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과 소음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Sound Attenuation by Chambers in Duct Systems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에 의한 소음기의 감음특성해석)

  • 최석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23-27
    • /
    • 1991
  • 각종 홀 (음악홀, 극장, 사무실건물)의 공조 덕트계에는 미로형소음챔버가 설 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소음장치를 건물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건물 설계단계에서부터 소음챔버로 인한 감음양(투과손실 : Transmission Loss)의 예측계산이 중요하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소음장치는 그 형상이나 내표면의 흡음조건이 아주 복잡하기 때문에, 현단계에서는 간단한 이론만으로 투과손 실예측이 거의 불가능하다. 지금까지 이 문제에 대해서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 FEM)을 이용해 검토한 예가 종종 소개되었으나, 대부분 소음챔버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임의의 점에 대한 음압비를 투과손실로서 구 하고 있다. 그러나, 소음기자체의 실질적인 투과손실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소음기의 입력 파워에 대한 출력파워의 비로서 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에 의한 복소음향인텐시티(Complex sound intensity)의 수치계산법을 각종소음기 (팽창형, 미로형)의 투과손실해석에 적 용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면에서 고찰했으며, 프로그램도 개발하여 모델해석 에 적용하였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수치해석법의 타당성의 검증을 위하여, 측정에 의한 투과손실예측방법으로서 크로스스펙트럼(Cross Spectrum)법에 의한 음향인텐시티계측법의 이용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고찰했으며, 그 이론 을 기초로 한 축척 모형실험을 병행하였다.

  • PDF

A Study on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Loss of Water-Borne Noise Silencer in a Sea-Connected Piping System (해수연결 배관계 소음감소기의 투과손실 측정에 관한 연구)

  • Park, Kyung-H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6
    • /
    • pp.286-292
    • /
    • 2007
  • The dominant source of noise in a sea-connected piping system is usually due to a seawater cooling pump which circulates seawater to operate onboard equipments normally, and so its water-borne noise with some tonal frequencies should be reduced using proper silencers. In order to obtain the transmission loss of water-borne noise silencers experimentally the present paper suggests a transfer function technique that acoustic wave in the piping system is decomposed into its incident and transmitted components when the reflection at the termination of the system exists. Good agreement in the interested frequency range with theory and the proposed technique shows the validity of the techniqu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axisymmetric mufflers by BEM (BEM을 이용한 축대칭 소음기의 성능해석)

  • 임정빈;정갑철;권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306-31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축대칭 형태의 음향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경계요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소음기의 투과손실(transmission loss)의 계산에 적용하였다. 우선 단순팽창관 소음기에 대해서는 경계요소법에 의해 투과손실을 구한 후 평면파이론 및 실험으로 구한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평면파이론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로서 흡음재를 부착한 팽창관 소음기에 대해서는 경계요소법으로 구한 투과손실을 실험결과와 비교 고찰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interior noise transmission of aerodynamic and aeroacoustic noise sources around a simplified vehicle model (차량 전방부 유동 기인 실내 투과음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Cho, Munhwan;Kim, Hyoung Gun;Oh, Chisung;Yee, Kaangd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570-571
    • /
    • 2014
  •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운전자가 인지하게 되는 공력소음은 대부분 차량 전방부의 A 필라 부근에서 발생하는 소음원에 의해 전달된다. A 필라 부근에는 다양한 모양의 돌출물들이 부착되어 있어서 차량 주변의 고속의 유동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다양한 공력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 전방부의 대표적인 소음 인자인 A 필라 형상에 의한 와류 및 아웃사이드 미러에 의한 유동 구조 변화에 의한 실내 투과 소음에 대해 실험 및 소음원 분석을 수행하였다. 차량 내외부의 복잡한 구조와 재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실차 형상 및 실내 조건을 간략화 시킨 차량 단순 모델을 이용해서 A 필라 주변부의 형상에 의한 주요 주요 공력 소음 인자에 대해 기여도를 분석했으며, 실험 결과는 다양한 CAE S/W 의 실내음 예측 결과의 정밀도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PDF

교통소음 저감을 위한 방음벽상단 소음저감장치

  • 김영찬;장강석
    • Journal of KSNVE
    • /
    • v.12 no.6
    • /
    • pp.414-422
    • /
    • 2002
  • 도로와 인접지역 사이에 장애물이 없으면, 소리는 소음원에서 수음영역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소음원과 수음영역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소음원에서 발생한 소음은 장애물의 상단을 회절하여 수음영역으로 도달하는 회절경로와 장애물 자체를 통과하여 전달되는 투과경로, 장애물에 의한 반사경로 등 여러 전파 경로로 나뉘어 전달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음벽은 벽 재료의 투과손실을 크게 하므로 회절감쇠 이외의 영향은 거의 없게 설계된다. 따라서 방음벽에 의한 소음 감쇠량은 방음벽의 높이(회절음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는 회절감쇠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중략)

Aerodynamic Noise Analysis Using the Permeable Surface for UH-1H Rotor Blade in Hovering Flight Condition (UH-1H 로터 블레이드의 제자리 비행 시 투과면을 이용한 원방 소음 해석)

  • Kim, Ki Ro;Park, Min Jun;Park, Soo Hyung;Lee, Duck Joo;Park, Nam Eun;Im, Dong 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6 no.5
    • /
    • pp.376-384
    • /
    • 2018
  • The aerodynamic far-field noise was computed by an acoustic analogy code using the permeable surface for the UH-1H rotor blade in hover. The permeable surface surrounding the blade was constructed to include the thickness noise, the loading noise, and the flow noise generated from the shock waves and the tip vortices. The computation was performed with compressible three-dimensional Euler's equations and Navier-Stokes equations. The high speed impulsive noise was predicted and validated according to the permeable surface locations. It is confirmed that the noise source caused by shock waves generated on the blade surface is a dominant factor in the far-field noise prediction.

Measurement of Acoustic transfer function by one microphone (한개의 마이크로폰에 의한 음향 전달함수 측정)

  • 정갑철;임정빈;권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201-205
    • /
    • 1994
  • 본 실험에서는 한개의 마이크로폰만을 이용하여 소음기내에 삽입된 재료의 흡음율을 임피던스관에서 전달함수기법으로 측정하고 측정값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재파법으로 측정한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이 측정법을 단순팽창형 소음기에 적용하여 소음기의 투과손실을 측정한 후, 이론과 비교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검토하였고 소음기내에서의 흡음재의 위치에 따른 투과손실의 변화에 대해서도 이론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Narrowband Nois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In-Duct Acoustic Screens (덕트 내 음향 스크린의 협대역 소음 저감 특성)

  • 임민홍;김양한
    • Journal of KSNVE
    • /
    • v.8 no.4
    • /
    • pp.733-740
    • /
    • 1998
  • 본 논문은 덕트 내에 설치된 음향 스크린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형상의 음향 스크린의 투과 손실 측정을 통하여, 음향 스크린에 의해 생긴 두 개의 비대칭 경로가 특정 주파수에서 큰 협대역 소음 저감을 발생시킴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과 수치적 모의 실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현상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해석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 PDF

Environmental Noise Assessment of Indoor and Outdoor Units of Air-conditioner (에어컨 실내기의 방사소음과 실외기의 투과소음에 의한 환경소음 예측)

  • 장서일;최진권;손진희;모진용;구형모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3 no.1
    • /
    • pp.40-47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ound paths and transmitted sound level in house. An air-conditioner system was selected a typical sound source. The measured transmission loss data shows that the apertures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nsmitted noise and comparable with the existing theoretical data. Therefore the complex aperture was substitute to quantitative apertures approximately. An effective simulation method, ray tracing and mirror image source method, was employed in the prediction of transmitted sound level. The measured results were efficiently reflected on the simulated results. So it is important that measuring the acoustic parameter prior to the prediction of the transmitted sound level in the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