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퇴적과정

Search Result 55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hanges in Sedimentary Proces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Foraminifera in the Eastern Part of Kwangyang Bay, South Sea of Korea (광양만 동부해역의 퇴적과정 변화와 저서성 유공충 군집분포)

  • 김신정;김대철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 no.1
    • /
    • pp.32-45
    • /
    • 1996
  • Analyses of surface sediment textures and recent benthic foraminifera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change of sedimentary 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eastern part of Kwangyang Bay. Echo-sounding images revealed that topographic change of the delta front sheet sand was caused by POSCO (Pohang Steel Company)'s dredging and reclaiming. The sand body prograded toward southeast. Fine sediments are distributed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study area. Identification of benthic foraminifera was conducted for the two selected cores from the sand body for the first time. Dominant species are Ammonia beccarii, Elphidium excavatum and Quinqueloculina lamarckiana. No abrupt change of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was observed from the sedimentary sequences.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ARTIFICIAL ISLANDS (인공섬의 계획, 조사, 설계 및 시공)

  • 송병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10a
    • /
    • pp.87-94
    • /
    • 1992
  • 근래 인공섬은 그 수가 많아지고 또 그 크기도 방대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인공섬의 완성에 앞선 각과정에 대한 제반 문제점들에 대한 지반공학적 분석결과를 포함한다. 최근 인공섬 형성 과정에 사용하는 신공법에 개발되었다. 인공섬의 형성은 단일 공법에 의한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공법의 홍용의한다. 따라서 각 공법에 대한 완벽한 이해는 사업자체의 성공적인 완료와 경제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인공섬은 해성퇴적층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해성퇴적층의 형성과정, 환경, 퇴적 후의 변화 그리고 지반공학적인 자료가 채취되어야하고 분석되어야 한다. 해성퇴적층에 위치할 인공섬 완료에 필요한 조사, 설계 및 시공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과정이 실무자들이 이해하고 사용할수 있는 형식으로 제시되었다. 불완전한 자료, 또 그것에 근거한 설계 및 시공이 줄 수 있는 결과에 관해 기술했다.

  • PDF

Experiments on the channel changes and sedimentation on vegetated patch by flow variations (흐름변화에 의한 식생대에서 퇴적 및 하도변화의 실험적 분석)

  • Jang, Chang-Lea;Hwang, 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06-410
    • /
    • 2016
  • 하도 식생은 흐름 및 유사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며, 하도의 지형변화를 일으킨다. 또한 하천에서 생태계 서식처 형성을 하는데 영향을 주며 하천경관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홍수시에 흐름의 저항을 증가시키고 수위를 상승하여 하천범람을 일으킨다. 따라서 홍수에 안전하고 하천 경관을 유지하면서 하천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하도 식생관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유량의 변화에 따른 식생대에서 퇴적과정과 하도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실내실험은 길이가 10 m이고, 수로 폭이 0.6 m인 가변형 경사수로에서 수행하였다. 식생패치는 폭이 0.28 m, 길이 1.0 m로 2.0m 간격으로 교대로 3개 설치하였다. 식생패치는 지름이 5 mm이고, 길이는 0.25 cm인 아크릴봉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식생 밀도는 $1.76m^{-1}$이었다. 흐름은 식생이 없는 주수로에 집중되었고, 식생대와 주수로 사이에 와류가 형성되면서 하상이 세굴되었다. 식생대에서는 흐름이 감소되면서 유사가 퇴적되었다. 식생대를 따라 교호사주가 형성되었으며, 사행이 형성되었다. 유량이 증가하면서 식생대에서 퇴적 면적은 증가하였다.

  • PDF

Evaluation of river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effect (하천 퇴적물 물성 및 수질영향 평가)

  • Lee, Yosang;Lee, Seungyoon;Yi, Hye-suk;Chong, Su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81-481
    • /
    • 2016
  • 하천퇴적물은 물의 순환과정에서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에 따라 조성이 변하게 된다. 특히 입자가 작은 토양과 유기성 물질들은 물순환과정에 이동성이 크게 나타나며, 인간에 의해 개발된 지역은 자연상태에 비해 이동하는 물질이 많이 나타나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건설된 보에 대한 퇴적물 조사를 실시함으로서 향후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금강과 낙동강에 건설된 보의 주요지점에 대한 퇴적물 조사를 실시하고 수질영향을 평가하였다. 조사는 홍수기전과 홍수기후로 구분하여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물리적 성상과 화학적 항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도분석 결과 금강 주요 10개 지점의 퇴적물 조성은 Sand, Silt와 Clay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삼각좌표 분류법에 의한 토성은 대부분의 지점이 실트질양토(SiL)로 평가되었다. 완전연소가능량은 0.35~1.37로 전 지점에서 하천 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의 유기물 함량기준 13%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수기 전 후에도 거의 유사하였다. 금강에서는 중금속뿐만 아니라 유기물 및 영양염류도 기준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환경부예규인 하천 호소퇴적물 오염평가 기준보다 낮게 평가되었다. 하상 퇴적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용출실험에서도 유기물 및 중금속 모두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낙동강 주요 26지점의 입도분석 결과 퇴적물 조성은 대부분 Sand로 구성되어 삼각좌표 분류법에 의한 토성은 사토(S)로 평가되었다. 홍수기 전 후에 조사한 결과 완전연소가능량은 0.27~2.85으로 전 지점에서 하천 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의 유기물 함량 기준보다 낮았으며 홍수기 전 후에도 거의 유사하였다. 화학적 성상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환경부예규인 하천 호소퇴적물 오염평가 기준보다 낮게 평가되었으며, 용출실험에서도 유기물 및 중금속 모두 수질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번 조사는 4대강 건설 후 하상이 안정화 되지 않은 상태로 인해 지점간 특별한 경향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보다 정확한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조사를 통해 평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퇴적물 구성입도가 부상과 퇴적에 미치는 영향

  • 강시환
    • Water for future
    • /
    • v.17 no.3
    • /
    • pp.191-196
    • /
    • 1984
  •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on sedimentation processes, huydraulic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four groups of ssediments: There well-defined sediments of uniform composition and narrow-size distribution, and a fourth group which was a mixture of these three sediments. Entrainment and deposi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each group and sediments with bottom shear stresses of 1~14 dynes/$\textrm{cm}^2$. Inter-comparison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presented.

  • PDF

REE 분석과 GIS를 이용한 퇴적물 이동 연구

  • 곽재호;이현구;이승구;양동윤;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80-283
    • /
    • 2003
  • 희토류원소는 변성작용, 변질작용 및 풍화작용의 영향 측면에서 다른 원소에 비해 영향을 덜 받는 특성 (Taylor and McLennan, 1985; McLennan, 1989; Lee et at., 1994)과 더불어 암석생성과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지구의 생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퇴적물의 기원을 밝히는데 있어서 희토류원소가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Piper, 1985; Cullers et al., 1987; Elderfield et at., 1990), 지표수 혹은 지하수에서의 희토류원소 존재도가 지하수의 유동방향을 지시해준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Johannesson et al., 1996, 1997). (중략)

  • PDF

Depositional Landforms in Jiwoo Drainage Basin (지우천 유역의 퇴적지형 연구)

  • Oh, In-S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2
    • /
    • pp.192-20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formative processes of depositional landforms in Jiwoo drainage basin which located in the most upstream reach of Namgang River. Through the analysis of morphologic characteristics and sedimentary facies, the formative proces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high depositional landforms(Sapyeong, Eungam, Naedongdyttle site) were formed by gelifluction process in the periglacial environment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And the relative height over river bed of them is getting lower from upper to downstream. The extent of the high depositional landforms is assumed about 1 kilometer downstream far from the confluence of Jiwoo stream and Namgang River. Second, the sediments in the gentle slope at Jangseungbuldle were carried by gelifluction process during the last glacial stage after the deep-weathered bedrock had formed a gentle slope. Third, the high depositional landforms were dissected during warm and humid environment of postglacial stage, and some sediments of them were left in the river bed. Later, as the more upstream high depositional landforms were dissected completely, stream power was getting more than resistance(sediment storage) and the low depositional landforms(Sapyeong, Yongchusa, Deungbangdle site) were formed.

  • PDF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the Heavy Minerals from Deep Cored Sediments along the Coastal Deposits, Songji Lagoon, Eastern Coast, Korea (강원도 동해안(송지호) 해안퇴적층의 제4기 후기 층서와 중광물)

  • 박용안;박영후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5 no.2
    • /
    • pp.111-117
    • /
    • 2001
  • The deep cored sediments of the beach spit deposit in the inlet of the Songji lagoon(lake) have been studied in terms of the late Quarternary stratigraphy and relationship of the Holocene sea-level curve. Furthermore, the total content of heavy mineral sands from the established stratigraphic units(Unit I, II and III) varies due to the changes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from continental to marine condition.

  • PDF

High-Resolution Seismic Characteristics of the Holocene Mud Deposits in the Southeast Innershelf, Korea (한국 남동 내대륙붕해역의 홀로세 뻘질 퇴적층의 고해상도 탄성파 특성)

  • Choi, Dpng-Lim;Oh, Jae-Kyung;Lee, Chi-Won;Woo, Han-Ju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 no.1
    • /
    • pp.8-13
    • /
    • 1997
  • The Holocene mud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innershelf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studied using the shallow seismic reflection profiles coupled with sediment sampling. The Holocene mud deposits are developed as a belt in the innershelf area from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to off Pohang along the coastline. The surficial sediments in the study area gradually become finer and well sorted from south to north. The seismic facies in the Holocene sequence change northward from parallel reflectors in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and northeastward prograding reflectors in the southern part off Ulsan to transparent layer in the nearshore off Ulsan to Pohang. The regional difference of seismic facies indicates that the Holocene sediment characters are varied with localities. By combining the surficial sediments properties with seismic facies patterns, the suspended sediments mostly supplied from the Nakdong River may be transported northward along the shore by the north-flowing Tsushima warm current. The Holocene mud sequence overlying the ravinement surface which is produced by erosion of underlying sediments during a rapid transgression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stand system tracts probably formed during the highstand of sea level similar to the present-day sea level.

  • PDF

A study on alluvial deposits of tributaries of Yungsan river, near Damyang. (담양지역 영산강 지류 하천 퇴적층의 특성에 대한 연구)

  • Kim, Jong Yeon;Hong, Se Su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0 no.4
    • /
    • pp.51-70
    • /
    • 2013
  • The characteristics of deposits formed by the Daejon-cheon and Soobuk-cheon, dissecting the mountains such as Byungpung Mt. and Samin Mt. in western part of Damyang county, Jeonmam province. Results from field survey and bore hole logging by KIGAM are used in interpreting depositio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By the result of deposits near of the channels Daejon-cheon and Soobuk-cheon, and main channel of Youngsan River, the depth of sediment layers in this area is 4~7m, far thinner than formerly estimated. Weathered material of local rocks forms the base of the sedimentary layers. It can be assumed that the location channel of the Youngsan river has been stable ever since the start of the sedimentary events. Sediment particles of tributaries are angular than those of Youngsan River. Particles are larger and sorting is poor. It is interpreted as mount flash flood deposits. Main sources of sediments at the valley bottom or deposition dominated area are the terrace deposits or slope deposits over the gentle foot-slope or front of surrounding mountains. Some particles show polygonal cracking on the surface originated from the strong chemical weathering, while most of these has high angularity. It means various geomorphic processes operate to produce and transport the particles in this area.Isolated hills within the sedimentary plains are made with weathered materials of local bedrock. In the case of foot-slope of the hills, thin sedimentary layers are found. So it can be concluded that surface features of deposition zone of the Daejon-cheon and Soobuk-cheon is formed by the filling of lower part of the valley and its feature partly controlled by the relief of the weathering fr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