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물 환경

Search Result 1,44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광양만의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 발달

  • 최동림;이태희;현상민;최진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1-45
    • /
    • 2002
  • 광양만의 지형변화 및 퇴적환경발달양상에 대해 표층퇴적물과 지층탐사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광양만 해역은 1970년대이후 광양만 개발에 따라 해안선 및 해저지형이 급격한 변화를 겪어왔다. 광양만의 면적은 개발이전보다 25%정도 감소하였다. 해안선 변형은 공단건설을 위한 해안매립공사로 인해 그리고 해저지형변화는 대형선박들의 안전항로개발을 위한 해저퇴적물의 준설 등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표층퇴적물는 점토질 퇴적물 묘도서측 및 여수해만의 외해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사질 퇴적물은 섬진강하구와 수로에 분포하고 있다.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은 퇴적물의 특성을 반영하며, 특히 점토질퇴적물에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다. 탄성파 단면도상에서 기반암위에 Unit II와 Unit I가 분포하며, 하부 Unit II는 홀로세 이전의 하천환경 퇴적층으로 판단되며, 홀로세 Unit I 퇴적층은 섬진강하구에서 외해를 향해 전진퇴적양상의 쐐기형태를 보인다. 이 층은 섬진강에서 유출된 퇴적물이 델타환경을 이루면서 형성된 퇴적층서로 해석된다. Unit I 퇴적층내에 천부가스층이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천부가스는 광양만의 생태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광양만 주변의 재발에 따른 해안 및 해저지형의 급격한 변형은 퇴적환경 및 해양환경에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섬진강 하구지역의 광양제철소 건설은 섬진강에서 장양만으로 유입되는 퇴적물의 퇴적작용의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이동 벡터 모델을 이용한 표층 퇴적물의 이동 경로 분석

  • 김혜진;추용식;성효현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19-23
    • /
    • 2003
  • 해안 퇴적 환경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은 퇴적물의 입도 특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퇴적물 특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입자 크기에 대한 값을 이용하여 평균입도(mean size), 분급도(sorting), 왜도(skewness), 첨도(kurtosis) 등의 퇴적물 입도 조직 변수를 구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퇴적 환경에서 입도 분포는 퇴적물의 이동과 퇴적의 동적 상태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정보이다. (중략)

  • PDF

Analysis of Principal Storm Surge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구 표층퇴적물 분석 및 사주 지형변화)

  • Baek, Dong-Jin;Kim, Kang-Min;Lee, Sung-Chul;Lee, Jo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6-37
    • /
    • 2018
  •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환경은 육성기원 퇴적물과 해성기원 퇴적물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낙동강 하굿둑이 건설된 이후의 퇴적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공학회(2003)와 수자원공사(2016)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2003년과 2016년의 표층퇴적물 분석결과, 낙동강 하구는 전반적으로 사질퇴적물이 우세하고 분급도가 양호하고 중앙입경 보다 조립질의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결과와 금회 연구결과로부터 2003년 이후 낙동강 하구 퇴적환경은 평형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낙동강 하굿둑 유출 유사량과 외해측 파랑에 의한 영향이 크게 받고, 창조시의 약화된 유속으로 인하여 니질퇴적물의 이동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니질퇴적물이 우세한 구간은 사주와 갯골 부근의 간사지로, 이로 인한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우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저서환경

  • 현상민;이태희;최진성;우한준;최동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6-50
    • /
    • 2002
  • 광양만의 저서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양만 표층퇴적물에 대한 퇴적학적, 지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입도분석결과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 분포는 사질퇴적물과 점토질 퇴적물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질을 포함하는 퇴적물은 주로 POSCO 우측해역과 남해도 사이의 수로 중앙부분에 분포하고 있으며, 그외 지역에서는 점토질 퇴적물이 주를 이룬다. 유기물(TOC) 함량은 약 0.2-2.1%의 범위로 분포하고 있으며, 유기물의 C/N비에 근거한다면 육지에서 공급된 유기물과 현장에서 생성된 유기물이 혼합되어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저질의 건강상태를 검토하기 위해 퇴적물중의 황화수소(H$_2$S)을 측정한 결과 최고 301 ppm에서 최소 0.7 ppm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묘도안 쪽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일반적으로 오염된 저서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에 조사된 중형 저서생물의 개체수(species abundance)에 대한 공간분포면화를 조사해본 결과 묘도안쪽에서 낮은 개체수(species abundance)와 종수(species richness)를 보이고 있어 황화수소가 높게 나타나는 지역과 대략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보인다. 추후 저서생물의 다양도나, 저서오염지수(Benthic Pollution Index. BPI)등과 퇴적물증의 유기물이나 황화수소값이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자세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 PDF

낙동강 퇴적물내 중금속의 존재형태별 분포에 관한 연구

  • 김은호;김형석;성낙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19-220
    • /
    • 2000
  • 낙동강 유역 퇴적물내 중금속의 존재형태를 Tessier 등의 연속추출법으로 조사해본 결과 퇴적물내 함유된 중금속의 존재형태는 혐기성 환경, pH 및 유기물의 분해 등수환경의 변화에 따라 상이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호소 퇴적물의 입자별 분리 및 오염특성 파악

  • 이홍수;최이송;오종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409-412
    • /
    • 2003
  • 본 연구는 호소내 오염된 퇴적물 처리를 위한 전처리 장치로 Hydrocyclone의 이용가능 성을 평가하는 실험이다. 외국의 선행 연구자인 Rietema의 표준 규격을 참고하여 제작된 Hydrocyclone을 이용하여 기흥저수지 퇴적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입자에 따른 오염 도 평가에서는 입자가 작을수록 포함된 오염물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을 이용한 장치특성 및 운전조건 변화에 따른 실험에서 공급속도가 빠르고, 공급시료의 농도가 낮으며, 장치의 크기가 작을수록 입자별 분리효율이 높았다.

  • PDF

Change i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of Weir Section in Nakdong River (낙동강 수계 보 구간 표층 퇴적물의 분포 변화)

  • Lee, Kwon Chul;Kim, Hyoung Geun;Lee, Hye Yun;Yang, Deuk Seok;Kim, Sh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3 no.4
    • /
    • pp.355-364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changes in sediments in the eight weir sections of Nakdong River. Sedi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Grain Size, Ignition loss, Total Organic Carbon,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Meta. The upstream of the weir was found that fine-grained sediments have repeated increases and decreases. It was found that coarse-grained sediments were being maintain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weir. The sediments Ignition Loss, Total Organic Carbon,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Grain Size, and these increased at the point where sediments are fine. In the case of metal, the concentration increased across the board, and the correlation with Grain Size, Ignition loss, Total Organic Carbon,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was weak. Although there were some sections where fine-grained sediments, organic materials, nutrients, metals increased in the Nakdong River, the overall pollution level is considered weak.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SOD in Coastal Sewage and Predictive Factor (연안 저질 SOD의 특성과 유발 영향인자에 대한 상관관계)

  • Kim, Beom-Geun;Khirul, Md Akhte;Kwon, Sung-Hyun;Cho, Dae-Ch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5
    • /
    • pp.596-604
    • /
    • 2019
  • This study conducted a sediment culture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diment oxygen demand (SOD)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sediment and water quality. We installed a leaching tank in the laboratory, cultured it for 20 day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 and Fe in the sediment. As a result, the dissolved oxygen of the water layer decreased with time, while th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the sediment progressed in the negative direction to form an anaerobic reducing environment. The SOD was measured to be 0.05 mg/g at the initial stage of cultivation and increased to 0.09 mg/g on the 20th day, indicating the tendency of increasing consumption of oxygen by the sediment. The change is likely to have caused by oxygen consumption from biological-SOD, which is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accumulated on the sediment surface due to the increase of chl-a, and chemical-SOD consumed when the metal-reducing product produced by the reduction reaction is reoxidized. The correlation between SOD and causality for sediment-extracted sediments was positive for Ex-P and Org-P and negative for Fe-P. The analysis of the microbial community in the sediment on the 20th day showed that anaerobic iron-reducing bacteria (FeRB) were the dominant species. Therefore, when the phosphate bonded to the iron oxide is separated by the reduction reaction, the phosphate is eluted into the water to increase the primary productivity. The reduced substance is reoxidized and contributes to the oxygen consumption of the sed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as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improve oxygen resin.

Mixed Carbonate-Detrital Sediments on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 (한반도 동해 남부 대륙붕에 분포하는 탄산질-쇄설성분 혼합 퇴적물에 대한 연구)

  • Choi, Jin-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18 no.6
    • /
    • pp.493-499
    • /
    • 1997
  • Grain size analysis have been made for the carbonate-detrital mixed sediment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The detrital components are well-sorted with mean grain size between 2-3 phi. The detrital components are thought to be deposited in the beach environment during the glacial times when the sea level was low, representing typical 'relict' sediments. Most of the carbonate components consist of shell fragments, and are deeply weathered. They are also interpreted as the relict components that were deposited in the shallow marine environment. The carbonate fraction are coarser-grained and poorly sorted compared to the detrital component. The carbonate components are thought to have experienced the continuous environmental control of fragmentation and selective size sorting after the depos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