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퇴적물,

검색결과 2,518건 처리시간 0.029초

Characteristics of a Turbidite Sediment from the Southern Margin of the Okinawa Trough, Japan (오끼나와해곡 남쪽해역의 저탁류 퇴적물의 특성)

  • 현상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69-76
    • /
    • 1995
  • A turbidite core sediment (RN88-PC5) from 2051 m on the deep-sea floor at the southern margin of Okinawa Trough was examined.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quite different between sandy sediments and hemipelagic sediments and hemipelagic sediments in terms of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grain-size and chemical composition. All turbidite sandy sediments were clearly transported from shallow area as they include typical coral reef dwelling benthic foraminifera which were not found in the background hemipelagic sediments. These layers also suggest that the sediments were transported by turbidity-related currents and implies that sedimentological mechanisms were different between sandy sediments and hemipelagic sediments. The result of the /SUP 14/ C age dating and the stable oxygen isotopic fluctua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 show a gradual warming trend of the surface water from about 10 Ka to present. Also Termination lb as well as two fresh water input events were recognized at ca2 and 7 ka.

  • PDF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서부해역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과 기원 연구)

  • Youn, Jeung-Su;Kim, Tae-J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제29권4호
    • /
    • pp.328-340
    • /
    • 2008
  • To discriminate the provenance of shelf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f Jeju Island, the textual and element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sediments originating from Changjiang and Huanghe Rivers of China and the Korean (Keum) River. Th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are composed of coarse silt with a mean pain size of $3.6{\sim}8.5{\phi}$ and their $CaCO_3$ contents ranged from 0.92 to 9.75 wt.%. The ratios of TOC over total nitrogen (TN) showed that the study area sediments contained more organic matters of marine origin than those of terrigenous origin. The high concentration of Fe/Al, Ti/Al and Mn/Al figures were found in the southwestern part near the Changjiang esturay, indicating that it seemed to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the Changjiang River. The discrimination diagrams including Sc/Al vs Cr/Th, Th/Sc vs Nb/Co and Ti/Nb vs Th/Sc were thus used as provenance indicators to identify the sediment origins of the western part off Jeju Island. Based on these discriminated diagrams it clearly showed that most of the sediment in the western part were originated from the Huanghe River, but th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part near the Changjiang esturay might come from the Changjiang River. In contrast, the sediment samples of the northeastern part showed the higher figures than those of the river sediments and other regions, suggesting that th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f Jeju Island must be originated from diverse sources.

Physical Properties of Mudbelt Sediments in the Southeastern Inner Shelf of Korea (한국 남동해역 내대륙붕 이토대 퇴적물의 물리적 성질)

  • Kim, Gil-Young;Kim, Dae-Choul;Seo, Young-Kyo;Park, Soo-Chul;Choi, Jin-Hyuk;Kim, Jeong-Chang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4권4호
    • /
    • pp.338-348
    • /
    • 1999
  • Physical properties of mudbelt sediments in the southeastern inner shelf of Korea are studied from 14 cores. Physical properties, compressional wave velocity, and sediment texture for core sediments are analyzed. The major source of sediment in the study area is the Nakdong River. Fine-grained sediments from the river are transported northeastward by coastal circulation and the Tsushima Current, resulting in a gradual northeastward increase in porosity and a decrease in wet bulk density and velocity. The trend matches well with the bathymetry. The mean grain size appears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determin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velocity. The variations of physical properties with burial depth are dependent more strongly on sediment texture than compaction and/or consolidation. Correlations betwee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 sediment texture show slight deviations from those of the continental terrace sediment in the North Pacific and inner shelf sediment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veloc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North Pacific and the South Sea sediments between these areas. This is probably due to differences i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mineral compositions. The higher sediment velocity in the study area may also be attributed to the escape of gas from pore space which decreases void ratio.

  • PDF

순천만 갯벌의 온도, 유기탄소 및 대기 중 CO$_2$ 관계 연구

  • Gang, Dong-Hwan;Kim, Seong-Su;Kim, Tae-Yeong;So, Yun-Hwan;Gwon, Byeong-Hyeok;Yu, Hun-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06-30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전남 순천시 해룡면 농주리) 연안습지에서 온도(퇴적물/대기), 퇴적물 내 유기탄소 및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현장관측은 2008년 3월 16일11시부터 15시 사이에 수행되었으며, 약 300 m X 100 m의 갯벌 지역 내 30개 지점에서 조사되었다. 퇴적물과 대기의 온도와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은 현장에서 측정되었으며, 각 지점에서 채취된 퇴적물 내 유기탄소량은 부경대학교 공실관에서 TOC Analyzer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퇴적물과 대기 중의 온도는 각각 13.2$\sim$17.5$^{\circ}C$ 및 15.0$\sim$18.9$^{\circ}C$의 범위이었으며, 평균은 15.65$^{\circ}C$와 17.51$^{\circ}C$로서 대기 온도가 약 2$^{\circ}C$ 정도 높았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은 퇴적물 직상부, 상부 0.5 m 및 1.0 m의 3개 지점에서 측정되었다. 각 지점별 평균 이산화탄소량은 퇴적물 직상부 352 ppm, 상부 0.5 m 지점 355 ppm, 상부 1.0 m 지점 363 ppm으로서 거의 유사하였으나, 퇴적물에서 상부로 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의 분산은 퇴적물 직상부와 상부 0.5 m 지점에 비해 상부 1.0 m 지점에서 약 3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주변 대기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장에서 채취된 퇴적물 내 유기탄소량은 0.60$\sim$1.12%의 범위이었으며, 평균은 0.72% 이었다. 유기탄소량의 분산은 0.01로서 매우 낮았으며, 또한 1개 지점(1.12%)을 제외하면 유기탄소량의 범위는 0.60$\sim$0.82% 정도로서 연구지역 내 유기탄소량의 공간적인 분포가 비교적 균질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은 온도효과와 주변 대기와의 혼합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고 유기탄소는 이러한 영향성이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for Fundamental Properties of Concrete mixed with Pyroclastic Flow Deposit (화쇄류 퇴적물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기초특성 평가)

  • Choi, Hyeong-Gil;Kim, Gyu-Yong;Noguchi, Takafumi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제28권1호
    • /
    • pp.49-57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pyroclastic flow deposit (PFD), and evaluate the fresh and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mixed with PFD by indoor tests. The fresh properties, strength properties, shrinkage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the concrete mixed with PFD were also evaluated by outdoor plant tests. the harmful alkali-silica reaction did not occur by mixing concrete with PFD. ages. Moreover, no difficulty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oncrete manufacture in the plant because no change in air contents and noticeable slump loss occurred by mixing concrete with PFD. The strength properties, shrinkage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the concrete mixed with PFD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concrete. With a suitable temperature control and curing method of concrete, the concrete mixed with PFD is considered to be useful in the construction material field.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eirs Construction in the Han River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보 설치가 퇴적물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ang, Min Kyoung;Choi, In Young;Park, Ji Hyoung;Choi, Jung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제34권9호
    • /
    • pp.597-603
    • /
    • 2012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ir construction on sediment characteristics of river bed, we conducted sediments sampling on the 9 locations near the weir, Kangchun, Yuju and Ipo in Namhan-River.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were analyzed by measu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ter content, Ignition loss, COD (Chemical Oxyzen Demand), TOC (Total Organic Carbon), TP (Total Phosphorus), SRP (Soluble Reactive Phosphorus) and TN (Total Nitrogen). Particle classification of all three weir sediments showed sandy loam that was caused by the river bed dredging. Due to the presence of weir, Ignition loss, COD, TOC, TP, SRP and TN showed similar trend such as the concentrations of upward weir had higher than those of downward weir. For the case of SRP concentration and C/N ratio, however,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those of sediments before weir construction.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re are little effects of weir construction on sediment characteristics. However, weir construction could influence water quality of the river by controlling the transport and the accumulation of suspended materials from rainfall. Therefore, more intensive monitoring is required to examine the magnitude and patterns of sediment accumulation which could influence overlying water quality.

Delineating the Spacial Variation of Sediment Yield Potential in the Upper Santa Ana River Basin (산타아나강 상류 유역분지에서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 성효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제35권5호
    • /
    • pp.665-68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산타아나 강 상류 유역분지 내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산타아나 강 상류지역을 42개의 하부 유역분지로 나눈 후에 각 유역분지에 퇴적물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지형 기복 요소, 면적-형태 요소, 지질 요소, 기후 요소와 관련하여 20개의 변수를 GIS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이러한 20개의 변수들을 기초로 군집분석하여 42개 하부 유역분지들의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을 평가한 결과 4개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평가 결과 <발톤> 평기자 포함된 제2지역이 산타아나 강 상류 유역분지에서 가장 퇴적작용이 왕성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낮은 기복 및 고도와 미고화된 물질로 피복된 지역이 97%를 차지하고 있다.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 2지역의 상류부에 분포하는 유역분지들(제 4지역)로서 높은 기복과 고도뿐만 아니라 침식 면적이 넒으며, 과거의 빙하작용이 있었던 지역이다. 특히 단층선이 퇴적작용이 크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제2지역)과 잠재적 퇴적물 생산량이 가장 높은 지역(제4지역) 사이에 분포하고 있어, 사면경사의 급변으로 제 2 지역의 퇴적작용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 PDF

Heavy Metal Contents of the Surface Water and Stream Sedi-ments from the Talc Mine Area, Western Part of Chungneam (충남 서부 활석광산 주변의 지표수 및 하상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 송석환;김명희;민일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139-152
    • /
    • 2001
  • 충남 서부 활석광산 주변의 수계에 대한 원소 함량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대흥 및 광천광산에 대해 수질 및 하상 퇴적물 시료와 함께 광산 주변 토양 및 모암 시료를 채취, 비교하였다. 대흥지역 퇴적물은 대부분 원소에서 SP가 GN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퇴적물 내 유색 및 무색광물 함량 차이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 비교에서 광물 결정구조 내 쉽게 Mg와 치환하는 원소는 낮은비율을, Fe와 치환하는 원소는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퇴적물 내 주 구성광물내 원소 치환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의 감소 순서와 타원소들과 높은 상관관계(>0.85)의 빈도를 보이는 원소들 사이의 차이는 퇴적물 화학조성에 이차광물과 비정질 광물등의 조성도 반영되었음을 암시한다. 대흥지역 지표수는 대부분 원소에서 MSP가 SP와 GN의 중간값을, MSG는 LGN과 MSP의 중간값을 조여 수계의 혼합특성을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관계에서는 SP는 GW1과 유사했고, GN은 LGN과 유사했으며, 절대함량은(Mg, Fe), (As, Sc), (Mo, V, Se) 순서로 낮아졌다. 광천지역은 갱내수가 천부 지하수에 비해 대부분 원소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는데, 이는 갱내수가 더욱더 많은 물-암석반응을 거친 때문으로 판단된다. 절대 함량은 Mg, Br, Fe, (Sc, Cr), (An, Ni, V)순서로 감소하였다. 갱냉수의 지역간 원소 함량 차이는 사문암화가 우세한 광천지역과 활석화가 우세한 대흥지역 모암들 사이의물-암석 상화반응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 지역의 상부 토양 및 모암 조성에서 SP가 GN에 비해 높은 Mg 비, Ni, Cr, Co 등 함량을 보였는데, 이는 사문암 지역 내 Mg, Ni, Cr 등이 풍부한 광물들 탓으로 판단된다. 퇴적물과 수질 사이에서는 함량 경향을 뚜렷하지 않았고 원소에 따라 서로 다른 힘량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퇴적물 원소 함량이 수계 조성을 반영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상부-토양-암석-수계의 조성관계에서 대흥지역 지표수 중 SP 조성이, 광천지역은 갱냉수가 지하수의 조성에 가까웠다.

  • PDF

A Study on Heavy met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inflow Suspended Solid of Andong and Imha-Dam (안동댐과 임하댐 퇴적물 및 유입 부유물질의 중금속 특성 연구)

  • Seo, Jeong Min;Kim, Young Hun;Kwon, Hyuk Jin;Kim, Jeong Jin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제32권2호
    • /
    • pp.103-111
    • /
    • 2019
  •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suspended solids flowing into Andong and Imha Dam was analyzed by color, X-ray diffraction and ICP/MS analysis. The minerals of sediments and suspended solid consist mainly of quartz, albite, chlorite, illite and small amounts of montmorillonite and kaolinite. Unlike the Andong Dam, the Imha Dam sediments contain large amounts of calcite. Color of sediments and suspended solids varies from grayish brown to dark orange. The concentrations of major heavy metals of sediments and suspended solids in the Andong and the Imha Dam are higher than the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standard values.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of Andong is higher than that of Imha Dam becaus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uspended solid flowing into Andong is higher than that of Imha Dam.

Copper and manganese in the Anoxic Sediments banweol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서해 경기만 반월 조간대 퇴적물의 망간과 구리의 함량 특성)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8
    • /
    • 1994
  • 한국서해 경기만 남부 반월조간대 퇴적층에서 망간과구리의 함량특성을 밝히기 위 하여 총 3개의 주상시료를 채취하여 퇴적물의 입자와 유기탄소(organic carbon)함량을 일차 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중요 시료에 대하여 망간과 구리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러 한 분석결과는 연구지역의 망간함량이 연근해역 퇴적물의 망간함량에 비해 낮고 구리함량은 상대적으로 높다. 연구지역 내에서도 환원환경인 중부와 하부조간대에서 망간함량이 낮고 구리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같이 반월조간대 퇴적물의 망간 함량이 낮은 이유는 환 원환경에 공급괸 망간 산화물이 수 mm 깊이의 퇴적층에서 용해되고 그결과 생성된 용존 망간이 퇴적층과 해수와의 경계면(interface)으로 이동 제거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리- 유기물 결합체는 퇴적물내에서 분해되고 그결과 생성된 용존구리는 황화물로 재 침전 되기 때문에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같은 결과는 반월 조간대 퇴적층의 초 기속작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