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트래픽

Search Result 4,511,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 efficient scheduling method for real-time and non real-time traffic (실시간 / 비실시간 트래픽의 효율적인 scheduling 방안)

  • Chae, Hee-J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61-162
    • /
    • 2008
  • 본 연구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가입자 또는 connection이 존재할 때 트래픽 패킷의 전송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상에 QoS를 만족해야하는 실시간 트래픽 전송을 요구하는 connection과 비실시간 트래픽 전송을 요구하는 connection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패킷 기반의 시스템에서 각 frame에 할당하는 트래픽 패킷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가입자 당 전송하는 트래픽 패킷은 실시간 트래픽과 비실시간 트래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간 트래픽 전송의 경우 허용전송지연시간 내에 전송하지 못하는 패킷이 발생할 확률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실시간 트래픽에 비해 우선순위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트래픽에 대해 허용전송지연시간 초과 패킷 확률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면서 미레적인 방법을 통해 비실시간 트래픽 패킷에 대한 실시간 트래픽 패킷의 우선순위를 제한하여 시스템의 평균 throughput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한 결과 비례적인 방법을 통해 실시간 트래픽 패킷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Adaptation of ATM Switch Queue under Self-Similar Traffic (Self-Similar 트래픽하에서 ATM 스위치 큐의 적응성에 관한 연구)

  • Jin, Seong-Ho;Im, Jae-Hong;Kim, Dong-Il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8C no.3
    • /
    • pp.327-334
    • /
    • 2001
  •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변수중의 하나는 트래픽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기존의 트래픽 예측과 분석은 포아송(Poisson) 또는 마코비안(Markovian)을 기본으로 하는 모델을 사용하였다. LAN, WAN 및 VBR(Variable Bit Rate) 트래픽 특성에 관한 최근의 실험적 연구들은 기존의 포아송 가정에 의한 모델들이 네트워크 트래픽의 장기간 의존성 및 self-similar 특성들을 과소평가 함으로써 실제 트래픽의 특성을 제대로 나타낼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해 왔다. 따라서 최근 실제 트래픽 모델과 유사한 모델로서 self-similarity 특성을 이용한 접근법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elf-similarity 트래픽의 정의에 대해서 논한다. 그리고 실제 트래픽을 수집하고, 인위적으로 self-similarity한 트래픽과 포아송 모델을 적용시킨 트래픽을 발생시켜 비교한 다음 ATM 스위치의 큐(Queue)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TM 스위치의 큐에 self-similarity 트래픽을 적용했을 경우 low bound상에서 버퍼 오버플로우 확률 및 셀 손실 확률에 대해 평가하였다.

  • PDF

Traffic Management Technique Using Traffic Classifier in Network Virtualization Environment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환경에서 트래픽 분류기를 이용한 트래픽 관리 기법)

  • Shin, Sang-Min;Kwon, Gu-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22-323
    • /
    • 2017
  • 본 논문은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NFV환경의 서비스 기능 체이닝 영역에서 sFlow 기반의 트래픽 분류기를 이용한 트래픽 관리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sFlow의 실시간 트래픽 샘플링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트래픽의 효과적인 관리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제안한 트래픽 관리 기법은 대규모 트래픽의 네트워크 안정성과 보안을 향상시킨다.

  • PDF

A Traffic Control Algorithm in Home Networks through Priority Reassignment (홈 네트웍에서의 Priority 재배정을 통한 트래픽 제어 알고리즘)

  • 임승옥;정광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622-624
    • /
    • 2002
  • 네트웍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다수의 PC를 보유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가정에서의 네트웍 환경이 변함에 따라, 가정 내에서의 원활한 네트웍 서비스의 제공과 가전기기들 간의 통신을 연결하는 기술이 홈 네트워킹에서 주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렇게 홈 네트웍이 확장됨에 따라 홈 네트웍 내에서의 트래픽 증가가 예상되는데, 증가된 트래픽을 어떻게 관리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가 홈 네트웍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견된다. 홈 네트웍에서 존재할 수 있는 트래픽은 크게 3가지 정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제어 트래픽, 인터넷이나 non-real-time 트래픽, 그리고 real-time multimedia 트래픽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홈 네트웍에서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많이 사용한 트래픽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식과 각 트래픽의 고유한 성질을 보존하는 priority-based 트래픽 제어 구조를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로는 사용자가 빈번히 사용한 트래픽 class에 대해서는 priority가 높게 할당되며, 각 트래픽의 특성이 감안된 priority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 PDF

비정상 트래픽 공격 유형 분석

  • Joen, Yong-Hee;Jang, Jong-Soo
    • Review of KIISC
    • /
    • v.17 no.2
    • /
    • pp.80-89
    • /
    • 2007
  • 네트워크 트래픽에서 비정상(anomaly)을 탐지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지만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비정상 유형을 관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트래픽 플로(traffic flow)를 감시한다. 트래픽 플로는 여러 가지 네트워크 트래픽의 형태를 제시한다. 이런 트래픽 플로의 집합에 대한 분석은 매우 복잡한 문제이고, 또한 트래픽 플로 수집을 위해서는 많은 자원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 트래픽 유형을 공격 형태 및 트래픽 플로 두 가지의 다른 측면에서 제시하고 그 특성을 기술한다. 그리고 앞으로 나타날 새로운 웜 공격 유형에 대하여도 제시한다.

Realtim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KEPCO's Backbone Traffic (한국전력 백본망 실시간 트래픽 측정 및 분석)

  • Oh, Do-Eun;Lee, Jin-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399-1402
    • /
    • 2002
  •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서비스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업무 전산화로 인한 분산 컴퓨팅 환경이 확대됨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은 증가 일로에 있다. 특히, 많은 트래픽이 집중되는 백본망에서는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트래픽 관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의 총 양에 의한 정량적이고 단순 평면적인 정보가 아닌 네트워크 트래픽을 정밀 분석하고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또한 어느 한 순간의 데이터나 일괄처리 방식에 의한 분석이 아닌 실시간으로 장기적인 트래픽 측정 및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트래픽 측정방법 및 특성과 한국전력 백본망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의 발원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트래픽을 플로우별로 수집, 분석학 수 있는 트래픽 측정 및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시스템은 백본망 전체의 트래픽을 지속적이며 실시간으로 이용자별, 시간대별, 프로토콜별, 응용 서비스별로 정보 추출이 가능하며 그래픽 환경과 웹 기반의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 PDF

Network Traffic Analysis System for KEPCO′s Data Telecommunication Network (한국전력 데이터통신망 트래픽 분석 시스템 개발)

  • 오도은;박명혜;성기혁;이진기;조선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280-282
    • /
    • 2002
  • 최근 업무 전산화로 인한 분산 컴퓨팅 환경이 확대되고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서비스들이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은 증가 일로에 있으며 어느 호스트에서 어떤 형태의 트래픽이 얼마만큼 유발되는지를 알아내는 일은 한정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 되었다. 하지만, 현재의 네트워크관리시스템들은 트래픽 모니터링에 따른 통계값 제공 등의 단순 평면적인 정보만을 제공할 뿐, 네트워크를 정밀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기에는 미약하다. 따라서 효율적인 네트워크 자원 활용을 위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자세히 분석하며, 네트워크 계층별, 지역별, 호스트별 및 응용 서비스 별로 트래픽을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한국전력데이터통신망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의 발원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백본 및 LAN 구간에서의 트래픽을 플로우별로 수집, 분석할 수 있는 트래픽 분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본 시스템은 트래픽 측정을 위해 백본에서는 Netflow 기능을 이용하며, LAN 구간에서는 패킷 캡처 방식의 Probe를 이용한다. 이때 기존의 패킷 캡처 방식의 기능을 개선하여 이를 플로우화 함으로써 LAN구간에서도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ISDN 트래픽 엔지니어링

  • Seo, Jae-Jun;Lee, Gang-Won;Lee, Hen
    • ETRI Journal
    • /
    • v.10 no.2
    • /
    • pp.40-51
    • /
    • 1988
  •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개념의 도입은 기존의 회선교환망이나 패킷교환망과 같은 단일망에 대한 전통적인 트래픽 엔지니어링에 많은 문제점들을 제시하여 주고 있다. 즉, 가입자간 정보전송 속도 및 트래픽 특성의 다양화, 신호와 정보의 분리, 교환접속방식의 다양화 등 복잡하며 다양한 특성을 가진 ISDN 교환기의 트래픽 해석은 전통적인 큐잉이론 및 트래픽 이론을 직접 적용하는데 많은 제한 사항이 따른다. 그러므로 ISDN 교환기의 트래픽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론정립과 아울러 새로운 ISDN 트래픽 변수들을 도출하여 특성을 해석해야 할것이다. 이런 목적하에서 본고에서는 ISDN 트래픽 특성 및 성능, ISDN 트래픽이 교환기에 미치는 영향,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의 offered 트래픽 및 ISDN 교환기의 트래픽 엔지니어링 등에 관해 기술하였다.

  • PDF

A Hadoop-based Traffic Analysis System Architecture for Multiple Users (다중 사용자를 위한 Hadoop 기반 트래픽 분석 시스템 구조)

  • Kang, Won-Chul;Lee, Yeon-Hee;Lee,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252-255
    • /
    • 2011
  • 인터넷 트래픽의 증가로 인해서 트래픽을 분석, 관리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인터넷 트래픽의 분석은 크게 패킷 기반의 트래픽 분석과 플로우 기반의 트래픽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증가한 트래픽 양으로 인하여 패킷 기반의 트래픽 분석보다 정확도는 낮지만 빠른 속도를 보장하는 플로우 기반의 트래픽 분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플로우 데이터 분석 서버를 새롭게 구축하거나 기존의 서버를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초기 설치 비용 및 서버 관리 비용이 증가한다. 증가한 비용을 낮추고 트래픽을 분석하는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확장 가능하고 고 가용성을 보장하는 Hadoop 기반의 트래픽 분석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Methodology and Systems for Internet Traffic Measurement (인터넷 트래픽 측정 방법 및 시스템)

  • Jeong, J.H.;Lee, S.W.;Kim, Y.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6 no.5 s.71
    • /
    • pp.33-45
    • /
    • 2001
  • 원활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인터넷 트래픽을 측정하는 것이다. 인터넷 트래픽의 측정은 수동적인 측정과 능동적인 측정으로 분류된다. 수동적인 측정은 라우터나 ATM 스위치를 통해 흘러 다니는 트래픽 종류와 트래픽 양을 측정하여 측정네트워크의 트래픽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고, 능동적인 측정은 측정네트워크 종단에 위치한 두 호스트 사이에 측정패킷을 투입하여 측정네트워크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고는 현재 알려진 인터넷 트래픽 측정 방법과 현재 구현된 측정 시스템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