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트래픽 예측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1초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합리적인 듀티사이클 선정을 위한 가중이동평균 기반의 동적 트래픽 계산방법 (Dynamic Traffic Calculation Method Based on Weighted Moving Average for Determining Duty-Cycl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임기열;손민한;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20-322
    • /
    • 2013
  •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MAC 프로토콜은 듀티사이클을 이용하여 센서노드의 에너지 소비를 줄임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한다. 기존에 제안된 TA (Traffic-Adaptive)-MAC 프로토콜은 비동기 방식 기반으로 듀티사이클을 조절하여 센서노드의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 본 기법은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태를 고려하여 동적으로 센서노드의 듀티사이클을 조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센서노드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센서노드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이 기법은 네트워크의 트래픽 변화가 잦은 환경에서는 좋지 못한 효율을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TA-MAC 기법에 가중이동평균 방법을 적용하여 합리적인 듀티사이클 선정을 위한 트래픽 계산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최근 트래픽 값과 현재 감지한 트래픽의 평균을 계산하고 다음 트래픽을 예측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이 급격히 변화하는 불안정한 환경에서 더 합리적인 듀티사이클 선정을 돕는다.

ATM 스위치의 폭주 제어 및 최대 링크 이용률을 위한 대역 할당 알고리즘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for Congestion Control and Maximum Link Utilization in ATM Switch)

  • 정경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A호
    • /
    • pp.1709-1716
    • /
    • 2000
  • ATM 스위치에서 입력 트래픽의 링크 이용의 불확실성과 입력 트래픽에 대한 예측 오류 등으로 인한 폭주가 발생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스위치내부에서 폭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모새되어야 한다.본 논문에서는 스위치 내부 링크의 대역 사용량을 측정하여 폭주 및 트래픽 제어를 수행하고 링크 이용률을 최대화하기 위한대역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폭주가 발생한 링크에 대하여 짧은 시간 내에 폭주를 해결하고 폭주가 발생하지 않은 링크에서는 사용하고 남은 여분의 대역을 공평하게 할당함으로서 링크의 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트래픽 관리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PDF

FR/ATM 연동에서 트래픽 파라메타를 사상하기 위한 대역 비율 (Bandwidth Ratio Considerations for Traffic Parameter Mapping on the Frame Relay/ATM Interworking)

  • 남윤석;김정식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75-181
    • /
    • 1999
  • ATM과 non-ATM 간의 서비스가 연동도기 위해서는 트래픽 파라메타가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프레임 기반의 FR 트래픽 제어와 셀 기반의 ATM UPC와는 QoS 측면에서 정확하게 일치하기 어렵다. ATM 과 FR은 서로 다른 전달 모드와 트래픽 파라메타를 가지며, 기본 단위가 프레임과 셀로서 별도의 제어 방법을 갖는다. 또한 동일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데 ATM 측의 대역이 FR보다 훨씬 크다. 이는 ATM 셀 및 AAL5 구성 형태에서 기인하는데 FR/ATM 연동시 트래픽 파라메타를 사상하는데 대역비가 사용된다. 따라서 FR/ATM 연동에서 트래픽 파라메타를 사상하여 망간의 QoS를 유지시키며, 망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트래픽 대역비를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ATM 망에서 FR과 ATM 간 QoS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들 간의 트래픽 파라메타를 사상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도일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FR과 ATM 간의 대역 비를 예측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비를 예측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트래픽의 프레임 길이 분포를 Erlang 또는 지수 함수로 가정하고 수행하였다.

  • PDF

ATM계층의 트래픽 측정 및 분석 도구 설계 (The Traffic Measurment and Analysis Tool Design for the ATM Layer)

  • 정승국;이영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31-137
    • /
    • 2001
  • 본 논문은 ATM망에서 ATM계층의 셀 전달 트래픽에 대해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트래픽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 설계에 관한 것으로 설계된 도구를 현장에 적용, real-ATM트래픽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도구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는데, 분석 결과 망 자원의 효율을 약 20%~50% 까지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분석 파라메터는 현장에 적용하였고, 적용된 파라메터는 품질을 보장하면서 망 자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입자별 트래픽 유형을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로 분석할 수 있도록 향후 많은 raw data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망 확장 및 신규 망 구축을 위한 설계 분야 및 ATM망의 트래픽 수요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TM망에서 적응적 연결수락제어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ive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Method in ATM Networks)

  • 한운영;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19-1729
    • /
    • 1994
  • 연결수락제어(CAC : Connection Admission Control)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망내에 새로운 호의 연결이 요구되었을 때 이 새로운 연결호의 서비스품질을 만족하고, 충분한 자원이 망내에 확보되어 있는 가를 확인한 후 기존에 연결된 호의 서비스 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연결 수락 또는 거절을 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적응적 연결수락제어방법은 신고치와 측정치를 이용하여 트래픽을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신고치를 이용한 트래픽 예측은 호 연결 또는 호 해제 시에 회귀적(recursive) 방법으로 계산되며, 측정치를 이용한 트래픽 예측은 측정반영율 및 측정 반영주기는 트래픽 흐름의 변화를 정확히 추정하고 측정에 의한 예측 오차를 줄이는데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 반영율의 적응적 조정을 위해 트래픽 흐름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는 시점인 연결 수락 또는 연결 해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후의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 반영율을 변화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 대해 동질 트래픽과 이질 트래픽의 경우에서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적응적 연결수락제어방법이 이용율과 서비스품질(QOS : Quality Of Service)관점에서 기존의 연결수락제어방법보다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차세대 네트워크에서 상대적 지연 차별화를 위한 적응형 입력 트래픽 예측 방식 (Adaptive Input Traffic Prediction Scheme for Proportional Delay Differentiation in Next-Generation Networks)

  • 백정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7-2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품질 기능 고도화를 목적으로 상대적 지연 차별화 기능을 제공하는 알고리듬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 분석을 수행한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듬을 XPC 860 CPU 기반의 시험 보드상에서 VHDL로 구현하여 실제 트래픽 입력 상황하에서의 성능 분석을 수행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매 시간 구간마다 입력되는 트래픽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음 시간 구간 동안 입력될 트래픽의 양을 예측한 후 실제로 다음 시간 구간 동안에 입력된 트래픽과 비교하여 오차분을 도출하여 이를 다음 타임 슬롯의 지연 차별화 동작에 지속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특징적 요소이므로 오차분을 고려하지 않는 기존 방식에 비해 버스트 트래픽에 대하여 우수한 적응성을 보여준다. 제안된 방식의 성능은 시뮬레이션과 실제 보드상에서의 시험을 통해 절대적 지연 목표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기존 방식에 비해 버스트 트래픽에 대하여 성능 개선 효과가 달성됨이 확인된다.

  • PDF

ABR 서비스를 위한 예측 트래픽 제어모델 (Predictive Traffic Control Scheme of ABR Service)

  • 오창윤;임동주;배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307-312
    • /
    • 2000
  • ATM은 비동기 시분할 다중화와 통계적 다중화 특성을 기존의 데이터 통신분야에 도입함으로써 데이터와 음성,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통신들을 유연하게 서비스할 수 있다. ATM 서비스는 트래픽 특성과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CBR, VBR, UBR, ABR로 구분하는데 그 중 ABR 서비스는 최소의 대역폭을 보장하고 가용 대역폭을 최대 셀 전송률까지 높여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으며, 셀 손실을 줄이기 위해 피드백 정보를 활용하여 트래픽을 제어한다. 본 논문에서는 피드백 정보를 위한 예측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ATM 스위치에서 발생한 피드백 정보가 역 방향 노드에 도착하기 위해 긴 지연시간을 갖는 경우에, ATM 스위치에서 큐 길이의 증가로 인한 혼잡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큐 길이의 시간 대비 변화량이 크게 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예측제어 알고리즘들은 예시적인 피드백 제어방식으로 시간 대비 큐 길이함수의 기울기와 이전의 큐 변화량을 이용하여 미래의 큐 길이를 예측하려 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제어 알고리즘은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 PDF

웹 검색 트래픽 정보를 이용한 범죄 예측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to Predictive modeling of crime using Web traffic information)

  • 박정민;정영석;박구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3-101
    • /
    • 2015
  • 현대 사회는 다양한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범죄를 예측 하는 것이 필요하고, 범죄 예측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범죄 관련 데이터는 검찰청에서 1년에 한번 통계처리를 하여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처리 된 자료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약 2년 전의 자료로 현재 발생하는 범죄에 대한 데이터로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은 범죄를 예측하는 데이터로 네이버 트랜드를 적용했다. 네이버 트랜드의 웹 검색 트래픽을 이용하면, 현재 발생하는 범죄에 대한 관심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네이버 웹 검색 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범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을 구성하였고, 예측 이론으로 마코프 체인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범죄 중 살인, 방화, 강간을 대상으로 예측 모델링에 적용하였고, 결과 값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 발생한 범죄 발생 빈도수를 기준으로 20%이내의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향후에는 계절의 특성을 고려한 범죄 예측 모델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무선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 트래픽 분류 기법 연구 (Efficient Traffic Classifier in Wireless Network)

  • 이성진;송종우;안수한;원유집;장재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D)
    • /
    • pp.485-490
    • /
    • 2008
  • 무선 인터넷의 구조적 특성상 한 셀에서 대역폭을 공유하고 그 안에서 각기 다른 QoS를 요구하는 서비스들이 한정된 자원을 사용한다. 트래픽의 변화와 패턴을 예측하기 위한 분석은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인 기획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도구로 사용이 된다. 무선망의 트래픽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유선망의 분석과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확한 분류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세션의 단위로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CART) 와 Support Vector Machine(SVM) 의 두 개의 판별 분류 기법을 서로 비교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두 개의 판별 기법의 오차는 CART의 경우 0.0094 그리고 SVM의 경우 0.0089로 둘 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쉬운 결과 해석이 가능한 CART가 사용하기 용이함을 보인다.

  • PDF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동적 우선순위를 보장하기 위한 클래스별 지연 시간 예측 기법 (Per Class Delay Estimation to Guarantee Dynamic Priority for Multimedia Traffic)

  • 이동호;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283-286
    • /
    • 2011
  • 무선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QoS(Quality of Service) 지원을 위하여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기반의 동적 우선순위 할당 기법이 다수 제안되었다. 해당 기법들은 각 홉에서의 최소한의 전송 지연 보장을 위하여 클래스별 예상 지연 시간을 계산한다. 하지만 각 클래스별 예상 지연 시간의 계산은 무선 채널에서의 간섭, 충돌 및 링크 품질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EDCA 기반의 동적 우선순위 할당을 위한 정교한 클래스별 지연 시간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무선 채널의 링크 품질과 전송 패킷의 크기를 고려하여 좀더 실제와 유사한 지연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정확성이 높으며 이를 통해 동적 우선순위 할당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