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투과광

Search Result 1,175,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esign of electrodes in the Patterned Vertical Aligned Liquid Crystal Cell for high optical performance (수직배향액정셀에서의 광학특성향상을 위한 전극설계)

  • Lee, Wa-Ryong;Kim, Kyung-Mi;Lee, Gi-D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2
    • /
    • pp.344-348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lectrode of the Patterned Vertical Aligned (PVA) cell [1] for high transmittance. We use the 'TechWiz LCD' for calculation of the director configuration and optical characteristics to ensure the results of the proposed electrode structure. In general, the transmittance of the PVA cell depends on the shape of the electrode and cell gap. In this work the width of gate line and data line of the improved electrode design is set to be equal to that of the PVA conventional. Instead, we modified the shape of the top and bottom electrode on order to decrease the area of the defect. For verification, we compared the calculated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PVA cell with the proposed electrode structure to the conventional PVA cell . As a result, we can confirm that the optical loss due to the variation of the retardation the LC cell around electrode can be definitely decreased by the proposed electrode.

The Spectrum of Feeding Sound and the Response of Seabass , Filefish and Swellfish (한국 남해에서의 해수의 광학적 성질 - 농어 . 쥐치 . 검복 -)

  • 양용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18 no.2
    • /
    • pp.61-67
    • /
    • 1982
  • Optical properties of sea water were studied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based on ten oceanographic stations in July, 1980. Submarine daylight intensity was measured at intervals of 5m depth in the upper 70m layer by using the underwater irradiameter (Kahlsico # 268 WA 360). The mean absorption coefficients of the sea water were shown as 0.102 (0.066~0.137), 0.119 (0.069~0.154), 0.091 (0.054~.0123), and 0.095 (0.056~0.129) for clear, red, green, and blue color respectively. The transparency ranged from 13 to 25 meters (mean 17.1 m). The mean water color in this area was 3.9 (3-5) in Forel scales. The relation between absorption coefficient (k) and transparency (D) was k=1.17/D, k=2.01/D, k=1.52/D, and k=1.60/D for clear, red, green, and blue color respectively. The rates of light penetration for clear, red, green, and blue color in four different depths were computed with reference to the surface light intensity respectively. The mean rates of light penetration in proportion to depths were as follows; clear : 57.3%(5m), 20.82%(15m), 5.16%(30m), 0.94%(50m). red : 52.2%(5m), 15.99%(15m), 2.99%(30m), 0.39%(50m). green : 60.9%(5m), 24.51%(15m), 7.11%(30m), 1.56%(50m). blue : 59.4%(5m), 22.92%(15m), 6.09%(30m), 1.29%(50m).

  • PDF

Mesh/grid 기반 투명 전극의 구조 최적화

  • Yun, Min-Ju;Kim, Gyeong-Heon;Park, Sang-Yeong;Kim, Hui-Dong;An, Ho-Myeong;Kim, T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411-412
    • /
    • 2013
  • 최근 UV LED는 생화학 및 의료 산업에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360nm 이하의 파장대를 갖는 UV LED는 치료 기술, 센서, 물이나 공기 등의 정화와 같은 목적으로 특별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1]. 이러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현재까지 UV LED는 거대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360 nm 이하의 UV LED는 여전히 오믹 접촉과 전류 분산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UV LED의 외부 양자 효율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극도로 낮은 광 추출 효율을 초래한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을 금속 전극과 p-AlGaN 사이에 삽입해주는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TCO 물질은 ITO 이다 [2]. 하지만 ITO 물질은 상대적으로 작은 밴드갭(3.3~4.3 eV)과 단파장 빛이 가지는 큰 에너지로 인하여 deep-UV 영역에서는 빛이 투과하지 못하고 대부분 흡수된다 [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박막형 ITO 투명 전극에 비해 투과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mesh, grid 기반의 투명전극을 연구하였다. Fig. 1과 같이 $5{\mu}m$, $10{\mu}m$, $20{\mu}m$ 간격으로 이루어진 mesh, grid 구조의 투명전극을 구현하여 투과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 최적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mesh, grid 구조의 ITO 전극 패턴을 photolitho 공정으로 형성하였으며, e-beam 증착법으로 60 nm 두께의 ITO 전극을 형성 후 질소 분위기/$650^{\circ}$에서 30초 동안 RTA 공정을 진행하였다. Fig. 1에서 볼 수 있듯이 mesh, grid의 간격이 증가할수록 투명 전극이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하여 투과도는 향상되는 반면, 투명 전극과 p-GaN과의 접촉 면적 또한 감소하므로 오믹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투과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mesh는 $20{\mu}m$, grid는 $10{\mu}m$ 간격의 구조로 각각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박막 기반의 ITO 투명전극 대비 최대 약 10% 향상된 투과도를 확보하였으며, I-V Curve 결과를 통하여 p-GaN 기판과 mesh 구조의 ITO 전극 사이에 박막 기반의 투명 전극과 비슷한 수준인 $0.35{\mu}A(@5V)$의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였다. 결과적으로 mesh, grid 기반 투명전극의 구조 최적화를 통하여 p-GaN과 원활한 오믹 접촉을 형성하는 동시에 기존 박막형 ITO 투명 전극 구조보다 높은 투과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Selective Transmission Properties of Al-Ti Based Oxide Thin Films (Al-Ti계 산화물 박막의 조성에 따른 선택적 투과 특성)

  • Bang, Ki Su;Jeong, So Un;Lim, Jung Wook;Lee, Seung-Yun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2 no.1
    • /
    • pp.13-19
    • /
    • 2013
  • It is expected that progress in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BIPV) systems,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design of buildings, will be accelerated in the coming years. While the dye sensitized solar cell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ologies in the BIPV field, the transparent silicon based thin film solar cell fabricated by thin film processes has drawn attention as a novel alternative. When the selective transmitting layer is applied to the solar cell, the conversion efficiency is improved due to the re-reflection of infrared light into an absorber layer with the transmission of visible light through the solar cell. In this work, we prepared Al-Ti based oxide thin films using cost-effective sputter deposition and examined their selective transmitting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compositions. The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of the Al-Ti based oxide thin film changed with the variation of its composition, and the selective transmitting property was observed in the sample with the 25 nm-thick AlTiO layer.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lization of transparent solar cells and the improvement of their conversion efficiency can be achieved by introducing the Al-Ti based selective transmitting layer.

산화아연-다층 그래핀 양자점을 이용한 전기화학셀

  • Sim, Jae-Ho;Lee, Gyu-Seung;Go, Yo-Han;Yang, Hui-Yeon;Son, Do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21-321
    • /
    • 2016
  • 한경오염의 증가에 따라 광촉매 물질을 이용한 환경 정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 광촉매와 전기화학셀은 빛을 이용하여 다른 에너지를 생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전기화학셀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밴드갭을 이용한 광흡수의 증가, 전자재결합의 감소, 전기화학적 반응 표면의 증가가 필요하다. 산화 아연은 잘 알려진 n형 산화물 반도체로서 좋은 전기적 특성과 광촉매 성능으로 전기화학셀에 적합한 소재이다. 그러나 산화 아연은 액체 전해물질 상에서 안정성이 좋지 못하다 [2].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층 그래핀 혹은 풀러렌(C60)을 이용하여 산화아연을 코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풀러렌을 사용 시 단층 그래핀에 비하여 전기화학셀의 전기화학적 반응은 높았으나 안정성은 더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3]. 본 연구에서는 다층 그래핀을 이용하여 전기화학적 반응도 높고 안정성도 높은 산화아연-다층 그래핀 양자점의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셀 소자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X선 회절법, 라만 분광법, 투과 전자 현미경, 광발광 분광기, 시간-분해성 광발광 분광기를 이용하여 산화아연-다층 그래핀 양자점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광양극을 제작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관측하였으며 로다민 B 염료를 이용한 분해 테스트를 통하여 광촉매 성능을 확인하였고 사이클 테스트를 통하여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 PDF

The Preparation of Nanocomposition Titania sol for Visible light activation (가시광 반응성을 위한 $TiO_2$계 복합 sol 합성)

  • Lee, Gang;Hwang, Du-Seon;Kwon, Sun-Hyeong;Kim, Seon-Jae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07-207
    • /
    • 2003
  • 최근 광촉매 재료로 각광받고 있는 TiO$_2$는 band gap 에너지가 3.0-3.2eV로 자외선 영역과 일부 가시광선 영역에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용액 중에 결정화 및 안정화 되어있는 TiO$_2$의 band gap 에너지를 낮춘다면 가시광 영역의 광반응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G. Sato등이 제안한 방법으로 TiO$_2$ sol을 제조할 때 band gap 에너지를 낮추고자 천이 금속원소를 첨가하여 복합 및 담지된 TiO$_2$계 복합 sol을 합성하고자 하였다 출발원료는 TiC1$_4$를 가수분해하여 제조한 TiOCl$_2$에 천이금속원소인 V, Cr, Fe, Ni, Nb 등의 chloride 화합물을 첨가하여 중화 및 세척과정을 거친 후, 과산화수소수에 용해하여 전구체 용액인 titania peroxo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구체 용액은 온도와 시간을 변수로 각각 열처리하여 TiO$_2$계 복합 sol을 합성하였다. 제조된 시편은 X-선 회절 분석, 투과전자현미경, particle size analyzer, ζ-potential analyzer 및 UV-VIS Spectrometer 통을 이용하여 천이금속 첨가에 따른 TiO$_2$계 복합 sol의 형성과정과 특성변화를 관찰하였다.

  • PDF

Surfac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puttering-deposited CdS Thin Films with a Change of Annealing Temperature (스퍼터링 방법으로 증착한 CdS박막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표면 및 구조 특성)

  • Ryu, Seung-Han;Lim, Chae-Hyun;Park, Ju-Sun;Kim, Nam-Hoon;Yang, Jang-Tae;Lee, Woo-S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266_1267
    • /
    • 2009
  • 신재생 에너지 태양광을 활용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에 있어서 기존의 고가의 실리콘 기판 대신 저가의 박막형 태양전지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박막형 태양전지에 있어서 태양광의 투과층으로 사용되는 CdS 박막의 열처리에 따른 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은 CdS박막을 Sputtering법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하였고 이 박막을 $200^{\circ}C$, $300^{\circ}C$, $400^{\circ}C$, $500^{\circ}C$, $600^{\circ}C$까지 열처리 하였다. 열처리 전과 후 Ellipsometer를 이용한 박막의 두께 변화, 표면의 RMS Roughness와 Peak to Valley Roughness의 변화 그리고 결정 구조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박막의 두께는 열처리 전보다 처리 후 두께가 얇아졌으나 거칠기나 결정성은 열처리 온도에 따라 거칠어지고 결정성이 떨어졌다.

  • PDF

Diffraction grating interferometer of large equivalent wavelength for flatness testing of rough surfaces (거친 표면 형상측정을 위한 큰 등가파장 회절격자 간섭계)

  • 황태준;김승우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5 no.1
    • /
    • pp.56-62
    • /
    • 2004
  • We present a diffraction grating interferometer of large equivalent wavelength specially designed for flatness testing of rough surfaces. Two transmission diffraction gratings are illuminated on the object under test by use of two measurement beams with different angles of incidence, which yields a large equivalent wavelength. This interferometer design minimizes unnecessary diffraction rays and the systematic error caused by the diffraction gratings, and provides a large working distance and easy alignment. To improve the measurement accuracy, phase shifting technique is applied and the equivalent wavelength error caused by defocus is calibrated. Test results obtained from mirror surfaces and machined rough surfaces are discussed.

전극에 금속 물질변화에 따른 ZnO 박막트랜지스터의 전기적인 특성 변화

  • Lee, Dong-Hyeon;Park, Jin-Gwon;Lee, Se-Won;Jang, Hyeon-Jun;Hwang, Yeong-Hyeon;Jo, W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205-205
    • /
    • 2010
  • 기존의 박막트랜지스터에 비하여 대면적의 박막 형성이 용이하고 높은 이동도의 특성을 가지는 ZnO는 상온에서 높은 밴드갭 에너지(3.4eV)와 엑시톤 결합에너지(60meV)로 인해 가시광영역을 투과시킬 뿐만 아니라 가시광으로 인해 유도되는 광 캐리어가 생성되어 열화되는 현상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물질에 비해 높은 이동도($1{\sim}100\;cm2/V{\cdot}s$)로 인해 기존의 실리콘 기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최근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ZnO는 접합된 소스와 드레인 전극의 Work function 및 resistivity의 차이에 따라 전기적 특성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전극에 이용되는 금속에 변화를 주어 이에 따른 전기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P-type 실리콘 위에 습식 방법으로 SiO2를 300nm성장 시켰고, ZnO 박막을 Sputtering 방식으로 증착하여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소자의 소스와 드레인 전극으로 사용되는 금속은 E-beam evaporator과 RF Magnetron Sputter를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또한 금속의 Work function을 확인하기 위해 Capacitor를 제작하여 이에 대한 Capacitance-Voltage 특성과 함께, 박막트랜지스터의 Current-Voltage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이와 같이 소스와 드레인 전극의 최적화된 Material을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이 향상된 박막트랜지스터 소자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Determining the Refractive Index and Three-Dimensional Shape of an Optical Component using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 with Liquid (액체와 DHM을 이용한 소형 광학부품의 굴절률 및 형상측정)

  • Shin, Sanghoon;Yu, Younghu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5 no.3
    • /
    • pp.137-141
    • /
    • 2014
  • In this study a method is proposed for measuring both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shape of a transparent object. The proposed method combines a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e with a liquid. The holograms of a sample immersed in different liquids are recorded and then the three-dimensional phase information of the sample is reconstructed numerically. In particular, we have proposed a theoretical model for determining both the refractive index and shape of a sample, and micro-corner cubes are examined experiment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