다. 두 측점의 배치 상태에 따른 '표준 측지선' 및 '특이영역'에 위치한 측지선을 대상으로 거리 및 전방 방위각을 각기법별로 산출하고 Karney 해석법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측지선에서 약 100km 이하의 단 측지선의 경우, 18가지 역 문제 해석 기법 모두, 매우 근접한 측지선의 길이를 나타낸 반면, 4,000km 이상의 중 장 측지선의 경우는 길이 및 전방 방위각에서 Karney, Vincenty 및 Pittaman 기법이 매우 근접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특이영역'에 대한 다양한 역문제의 해석결과, Karney 기법이 일관성 있는 종합적인 해석결과를 제시한 반면, 수정 Vincenty 기법을 제외한 다른 해석법들은 특이영역의 상황에 따라 좀더 면밀한 측지선의 거동분석과 함께 알고리즘의 수정 보완이 요망되었다.

로켓엔진 연소기와 공명기간의 선형 음향 coupling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f Acoustic Coupling between Combustion Chamber and Resonators in Liquid Rocket Engine)

  • 박이선;손채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7-410
    • /
    • 2005
  • 고성능 액체 로켓엔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체-액체형 분사기가 장착된 연소실의 음향장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였다. 해당 분사기는 반파장 공명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수의 공명기가 장착된 경우 연소실과 분사기간의 음향학적인 연계성으로 특이한 음향학적 특성이 관측되었다. 분사기 길이가 반파장 공명기 길이에 도달함에 따라 분사기와 연계된 새로운 음향 모드가 나타났으며, 그 음향 모드의 감쇠인자는 상당히 작았다. 따라서, 분사기의 음향감쇠 효과를 최적화 하려면 본래의 반파장 길이보다 약간 작은 길이를 갖도록 해야함을 알았다.

  • PDF

수퍼캐비테이션 익열의 유동특성 해석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of Supercavitating Cascade)

  • 이명호;이종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803-810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서산등과 Nishiyama등이 제시한 특이점 분포법에 의한 기초식 을 비선형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익과 유한한 길이의 캐비티의 자유유선에 용출, 와, 이중용출 등의 특이점을 분포시켜서 수퍼캐비테이션을 발생시키는 익열의 유동장을 지 배하는 비선형의 적분방정식을 복소포텐셜로 나타내고 경계 요소법을 이용하여 수치계 산함으로써 수퍼비테이션익열의 유동에서의 수력특성을 구하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