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산종

Search Result 43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Vascular Plants of Gonamsan and Siribong in the Baekdudaegan (백두대간의 고남산과 시리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 김용식;임동옥;오현경;고명회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4
    • /
    • pp.345-358
    • /
    • 2003
  •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the areas of Gonamsan and Shiribong in the Baekdudaegan were summarized as 295 texa: 89 families, 193 genus, 245 species, 44 varieties and 6 forms.10 taxa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areas as the Korean endemic plants: Hosta capitat (Liliacease), Polygonatum lasianthum var. corenum (Liliaceae), Chloranthus japonicus (Cloranthaceae), Salix hulteni (Salicaoeae), Clematis richotoma (Ranunculaceae),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Rosaceae), Vicia unijuga (Fabaceae), Viola albida (Violaceae), cornus walter(Cornaceae), Weigela subsessilis (Caprifoliaceae).According to the list of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s complied in the studied areas:Iris ensata var. spoyanea(Iridaceae), Viola albida (Vioaceae) and Aristolochia contorta (aristolochiaceae) Due to the rapid destruction and increase of visitors and the studied areas are located close to the villages, the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the areas were more frequently appeared than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Development of Web-based Natural History Museum Multimedia Contents (웹 기반 자연사 박물관 멀티미디어 컨텐츠 구축)

  • 임성은;용환승;송준임;노분조;서수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82-385
    • /
    • 2000
  • 자연사박물관은 과학박물관 중 자연계를 구성하고 있는 자료 및 현상, 자연의 역사에 관한 자료를 자연사과학 및 자연교육의 입장에서 다루는 박물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연사박물관의 컨텐츠 자료 중 특히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보호대상종 및 희귀야생종, 특산종, 신종을 중심으로 웹에 기반한 자연사박물관 컨텐츠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하고, 저장된 자료를 웹 상에서 효과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Flora of Kyongpo Provincial Park Area (경포도립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 박용진;유기억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3
    • /
    • pp.224-235
    • /
    • 1998
  • Floristic composition of Kyongpo Provincial Park area were investigated from June, 1997 to June, 1998.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87 families, 240 genera, 281 species, 51 varieties, and 7 formae, totaling 339 taxa. Among them, three taxa such as Vicia venosissima, Paulownia coreana, Aster ciliosa were Korean endemic species. Pteridophyta calculation(Pte-Q) was investigated, 0.61. A naturalized plants were 12 species, corresponding to 5.5% of totaling 218 species in South Korea by Lee and Chon(1995). The dominant species could be represented by Pinus thunbergii and P. densiflora. And its stratification structure were composed as follows : Pinus thunbergii and P. densiflora in tree and subtree layer, Pinus thunbergii, P. densiflora. and Prunus sargentii in shrub layer, and Spodiopogon sibiricus, Festuca ovina, Melandryum firmum, Artemisia princeps, Rumex acetosella, Commelina communis and Plantago depressa in herb layer, respectively. But stratification structure of dominant species appeared very unstable in subtree and shrub layer.

  • PDF

Vascular Plants of East Area in Girisan -Areas in Georim Valley, Baekmudong Valley, Hanshin Valley, Jungsanri Valley- (지리산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 -거림계곡, 백무동계곡, 한신계곡, 중산리계곡을 중심으로-)

  • Kim Yong-Shik;Oh Hyun-Kyung;Koh Myong-Hee;Beon Mu-Sup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4
    • /
    • pp.415-436
    • /
    • 2004
  • The vascular plants species were summarized as 479 taxa: 89 families, 260 gents, 404 species, 66 varieties, 8 forms and 1 hybrid in the whole 6 surveyed areas of eastern parts of Jirisan (Georim Valley, Baengmudong Valley, Hanshin Valley, Jungsanri Valley, Sesokpyongjeon, and Chonwangbong).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26 species were recorded: Athyrium excelsius (Aspidiaceae), Abies koreana (Pinaceae), Betula ermani var. saitoana (Betulaceae) etc. The special plants from the list of Ministry of Forest,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7)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15 species were recorded: Smilacina bicolor (Liliaceae), Disporum ovale (Liliaceae), Clematis chiisanensis (Ranunculaceae) etc. And 15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Oenothera biennis (Onagraceae), Ambrosia artemisiaefolia (Asteraceae), Carduus crispus (Asteraceae), etc. Especially, the Korean endemic plants repeatedly appeared around mountain-trails and Ambrosia artemisiaefolia (Asteraceae), also, popular were distributed in the entire studied areas.

The Comparative Study of Flora around the Geumgang Area (금강 수계의 식물상 비교 연구)

  • Kim, Young-Hyun;Park, Jeong-Mi;Jang, Chang-G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7 no.2
    • /
    • pp.216-229
    • /
    • 2009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Geumgang area (Mt. Guryongsan, Mt. Jeonwolsan, Mt. Samasan, Mt. Yongmeorisan and Mt. Hamrasan) was investigated to suggest strategies for conserv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2007 to April 2008, with total 17 times. The Korean endemic species, legally protected species and species to threaten domestic ecosystem species to threaten were grasped on this study. The flora consists of 334 taxa, 86 families 246 genera 297 species 34 varieies and 3 forms in total results from 5 sites in this study. Korean endemic species were confirmed 8 taxa. No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ere found in this study. The 2 taxa of the fourth grade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announce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and 8 taxa of the third grade were confirmed. In totally, 24 taxa that are specially designated plants announce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ing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taxa. 25 taxa of alien naturalized plants were confirmed. The degree of destroy of forest vegetation and reduction of plant diversity in the midstream of Geumgang were in proceeding by construction of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cultivation. It is needed to set up strategies for conservation forest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The Potential of the Korean Endemic Plant, Abeliophyllum distichum, as a Plant Resource (한국 특산 식물 미선나무, 식물자원으로의 잠재력)

  • Tae Won J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9-9
    • /
    • 2023
  • 한국 특산 식물인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는 IUCN Red List의 EN (위기종) 등급에 지정되 어 보호받아 왔다. 미선나무는 국내 자생지 6곳을 포함하는 13개의 서식지에서 생육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17년 이후, 국내에서는 지속적인 보전과 관리하에 법정보호종에서 해제되어 멸종위기종 복원 성 공 사례의 귀감이 되었으나 국내를 제외하면 미선나무의 활용은 아직 어려운 현실이다. 미선나무는 1속 1종이지만 종 내에서 다양성이 존재한다. 꽃의 형태적 특징에 따른 다양한 분류가 이루어지며, 옥황1호을 포함한 분홍, 상아, 연녹색, 흰색 등으로 구분된다. 유전체 연구 및 성분 분석을 통해, 각 표현형마다 유전 정보와 유효 성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활용 가치를 높이려면, 유전적으로 안정되고 표준화가 가능한 원료가 필요하며, 이는 신품종을 이용하거나 새로운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내포한다. 일반 식품으로의 활용은 어려우나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활용들은 미선나무의 높은 활용 가치를 투영한다. 활용 가치 평가를 위해 수행된 DNA 손상, 멜라닌 생합성, 항염증, 항산화, 항암 억제 등의 연구를 통해 다양한 약리학적 효능을 가진다는 결과들이 도출되었고, 많은 문헌들이 그 근거를 뒷받침한다. 또한, 유효 성분의 합성경로를 재정립하고 RNA 분석을 통해 그 양상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미선나무에서 유래한 식물조직 배양체인 callus의 유도 및 배양이 진행되고 있으며, 옥황1호 유래 callus를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미선나무 연구 및 개발에 대한 한계를 파악하고, 천연 식물 자원으로의 미선나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통해 나고야의정서에 대응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 PDF

Taxonomic Identities of Cirsium setidens, C. chanroenicum and C. toraiense (고려엉겅퀴, 정영엉겅퀴 및 동래엉겅퀴의 분류학적 실체 검토)

  • Song, Mi-Jang;Kim, Hy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5 no.4
    • /
    • pp.227-245
    • /
    • 2005
  • Numerical analysis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s was done in order to clarify taxonomic circumscriptions and identities of Korean endemic, Cirsium setidens (Dunn) Nakai, Cirsium chanroenicum Nakai, and Cirsium toraiense Nakai ex Kitam..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of C. setidens and C. chanroenicum using 29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12 leaves characters revealed one group which could not separate. Identity of C. toraiense could not be confirmed by the destruction of habitat, similarity of morphological diagnostic characters between many specimens identified C. toraiense including type specimen and C. japonicum var. ussuriense. In considering the variational pattern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identities of C. setidens f. alba, C. setidens var. niveo-araneum, and C setidens var. pinnatifolium should be recognized, but C. chanroenicum var. lanceolata should be included to circumscription of C. setidens.

Geographic Variation of Lamina Circularis in Cobitis longicorpus (Pisces: Cobitidae) (왕종개 Colitis longicowus (Pisces: Cobitida티 골질반의 지리적 변이에 관하여)

  • 김종범;김재야양서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1
    • /
    • pp.103-109
    • /
    • 1991
  • 한국 특산종 Cobitis longicorpus (왕종개)의 주요 분류형질인 골절반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남한의 12개집단 205개체를 이용, 골질반의 type분석과 계수학분석을 실시하였다. Type분석 결과, 동해유입하천집단(영덕의 송천, 축산천, 경주 형산강, 울주 회야강)의 골질반은 등근 삼각형, 삼각형, 인각형으로 남해 유입하천 및 도서집단의 타원형, 반타원형, 부채꼴과 구별되었다. 골질반의 계수화분석 결과에서도 동해유입하천의 골질반 폭은 비교적 좁아 남해유입하천 및 도서지방과의 평균 CD값이 1.64로 새종 수준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조사, 비교된 제 1 체측반문도 동해유입하천에서는 C. longicorpus의 특징이 전혀 나타나지 않아, 원기재질단인 섬진강집단을 포함한 남해유입하천 및 도서집단과 구별된 새종수준의 종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Togyusan-Abies koreana Forest- (덕유산 아고산지대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림-)

  • 김갑태;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1
    • /
    • pp.70-77
    • /
    • 1999
  • 덕유산의 향적봉과 남덕유산을 잇는 아고산지대(1.350~1.600m)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의 구상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27개의 조사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덕유산 아고산지대 구상나무림의 종구성적 특성은 신갈나무 - 주목 - 구상나무군집이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주목과 병꽃나무; 호랑버들과 부게꽃나무; 백당나무와 호랑버들; 당단풍과 조릿대 등의 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구상나무와 병꽃나무; 신갈나무와 노린재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해발고와 정의 상관이 인정된 것은 주목과 백당나무 등이었고, 부의 상관이 인정된 것은 쇠물푸레이었다. 구상나무의 활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8.18%는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 고사목은 흉고직경 10~30cm 의 범위에 드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생육현황표의 점수 평균은 11.73점이었고, 점수와 토심과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Multimedia Web Contents Search System for Natural History Museum (자연사박물관 멀티미디어 웹 컨텐트 검색 시스템 구축)

  • 박선영;강주영;이인기;용환승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6 no.3
    • /
    • pp.101-115
    • /
    • 1999
  • In this paper, we described web content searching system focused on the natural monuments, the endangered and reserved wild animals, the rare wild animals relevant to CITES & IUCN red data book, and the Korean endemic speci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developed system for inserting and modifying of contents and efficient web searching system on the multimedia cont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