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행특성

Search Result 56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Link Travel Time Using GPS Data (GPS 수집자료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분포 특성 분석)

  • Lee, Young-Woo;Lim, Chae-M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5
    • /
    • pp.7-17
    • /
    • 2004
  • 지금까지의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연구는 개별 차량의 평균을 통한 평균링크통행시간 산정 및 추정의 제한적인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링크통행시간은 교통조건, 신호운영조건, 도로조건 등 다양한 영향인자로 인해 통행시간 분포가 구분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링크통행시간 특성을 좀 더 미시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자료 수집의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GPS를 이용한 RTK 측량을 이용한 실시간 자료수집을 통하여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신호운영에 의한 영향으로 인한 링크통행시간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현장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통행시간 분포특성 및 원인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다양한 조건을 부여하여 링크통행시간분포비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한 검토하고 통행시간 분포비율을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GPS 실험차량을 이용한 주행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순행시간으로만 이루어지는 링크통행시간과 적색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링크구간을 통과하여 순행시간에 신호 대기시간을 더한 링크통행시간으로 통행시간이 구분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분석은 통행시간을 하나의 평균통행시간으로 인식하는 것보다 두 개의 구분된 통행시간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링크통행시간 분포특성에 대한 연구결과 또한, 통행시간이 양분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링크통행시간의 경우 평균통행시간에 의한 결과보다 신호지체가 발생하지 않는 통행시간과 신호지체가 발생하는 통행시간으로 구분하는 것이 교통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Route-Choice Behavior with In-Vehicle Car Navigation System (차량주행안내시스템을 이용에 따른 운전자 노선선택 행태분석)

  • 김정완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171-180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차량주행안내시스템(CNS)이 최단거리 통행노선을 제공하였을 때 운전자 노선선택 행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통행목적 및 운전자 특성에 따른 운전자의 노선선택 행태를 도출한 결과, 쇼핑통행과 레저통행시 CNS에서 제공하는 노선을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NS에서 최단거리 정보를 제공했을 경우는 운전자 특성에 따라 노선선택행태가 차이가 있으며 통행목적별로 노선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특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통행목적 및 운전자 특성에 따른 운전자의노선선택 행태를 도출해 운전자 특성과 통행특성에 따른 노선선택 행태를 반영한 통행배정모형을 구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riving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of TCS Data Based on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Fuzzy c-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한 TCS 데이터 주행특성 분류 방법 연구)

  • Park, Won-Sik;Kim, Dong-Keun;Yang, Yo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021-1024
    • /
    • 2009
  •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행시간 분류방법은 하나의 통행시간을 대푯값으로 가지고 있다. 이에 문제점은 고속도로 특성으로 규정 속도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 규정 속도 및 휴게소 이용차량, 운전자의 운전 습성, 통행 목적, 피로의 정도, 운전자 성향과 도로상황에 따라 통행시간이 다르게 나타나는 점이다. TCS(Toll Collection System) 자료는 고속도로의 다양한 특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상 구간의 거리가 멀수록 목적지에 도달하는 통행시간의 분산이 커지는 특성 또한 보인다. 따라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통행시간 분류, 구간대표통행시간 추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기존의 방법은 전체 통행차량의 통행시간을 감안한 방법으로 통행시간 예측시 정확성이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TCS 자료를 Fuzzy c-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일일 고속도로 통행시간의 시간별 주행특성을 고려한 대푯 값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실제 서울-청주 구간을 운행한 TCS 자료를 가지고 실시한 실험으로, 주행특성 및 도로상황을 고려한 Fuzzy c-means를 이용한 통행시간 분류방법과 기존의 통행시간 분류 방법을 통한 통행시간을 PIFAB를 사용 TCS 자료의 실제 통행시간과 경로통행시간을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Fuzzy c-means기법은 기존 방법인 MAD기법보다 75%, 신뢰구간(95%) 추출법 대비 81%의 정확성을 제고하였다.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raveler's Mode Choice (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특성이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

  • Gwon, Se-Na;Kim, Hyeong-Jin;Son, Bong-Su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7.02a
    • /
    • pp.181-19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raveler's mode choice - private car, bus, and subway - by developing multinomial legit model for commuting and shopping trips respectively. In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commuting trip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fluencing shopping trips. The research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on the individuals' travel mode choice can find these variables have a significance.

  • PDF

Analysis of Rain Impacts on Freeway Trip Characteristics (강우와 고속도로 통행특성의 관계 연구)

  • Baek, Seung-Kirl;Kim, Bum-Jin;Lim, Yong-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3
    • /
    • pp.119-128
    • /
    • 2008
  • Weather like rain, strong wind or snowfall may make the road condition deteriorated and sometimes induce traffic accidents, which lead to severe traffic congestion, thereby travelers may change their destinations elsewhere. Although origin-destination trip information is required to analyze transportation planning in urban area, there are little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condition and travel pattern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patterns on expressway in rainy days of 2006. We compare the normal travel patterns with those of rainy days by the travel distance for each vehicle type. Results show that traffic volume and travel distance have been reduced in rainy days as we expect, and also show different travel patterns for weekday and weekend.

A Study on Trip Generation Model considering Trip-chaining by Behavioral Homogeneous Person Group ("유사 통행행태 집단"의 Trip-chaining을 고려한 통행발생 모형)

  • Lee, Seon-Ha;Yun, Jin-S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D
    • /
    • pp.709-716
    • /
    • 2006
  • The rapid changes of family structure such as singles, working couples and so on have effects on a travel behaviour. One of the characteristics from this is the increasing portion of trip-chain, in which plural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a "single outgoing" travel. Therefore travel must be considered as location change to conduct various activities instead of pursuing single travel purpose. This paper specifies a behavioral homogeneous person group by a job, a possession of car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of person groups and their activity diary, the sequence, time and travel mode of activities in a day can be verified. As a case study household survey was conducted in city Kongju.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classification of behavioral homogeneous person group based on criteria like employment status and car ownership bring a good result to forecast trip generation in traffic zone.

Analysis of Trip Generation Behavior Based on the Multiday Travel Data (일기식 개인통행행태를 고려한 통행발생 예측)

  • 민연주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73-8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주일간 조사된 개인통행행태를 고려한 각 특성별 통행발생예측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일주일간 통행빈도수의 차이를 고려한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특성별 개인 통행발생예측 모형을 정립하였다. 전체 표본의 각 특성별 개인 내부 변이성을 분석해 본 결과 기간의 차이에 따른 개인 통행행태의 변화는 직업별, 나이별, 성별, 차량소유 유무, 주택소유 형태, 통행목적, 통행수단, 가구원수에 따라 집단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수를 이용한 통행발생 예측모형의 분석결과 개인소득이 높을수록, 주책을 자가로 소유한 경우, 자동차를 소유한 경우, 학생일수록, 유직일수록 개인 통행발생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아니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통행수가 적어졌다.

  • PDF

Relationship of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th the Change of Travel Frequencies Korea Society of Transportation (정보통신 이용행태와 직장인의 통행빈도 변화의 연관성 연구)

  • Seong, Hyeon-Gon;Sin, Gi-Suk;Chu,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2
    • /
    • pp.53-64
    • /
    • 2010
  •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association of change of travel frequencie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commuting behavior for 995 workers in the Korea Capital Region. The study surveyed total 995 commuters whose their individual character, commuting behavior, land use as well as ICTs. The measures of the commuting behavior was comprised of a main commuting mode, a use tern, total travel time, and those of land use was the distance from house/office to subway station, and those of ICTs was data and information collection, communication and leisure, online selling or purchases, finance and a civil application, cellular phone service using capacity and so 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muting behavior, land use, and ICTs are positively associated to change of travel frequencies. Specifically, longer total travel time, or far from house/office to subway station, tend to reduce commuting behavior and collect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An Assessment of Trip-maker's Behavior Under Uncertainty for Value of Travel Time (시간가치의 불확실성 아래 통행자행태에 관한 연구)

  • 문동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 no.1
    • /
    • pp.64-81
    • /
    • 1983
  • 소비자 행태에 관한 신고전 경제이론을 통행수요의 분석에 그대로 적용하는데 문제 가 되는 특기 사항으로는 운임이외에 통행시간과 같은 서어비스 질도 통행수단의 선택에 영 향을 미친다는 점과 특정 두지점간의 통행에서 동일한 소비자도 여러 수송수단을 이용한다 는 점을 들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이와같은 통행수요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소비자의 효용최대화모형의 설정과 이 모형에서 유도된 수요함수의 구조를 분석함에 있다. 상술하면, 통행시간 가치의 불확실성 아래에서 효용을 극대화하는 의사결정문제를 Stochastic Programming 모형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 모형에서 유도된 특성 통행수단의 수요함수는 이 수단이 가장 유리한 시간가치의 범위에 대한 부정적분으로 표현되며 이 적분 범위와 피적분함수는 모든 경쟁수단의 운임과 통행수단의 함수로 정의됨을 증명하였다. 또 한 수요함수는 통행수요에 관한 통계분석모형에서 묵시적으로 가정되고 있는 통행수단간 대 체성(Property of gross substitute)과 대각방향우세성(Property of diagonal dominance)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Understanding elderly's travel pattern based on individual trip trajectory using smart card data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통행궤적 기반 고령인구 통행유형 분류)

  • Lee, Ju-Yoon;Kang, Young-Ok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2 no.2
    • /
    • pp.153-169
    • /
    • 2022
  • With the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 span and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defining elderly population as a single group is difficult as the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individual have become different. Therefore,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individual travel type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vel type, based on individual public transportation trajectory data as known as smart card data. Among the four classified types, the long-distance low-frequency stay type and the short-range medium-frequency mobile type show external activity traffic characteristics for retirement leisure, while the long-distance high-frequency stay type and the long-distance high-frequency mobile group include regular commuting. Traffic variability and residence areas of stay were identified in terms of each classified travel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important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 transportation polic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elderly population in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