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성정보 파일

Search Result 547,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Efficient Generation of a Feature Profile in a Set of Similar Video Data (유사 비디오 데이터 집합에서 효율적인 특성정보 프로파일 생성 기법)

  • Park Dong Cheol;Chang Joong-Hyuk;Lee Won-Su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2 s.98
    • /
    • pp.219-232
    • /
    • 2005
  • With the rapid progress of computer technology in recent years, a digital video data has been used in many applications. As a result,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to discover knowledge embedded in a video database. However, few researches on data mining for a video database have been performed due to the unclear boundary of the information in a large amount of a video stream.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generation method of a feature profile in a set of similar video data. To extract the information embedded in original video data efficiently, several refinement techniques are also presented. These methods include merging pixels, restricting preferred areas, removing noises under a minimum repeat factor, extracting important key frames, generating derived blocks and applying weights to dynamic and static areas differently.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se methods is evaluated by comparing a result profile obtained by a data mining process with original video streams.

Design of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for Linux-Based NAND Flash Memory Filesystem (리눅스 기반의 NAND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성능 측정 도구 설계)

  • Park, Sang-Oh;Kim, Su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844-846
    • /
    • 2005
  • 멀티미디어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저장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장장치들의 발달과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저장 장치에 대한 파일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처럼 파일 시스템들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존의 파일 시스템 성능 측정 도구를 사용하면 해당 파일 시스템의 특성에 맞는 평가 요소를 정확하게 측정을 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해당 저장장치의 특성에 맞게 최적화된 파일 시스템들은 그 특성이 고려된 성능 측정 도구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위해 개발된 파일 시스템들의 특성들을 측정할 수 있는 성능 측정 도구의 설계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A Study Production of Multi-Screen Contents using Flash Live Video (플래시 비디오를 이용한 다중화면 콘텐츠 제작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85-18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비디오 파일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다중화면 콘텐츠 제작을 제안한다. 플래시 라이브 비디오를 만들기 위하여 동영상 파일을 플래시 프로그램에 내장된 변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플래시 비디오 파일로 변환한다. 플래시 비디오 파일의 특성은 어떤 비디오 파일 포맷보다 보안성과 압축률이 높으면서 고화질을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중을 화면을 제작함으로써 어떤 다른 동영상 파일 포맷을 비교해 보면 보다 효율적인 우수함을 나타낸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AN Cluster File System (캔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황인철;임동혁;김호진;맹승렬;조정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8-30
    • /
    • 2004
  • 요즘 네트웍과 PC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값싼 PC를 빠른 네트웍으로 묶어 높은 성능을 얻고자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에 대하여 많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의 한 분야로서 클러스터 시스템에서 각 노드의 CPU나 메모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느린 디스크에 접근하는 파일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은 기존에 연구되었던 분산 시스템의 파일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존 분산 시스템들은 클러스터 시스템과 유사한 부분들이 존재 하지만 다른 부분도 존재한다. 클러스터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높은 성능의 데이터 입출력과 효율적인 지원을 위해서는 클러스터 시스템의 특성을 잘 활용하는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시스템의 특성을 잘 활용하는 캔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캔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은 자료 저장 시스템을 클러스터 시스템의 특성을 잘 활용하는 단일 디스크 입출력을 사용하고 그 위에 상호 협력 캐쉬를 구현함으로서 높은 대역폭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캔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의 성능을 기존 파일 시스템 중 PVFS와 테스트 프로그램 수행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PDF

Analyses of Replica Placement Schemes in Distributed File Systems (대용량 분산 파일 시스템의 복제 배치 기법 분석)

  • Choi, Dae-Soon;Kim, Jee-Hong;Eom, Yo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373-375
    • /
    • 2012
  • 정보의 양이 늘어나고 그 크기가 커짐에 따라 많은 분야에서 대규모 분산 파일 시스템을 제안하고 사용하고 있다. 현재 제안된 분산 파일 시스템은 대부분 확장가능하며 장애에 견딜 수 있고 신뢰성이 있는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었다. 따라서 분산 파일 시스템은 장애에 효과적으로 견질 수 있고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복제를 만들어 서로 다른 스토리지에 배치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분산 파일 시스템의 복제 배치 기법에 관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먼저 분산 파일 시스템의 동작 구조를 확인하고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보편적으로 중요시 되는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복제 배치 기법이 효과적인 분산 파일 시스템 구성 시 고려해야 할 것들을 부하 분산, 디스크 분산, 장애 분산으로 나누었다. 이 세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분산 파일 시스템인 GFS, HDFS, Ceph, MooseFS의 복제 배치 기법을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 파악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lass Pile Converter for Embedded Java Virtual Machine (내장형 자바가상기계를 위한 클래스 파일 변환기의 설계 및 구현)

  • 지정훈;양희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7-69
    • /
    • 2003
  • 자바는 서로 다른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동일하게 동작하는 플랫폼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자바가 상기계(JVM)는 클래스 파일을 읽어 들여 인터프리팅하여 실행한다. 보조기억장치가 없는 내장형 시스템에서는 메모리에 클래스 파일이 위치하는데 클래스 파일에는 디버깅등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정보와 클래스, 상수, 필드, 메소드 둥의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내장형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클래스 파일을 변환하여 내장형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효율적인 자원 사용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클래스 파일을 변환 해주는 도구인 cls2bin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c1s2bin은 클래스 파일에서 동작에 필요하지 않은 정보들을 제거하고 인터프리팅 될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bin) 파일을 생성한다 cls2bin의 동작과정과 bin 파일 포맷을 살펴봄으로서 내장형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자원사용과 내부정보의 접근 방법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로 내장형 자바 시스템에서의 개선된 클래스 파일의 형태를 정의하고자 한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a Image-based Internet Video Search System using Feature Information (특성정보를 이용한 영상기반 인터넷 동영상 검색 시스템의 구현)

  • 손정식;이원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62-6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동영상 정보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특성 정보에 기반한 영상기반 검색과 예제를 통한 질의를 사용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검색 시스템과는 달리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진의로 제출한 통영상의 특성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타마이닝하여 프로파일로 만들고, 인터넷에서 검색된 동영상의 특성정보와 비교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진의 동영상 프로파일들을 통합하고, 특징 영역 세그먼트들의 중요도를 저장해 둠으로써 사용자의 질의를 하나의 척도로 처리하며, 작성된 프로파일과 비교 할 동영상의 특성정보를 영역별로 가중치를 주어 보정함으로 검색을 원하는 동영상의 특징을 강조한 진의가 가능하도록 한다. 끝으로 가중치를 주는 방법의 변화에 따른 시스템이 출력하는 검색 결과의 변화를 관찰하여 보정 방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ile System for Non-Volatile RAM (비휘발성 메모리를 위한 파일시스템 설계 및 구현)

  • Baek Seungjae;Choi Jongmoo;Lee Donghee;Noh Sam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847-849
    • /
    • 2005
  • 최근 DRAM 특성인 바이트 단위의 빠른 접근과 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 특성인 비휘발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가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위한 새로운 파일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파일시스템은 메모리 본래의 특성대로 기존의 메모리 공간 할당 함수 인터페이스로 접근이 가능하며, 일반 파일시스템 인터페이스로도 접근이 가능하다. 또한 이 파일시스템은 효율적인 공간관리 및 성능 향상을 위하여 가변 크기 블록 사이즈를 지원한다. 한편 루트 파일시스템 용도로 사용 시 부팅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page table 매핑 수정을 통해 실행 가능 파일의 직접 수행을 제공한다.

  • PDF

Virus Detection and Recovery Using File Virus Self-Reproduction Characteristic (파일 바이러스 복제 특성을 이용한 바이러스 탐지 및 복구1))

  • 서용석;이성욱;홍만표;조시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24-72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바이러스의 자기 복제 특성을 용한 바이러스 탐지 및 복구 방안을 제안한다. 바이러스의 행동 패턴은 바이러스의 종류 만큼 다양하지만 파일 바이러스의 경우, 자기 복제 행동 패턴은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유사하다. 파일 바이러스가 시스템 감염시키기 위해서는 기생할 실행파일을 열고, 자기 자신을 그 실행 파일에 복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자기 복제 행위를 통해 바이러스가 광범위하게 선과될 때 피 피해도 커지게 된다. 바이러스치 자기 복제 특성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바이러스 탐지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득징을 가진다. 첫째, 바이러스의 자기복세 행동 패턴은 파일 입출력 이벤트로 표현하여 바이러스의 행동 패턴으로 일반화시켰다. 둘째, 바이러스의 1차 감염행위는 허용하고 2차 이후 감염 행위부터 탐지하고, 탐지되기 이전에 감염되었던, 파일들을 복구한다. 이는 일반적인 바이러스들이 자기 복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false-positive 오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고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문자열에 의한 바이러스 탐지 및 복구 방법의 단점을 보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Collecting and Determining Criteria of Normal Files for Prevention of Anti-Virus False Positive (Anti-Virus 오진 방지를 위한 정상파일 취합 및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Hur, Jong-Oh;Ahn, Hyung-Bong;Cha, I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308-1311
    • /
    • 2010
  • 급격히 증가하는 악성코드로 인해 Anti-Virus 연구소들은 대량의 악성코드를 자동으로 분석 및 진단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자동 분석은 오진(False Positive)의 증가라는 부작용을 가져왔다. 주요 파일에 대한 오진단은 Anti-Virus 를 통해 최종 보안을 유지하고 있는 대다수의 시스템을 정지시켜, 국가적인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업체들은 오진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정상파일을 보유하지 않고 파일정보만으로 오진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근본적으로 오진단을 감소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정상파일 셋을 구축하여 Anti-Virus 의 오진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파일 중에서 수집이 필요한 파일에 대한 기준과 수집한 파일이 정상파일 인지를 판단할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 Anti-Virus 연구소들은 정상파일 셋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정상파일에 대한 개념과 정상파일이 악성코드 파일과 비교되는 7 대 특성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기존에 제시된 적이 없는 정상파일 취합기준과 판단기준을 제안하였다. Anti-Virus 연구소는 본 기준들을 통해 우수한 오진방지용 정상파일 셋을 구축하여, 악성코드의 증가로 인해 함께 증가하고 있는 오진을 줄이고, 사용자 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함으로써, 오진으로 인한 국가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