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트리비교

Search Result 98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On-Line Cable Water-Tree Detection by the Analysis of Pre-Discharge Signals (미세 방전신호 분석을 통한 케이블 수(水)트리 활선 현장진단)

  • Chung, Sang-Jin;Kim, 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9a
    • /
    • pp.6-8
    • /
    • 2008
  • 배전케이블 수 트리 현상은 XLPE케이블의 고장을 초래하는 주요원인이다. 수 트리에 기인한 신호는 아주 미세하여 현장진단은 배경 잡음으로 인해 검출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특성이 우수한 L-C결합센서를 사용하여 방전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주파수영역에서의 분석을 통해 현장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기 훨씬 이전에 존재하는 미세신호(Pre-Discharge)를 검출하고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케이블 내 수(水) 트리가가 존재하면 이것이 이종 절연물의 경계면 역할을 하석 서-지 임피던스의 차이로 인해 케이블 단자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가 수 트리 지점에서 다수의 반사를 일으켜 그 잡음 수준을 높이는 역한을 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일 여러 개소에 수 트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배경잡음을 현저하게 높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실험실에서 발생하는 미세 신호와 현장의 신호를 비교한 결과 아주 유사한 패턴이 있음이 파악되어 이 방법은 수 트리의 활선 진단이 가능함을 확인시켜 주었다.

  • PDF

Constant Time RMESH Algorithm for Computing Area and Perimeter of Binary Image Represented by Linear Quadtrees (선형 사진트리로 표현된 이진 영상의 면적과 둘레 길이를 계산하기 위한 상수시간 RMESH 알고리즘)

  • Kim, Gi-Won;U, Jin-U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7
    • /
    • pp.1746-1758
    • /
    • 1998
  • 계층적 자료구조인 사진트리는 이진 영상을 표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구조이다. 사진트리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중 선형 사진트리 표현 방법은 다른 표현 방법과 비교할 때 저장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사진트리와 관련된 연산의 수행을 위해 선형 사진트리를 사용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REMSH(Reconfigurable MESH) 구조에서 3-차원 n$\times$n$\times$n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선형 사진트리로 표현된 이진 영상의 면적과 둘레 길이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0(1) 시간 복잡도를 갖는다.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electrical treeing and PD distribution according to defects models (결함에 따른 전기트리의 발생양상 및 PD 분포 특성의 비교/분석)

  • Jeong, Hae-Eun;Park, Song-Hee;Lim, Kee-Joe;Kang, Soe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497-49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전력기기의 고체 절연물내에서 발생하는 전기트리의 진전양상 및 그에 대한 PD 분포 특성을 Hn(q), $Hn(\Psi)$, $Hq_{avg}{\Psi})$, $Hq_{max}(\Psi)$로 표현하였다. 또한 통계적 분포의 변화정도를 나타내어 정량적으로 확인을 하고자 하였다. 논문에서 사용한 트리 결함은 침-평판 트리, 보이드트리, 고체절연물내 이물트리 등 세 가지 경우이며, 각각의 트리 진전에 대한 특성은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Right-to-Left Parsing using Headable Path (지배가능경로를 이용한 오른쪽 우선 구문 분석)

  • Kim, Chang-Hyun;Kim, Jae-Hoon;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35-44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의존문법을 이용해 한국어와 같이 비교적 어순이 자유롭고, 지배성분 후위의 특성을 갖는 언어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오른쪽 우선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지배가능경로를 이용하면 생성되는 의존 트리의 수를 줄일 수 있음을 보이며, 의존 관계의 검사를 위해서는 지배가능경로 상의 문장 성분만을 조사하면 됨을 보인다. 한국어에 적용한 실험 결과를 보이며, 각 방식에 따른 비교 기준은 생성되는 외존 트리의 갯수와 분석 수행 시간으로 한다. 이때 한국어 문장성분간의 의존관계는 품사 분류에 의한 기본적인 의존 관계만을 이용하며, 격돌이나 의미 속성 등 추가적인 제약 사항은 이용하지 않는다. 오른쪽 우선 구문 분석은 지배가능경로를 이용함으로써 의존 관계의 빠른 검색을 할 수 있었으며, 문장 지배 성찰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 의존 트리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생성되는 의존 트리의 수를 줄일 수 있었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Thinking Extension of Information-Gifted by Steps (정보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단계별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결과 비교 분석)

  • Young-Uhg Lho;Deok-Gil Jung;Byung-Jo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66-1169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정보 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트리 구성과 트리 탐색에 기반을 둔 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제시된 교수-학습 모형은 문제를 표현하는 트리의 유형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 모형은 다시 네 가지 단계의 학습 단계로 구성된다. 구성되는 트리의 모형에 따라 적용되는 알고리즘에는 recursion, heuristic, minimax 탐색 방법 등이 도입되어 적용된다. 이 모델은 저 수준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간단한 모형에서 출발하여 고 수준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복잡한 모형으로 발전시키는 교육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사고력 신장의 정도에 따라 초등학교 학생들로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에 이르기 까지 대상을 확대하여 점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 유형별로 학습 단계간의 적용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대공유도무기 패트리어트

  • Kim, Dong-Y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6 s.220
    • /
    • pp.44-53
    • /
    • 1997
  • 요즈음 우리 대공방어 무기체계 구축에 논란이 되고 있는 미국의 패트리어트와 러시아의 S-300V에 대하여 이번과 다음호까지 2회에 걸쳐 게재한다. 상호 비교한다는 것이 불합리할지도 모르지만 기술적 측면을 살펴보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A Design of Efficient Cluster Sensor Network Using Approximate Steiner Minimum Tree (근사 최소 스타이너 트리를 이용한 효율적인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

  • Kim, In-Bum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7A no.2
    • /
    • pp.103-112
    • /
    • 2010
  • Cluster sensor network is a sensor network where input nodes crowd densely around some nuclei. Steiner minimum tree is a tree connecting all input nodes with introducing some additional nodes called Steiner points. This paper proposes a mechanism for efficient construction of a cluster sensor network connecting all sensor nodes and base stations using connections between nodes in each belonged cluster and between every cluster, and using repetitive constructions of approximate Steiner minimum trees. In experiments, while taking 1170.5% percentages more time to build cluster sensor network than the method of Euclidian minimum spanning tree, the proposed mechanism whose time complexity is O($N^2$) could spend only 20.3 percentages more time for building 0.1% added length network in comparison with the method of Euclidian minimum spanning tree. The mechanism could curtail the built trees' average length by maximum 3.7 percentages and by average 1.9 percentages, compared with the average length of trees built by Euclidian minimum spanning tree method.

Cache Sensitive T-tree Index Structure (캐시를 고려한 T-트리 인덱스 구조)

  • Lee Ig-hoon;Kim Hyun Chul;Hur Jae Yung;Lee Snag-goo;Shim JunHo;Chang Juho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2 no.1
    • /
    • pp.12-23
    • /
    • 2005
  • In the past decade, advances in speed of commodity CPUs have iu out-paced advances in memory latency Main-memory access is therefore increasingly a performance bottleneck for many computer applications, including database systems. To reduce memory access latency, cache memory incorporated in the memory subsystem. but cache memories can reduce the memory latency only when the requested data is found in the cache. This mainly depends on the memory access pattern of the application. At this point,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B+ trees perform much faster than T-trees because B+ trees are more cache conscious than T-trees, and also proposed 'Cache Sensitive B+trees' (CSB. trees) that are more cache conscious than B+tree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make T-trees be cache conscious as CSB-trees. We propose a new index structure called a 'Cache Sensitive T-trees (CST-trees)'. We implemented CST-trees and compared performance of CST-trees with performance of other index structures.

Performance Evaluation of Cache Sensitive B+-tree (부분키를 사용한 캐쉬 인식 B+ 트리의 성능 평가)

  • Kim, Won-Sik;Han, Wook-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448-452
    • /
    • 2004
  • Cache sensitive $B^+-trees$ with partial keys is cache sensitive tree using both key compression and pointer compression. Although conventional cache sensitive trees consider individuallykey compression and pointer compression, cache sensitive $B^+-trees$ with partial keys make more cache utilization by compressing both key and pointer. We implement bulkload and search algorithms of cache sensitive $B^+-trees$ with partial key. And out performance studies show that cache sensitive $B^+-trees$ with partial key is better than $B^+-trees$ and Simple Prefix $B^+-trees$.

  • PDF

Gene Prediction Using Phylogenomics and COG (계통유전체학과 COG를 이용한 유전자 기능예측)

  • 신창진;강병철;박준형;신동훈;김철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255-258
    • /
    • 2004
  • 본 연구는 유전자 기능예측에 있어서 유사성 검색과 비교유전체학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9종의 Human Herpesvirus를 대상으로 COG와 계통유전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향상된 유전자 기능예측을 하고자 하였다. COG의 방법을 이용하여 114 HCOGs (Human Herpesvvirus COGs)를 구축하고, HCOGs를 바탕으로 유전자 컨텐츠트리를 제작하였다. 이 트리를 통하여 각 HCOG는 $\alpha$-특이적 그룹, $\beta$-특이적 그룹, $\alpha$, $\beta$, ${\gamma}$ -특이적 그룹 중 하나에 속함을 보였다. 계통유전체학의 적용을 위하여 u, $\beta$, ${\gamma}$ -특이 그룹에 속하는 ORF중 DNA polymerase를 이용하여 종트리를 제작하였다. SDI (Speciation and Duplication) 알고리즘을 통하여 148개의 당단백질에서 47개의 복제점을 예측하였고, 초기 HCOG의 제작에서 제외되었던 7 ORF는 당단백질과 관련된 5개의 HCOG로 재 정의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COG는 ortholog 그룹을 를러스터링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를 더욱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교유전체학이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교유전체학의 방법과 계통유전체학적 방법을 조화시켜 유전자 기능 예측을 보완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