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영기

Search Result 18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History of Planetarium in Korea

  • Park, Sooncha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71.3-71.3
    • /
    • 2017
  • Zeiss사에 의해 고안되어 제작된 최초의 근대식 천체투영기(Planetarium)는 1923년 독일박물관에 설치되었다. 세계 최초의 천체투영관은 큰 이목을 끌었고, 이 소식은 전세계로 전해져 유럽의 퍼지기 시작했고 1930년대에는 미국의 갑부들이 자기 도시에 천체투영관을 설립하였다. 우리나라는 재일동포 사업가 이현수에게 일본 GOTO사의 천체투영기를 기증받아 1967년 4월 29일 광화문 전화국 옥상에 최초의 천체투영관이 개관하였다. 이 투영기는 1970년 남산어린이회관으로 이전되었다가, 1975년 광진구에 있는 어린이회관으로 옮긴 후 2005년 퇴역하였다. 2017년은 천체투영관이 도입된 지 50주년이 해로, 2017년 10월 현재 우리나라에 88곳의 천체투영관이 운영중이며 연 200만명이 방문하는 중요한 천문교육시설이 되었다.

  • PDF

Stylized Specular Reflection Using Projective Textures Based on Principal Curvature Analysis (주곡률 해석 기반의 투영 텍스처를 이용한 스타일 반사 효과)

  • Lee, Hwan-Jik;Choi, Jung-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71-877
    • /
    • 2006
  • 물체의 반사(specular reflection)는 물체의 재질 및 기하학적 모양을 표현하는데 있어 매우중요한 요소이다. 사진품질의 사실적 렌더링에서는 기존의 국소 반사 모델을 사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사용자의 주관이 중시되는 비사실적 렌더링(non-photorealistic rendering)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반사 효과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텍스처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원하는 반사 효과를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며, 이를 모델에 투영하면 원하는 반사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텍스처가 투영될 위치와 크기, 방향을 직접 키프레임으로 정해 줄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반사 효과를 사용자가 직접 정해준다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며, 실시간 응용분야에는 적용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국소반사모델(local reflection model)과 주곡률(principal curvature) 해석을 통해 반사효과의 위치, 방향,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텍스처 투영기의 새로운 설정 방법을 제시한다. 광원과 시점 정보를 사용하여 투영기의 위치를 정하고 물체의 주방향(principal direction)과 곡률반지름(radius of curvature)을 이용하여 투영기의 방향과 투영 피라미드의 크기를 정한다 텍스처 투영기의 단순한 이동, 회전을 통하여 반사 영역의 이동, 회전 및 확대/축소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은 DirectX 9.0c와 프로그래이 가능한 셰이더 2.0을 사용하여 GeForce FX 7800 그래픽 카드에 구현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게임과 같은 실시간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으며, 실험 결과에 의하면 수천 개의 다면체 모델에 대한 렌더링을 실시간에 수행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Inspection Projector with Remote-control Function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고해상력 투영검사기 개발)

  • Lee, Si-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199-20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광케이블과 소형렌즈를 검사하기 위한 고해상력 투영검사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고해상력 투영검사기는 30V/7A 전원장치에서 할로겐램프를 연결하여 원격장치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한다. 개발된 고해상력투영검사기는 관련기술을 확보하였고 수입대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PDF

Stylized Specular Reflections Using Projective Textures based on Principal Curvature Analysis (주곡률 해석 기반의 투영 텍스처를 이용한 스타일 반사 효과)

  • Lee, Hwan-Jik;Choi, Jung-Ju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 no.1
    • /
    • pp.37-44
    • /
    • 2006
  • Specular reflections provide the visual feedback that describes the material type of an object, its local shape, and lighting environment. In photorealistic rendering,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 available to render specular reflections effectively based on a local reflection model. In traditional cel animations and cartoons, specular reflections plays important role in representing artistic intentions for an object and its related environment reflections, so the shapes of highlights are quite stylistic.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to render and control stylized specular reflections using projective textures based on principal curvature analysis. Specifying a texture as a pattern of a highlight and projecting the texture on the specular region of a given 3D model, we can obtain a stylized representation of specular reflections. For a given polygonal model, a view point, and a light source, we first find the maximum specular intensity point, and then locate the texture projector along the line parallel to the normal vector and passing through the point. The orientation of the projector is determined by the principal directions at the point. Finally, the size of the projection frustum is determined by the principal curvatures corresponding to the principal directions. The proposed method can control the position, orientation, and size of the specular reflection efficiently by translating the projector along the principal directions, rotating the projector about the normal vector, and scaling the principal curvatures, respectively. The method is be applicable to real-time applications such as cartoon style 3D games. We implement the method by Microsoft DirectX 9.0c SDK and programmable vertex/pixel shaders on Nvidia GeForce FX 7800 graphics subsystems. According to our experimental results, we can render and control the stylized specular reflections for a 3D model of several ten thousands of triangles in real-time.

  • PDF

An Iterative Correction algorithm of Incomplete Projections (ICAIP) (불완전 투영군의 반복 수정 알고리즘)

  • 최종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21 no.2
    • /
    • pp.1-7
    • /
    • 1984
  • An algorithm, which can obtain a reconstructed image from incomplete projections in computed tomography, is proposed. The algorithm is accomplished with a simple operations of iterative correction in reconstruction - reprojection process using the measured incomplete projections the object's crossection boundary, and so on, To demonstrate effectiveness of the algotithm the results of a computer simulation is presented.

  • PDF

The Role of Planetariums in Astronomy Education (천문학 교육에서 천체투영관의 역할)

  • Kim, Wansoo;Shim, Hyun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1
    • /
    • pp.48.2-48.2
    • /
    • 2017
  • 올해는 1967년 광화문 우체국에 설치된 천체투영관을 시작으로 국내에 천체투영관이 도입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이다. 지방자치제의 시행과 더불어 디지털 투영기가 보급되면서 국내 천문시설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고, 현재 국내에는 약 80곳의 천체투영관이 있으며 연간 약 250만명이 방문하는 인기 있는 천문시설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의 천체투영관은 영상물 상영 위주의 운영이 주를 이루고 있고 교육 시설로의 활용은 부족한 편이다. 반면 해외에서는 1960년대부터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천체투영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천문학적 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천체투영관을 활용한 다양한 방식의 연구방법과 사례를 살펴보고 현재 국립대구과학관에서 개발하여 운영 중인 프로그램과 활용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Representation of Translucent Objects using Multiple Projection Images for Real-time Rendering (시점을 달리한 여러 장의 투영 영상을 이용한 반투명 재질의 실시간 렌더링)

  • Lee, Jae-Young;Kim, Kang-Yeon;Yoo, Jae-Doug;Lee, Kwan-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78-883
    • /
    • 2006
  • 반투명 물체(Translucent Object)는 불투명한 물체와는 달리 물체 내부에서 산란이 일어난다. 반투명 물체의 한 표면(Surface)을 렌더링하기 위해서는 그 표면의 정규 벡터뿐만 아니라 그 표면의 주변 기하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래픽 하드웨어 구조는 반투명 물체의 실시간 렌더링의 구현에 많은 제약을 준다. 3D 기하 정보 대신에 라디언스 맵(Radiance map)과 깊이 맵(Depth map)과 같은 투영 영상(Projected Image)을 기반으로 하는 영상 공간 접근 방법(Image Space Approach)을 사용함으로써 GPU 상에서 반투명 재질을 실시간으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공간 접근 방법(Image Space Approach)의 연장선에서 시점을 달리한 여러 장의 투영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한 장의 투영 영상만을 이용한 방법이 가지고 있는 가시성 한계점을 해결한다. 또한 복수 투영 영상의 이용에 따른 계산량 증가에 의해서 손실된 프레임 속도(Frame Rate)에 대해 분석한다.

  • PDF

돔영상물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매뉴얼 개발

  • Baek, Chang-Hyeon;Park, Sun-Chang;Lee, Gang-Hw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53.2-53.2
    • /
    • 2012
  • 디지털 천체투영기의 보급은 천체투영관의 운영과 교육적 활용 방법에 변화를 가져왔다. 돔영상물 상영이 가능한 디지털 천체투영기를 도입한 천체투영관들의 교육적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상물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1)AMNH(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에서 사용되고 있는 돔영상물의 교육자 매뉴얼들을 사례조사 하였고, 2)사례조사 결과와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돔영상물 Planets(Astronef Production제작, 2010)의 교육자 매뉴얼을 개발 하였다. 개발된 Planets 교육자 매뉴얼의 활용은 개관 예정인 국립대구과학관과 국립광주과학관 천체투영관의 운영 활성화와 교육활동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에서 수행중인 천문학 프로젝트(KVN, GMT, KMTNet, SKA 등)들의 교육자 매뉴얼 제작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Text Classification based on a Feature Projection Technique with Robustness from Noisy Data (오류 데이타에 강한 자질 투영법 기반의 문서 범주화 기법)

  • 고영중;서정연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4
    • /
    • pp.498-504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 new text classifier based on a feature projection technique. In feature projections, training documents are represented as the projections on each feature. A classification process is based on individual feature projections. The final classification is determined by the sum from the individual classification of each feature. In our experiments, the proposed classifier showed high performance. Especially, it have fast execution speed and robustness with noisy data in comparison with k-NN and SVM, which are among the state-of-art text classifiers. Since the algorithm of the proposed classifier is very simple, its implementation and training process can be done very simply. Therefore, it can be a useful classifier in text classification tasks which need fast execution speed, robustness, and high performance.

Real-time Geometric Correction System for Digital Image Projection onto Deformable Surface (변형 가능한 곡면에서의 디지털 영상 투영을 위한 실시간 기하 보정 시스템)

  • Lee, Young-Bo;Han, Sang-Hun;Kim, Jung-Hoon;Lee, Dong-Hoon;Yun, Tae-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39-44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 real-time geometric correction system based on a projector to project digital images onto deformable surface. Markers use to trace lots of corresponding points would spoil the projected image when the projector projects a digital image onto the surface because they leave marks on the surfac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build a real-time geometric correction system since bottlenecks occur through the process of the geometric correction for projecting images. In this paper, we use invisible infrared markers and a vertex shader of GPU using Cg TookKit of NVIDIA in order to eliminate disadvantage and bottlenecks in the process of markers recogni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ject natural correction images in real-time. As a result, this system overlays an interactive virtual texture onto the real paper by using the geometric transform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velop variation of AR(Augmented Reality) based on digital contents syst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