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행시간추정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utonomous Self-Estimation of Vehicle Travel Times in VANET Environment (VANET 환경에서 자율적 자가추정(Self-Estimation) 통행시간정보 산출기법 개발)

  • Im, Hui-Seop;O, Cheol;Gang, Gyeong-P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4
    • /
    • pp.107-118
    • /
    • 2010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vehicle-to-vehicle (V2V) and vehicle-to-infrastructure (V2I) enable the development of more sophisticated and effective traffic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to estimate vehicular travel times in a vehicular ad hoc network (VANET) environment. A novel feature of the proposed method is estimating individual vehicle travel times through advanced on-board units in each vehicle, referred to as self-estimated travel time in this study. The method uses travel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position and speed at each given time step transmitted through the V2V and V2I communications. Vehicle trajectory data obtained from the VISSIM simulator is used for evaluating the accuracy of estimated travel times. Relevant technical issues for successful field implementation are also discussed.

Analysis of Prework Trip-Making and Modal Choice (통근통행 이전의 비통근통행 발생여부와 교통수단 선택행태 분석)

  • 윤대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57-6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지금가지 통근통행자의 활동참여 분석(activity Participation analysis)이 주로 일과후 활동참여(postwork activity participation)에 초점이 주어졌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과전 활동참여(preworkactivity Participation)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통근통행자의 통근통행 이전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와 교통수단 선택의 행태를 네스티드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모형의 경험적 추정을 위해 1995년 미국 Nationwide Personal Transportation Survey (NPTS)의 일부분으로 수집된 뉴욕 대도시지역의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추정된 경험적 모형을 바탕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통근통행 이전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와 교통수단 선택의 네스티드 로짓모형은 통계적 측면이나 행태적 측면에서 볼 때 대체로 타당한 분석결과를 보여준다. 교통수단 선택모형(조건부 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 운전면허 소지여부, 가구내 차량보유대수, 가구내 직장인수, 연간 가구소득, 교통수단의 통행시간이 통근통행자의 교통수단 선택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통근통행 이전의 비통근통행 발생여부 선택모형(한계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 성별, 가구내 차량보유대수, 가구의 생애주기가 통근통행자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부터의 중요한 발견은 추정된 네스티드 로짓모형의 inclusive value의 추정계수값을 살펴봄으로써 가능한데, 모형의 경험적 추정결과는 본 연구에서 가설화된 네스티드 로짓모형구조의 타당성을 입증시켜 준다. 아울러 직장인의 교통수단 선택은 통근통행 이전의 비 통근통행 발생여부의 선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Travel Time Model at the Signal Coordinated Links Using Traffic Flow Model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도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개발)

  • 박용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45-155
    • /
    • 1998
  • 대도시 가로망의 대부분은 신호교차로와 신호교차로가 연결되는 가로(link)로 구성되어 있어 가로의 통행시간은 가로의 주변여건, 차량간의 상호작용 및 교통신호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가로망에서 신호 연동체계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가로망을 대상으로 연동가로의 교통흐름을 가장 잘 나타내는 Greenberg모형을 이용하여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은 임계통행시간$(t_m$)과 교통량 대가로최대교통량비$(q/q_m)$의 함수로 이루어졌다. $t_m$모형은 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 및 불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의 비를 이용하여 개발하였고 가로 용량모형은 상류부와 하류부의 신호조건에 따른 변수와 가로길이를 변수로 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12개의 연동가로의 자료를 적용하여 연동으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통행시간 모형은 도로용량에 제시한 모형에 비하여 간단하게 가로의 통행시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교통계획에 적용되는 통행시간모형 비하여 가로의 신호 및 운영조건을 포함한 세부적인 통행시간 모형이다.

  • PDF

A Transit Assignment Model and Transit Passenger OD Estimation from Passenger Counts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 및 통행량 기반 대중교통 기종점 통행량 추정)

  • 이신해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2.02a
    • /
    • pp.45-77
    • /
    • 2002
  • 교통혼잡 문제가 점점 심각해짐에 따라 대중교통의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며, 대중교통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이 속속 입안되고 있어 대중교통을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는 틀의 개발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과 대중교통 기종점통행량(OD) 추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의 개발부분에서는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이 개별차량과 다른 대중교통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최적경로 탐색에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통행량 배정에는 로짓모형을 기반으로 한 확률적 통행량 배정모형(Stochastic Network Loading Model)을 이용하여 TATSN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중교통 기종점통행량의 추정은 전통적인 기종점통행량 추정 방법인 기종점조사 방법이 시간과 비용이 과대하게 소요된다는 단점을 인식하여 관측통행량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ravel Time Estimation Algorithm for National Highway by using Self-Organizing Neural Networks (자기조직형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국도 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

  • Do, Myungsik;Bae, Hyunes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D
    • /
    • pp.307-315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ravel time estimation model by using Self-Organized Neural network(in brief, SON) algorithm. Travel time data based on vehicles equipped with GPS and number-plate matching collected from National road number 3 (between Jangji-IC and Gonjiam-IC), which is pilot section of National High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were employed. We found that the accuracies of travel time are related to location of detector, the length of road section and land-use properties. In this paper, we try to develop travel time estimation using SON to remedy defects of existing neural network method, which could not additional learning and efficient structure modification. Furthermore, we knew that the estimation accuracy of travel time is superior to optimum located detectors than based on existing located detectors. We can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use of location allocation of detectors in highway.

Estimation of Interregional Mode Choice Models and Value of Travel Time Accommodating Taste Variation of Individuals (개인의 선호다양성을 고려한 지역간 수단선택 모형 구축 및 시간가치 추정 연구)

  • Cho, Shin-hyung;Seo, Young-hyun;Kho, Seung-young;Rhee, Sung-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0 no.2
    • /
    • pp.288-298
    • /
    • 2017
  • The system of high-speed and conventional railway vehicles is diversified, and significant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performance has been achieved. This study analyzed the modal change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t estimated the value of travel time by improving the travel time and cost for the passenger's perception of railway. In this study, we formulate a mode choice model for passengers and compare it with the mixed logit model which reflects individual taste variation.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is presented through an estimation the value of travel time using the derived model. For this purpose, a stated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with 510 peopl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The benefits of time-saving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estimating the value of time spent on the railway. Appropriate fares for public transportation can also be estimated.

An Application of Multinomial Logit Model to Jongro Corridor Travellers (종로축 출근통행에 대한 "로-짓" 모형의 적용)

  • 원제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 no.1
    • /
    • pp.103-119
    • /
    • 1984
  • 복잡다기해지는 도시교통문제를 효율적으로 대처하려면 제도시교통정책에 의한 교 통분담율효과를 사전에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단기간의 교통분담율효과를 추정하는데 미 국 및 구라파 등지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모형이 개별교통모형(Disaggregate Travel Demand Model)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서울시의 종 로축을 이용하는 출근통행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적용하여 매개함수(Parameters) 를 추정함에 있다. 조사는 1980년7월5일부터 7월15일까지 10일간 종로축을 이용하는 통행자 536명에게 실시되었다. 조사실시전 서울시의 교통체계의 특성과 통행자의 행태를 면밀히 분 석하여 적합한 변수를 선정하였다. 여러 가지로 변수와 표본의 변형을 시도한 결과 교통비 용을 소득으로 나눈 변수와 시기시간(OVTT)을 거리로 나눈 변수를 포함한 모형이 가장 논 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표본은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으로 구분하여 추정한 모형이 비 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우리나라 대도시의 경우 소득계층에 따라 교통수 단선택범위가 한정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시간가치를 각각 산정 하였는바, 이는 교통시간의 매개변수와 교통비용의 매개변수를 나눔으로서 구해질 수 있다. 시간가치는 고소득층은 910원 저소득층은 582원으로 각각 산출되었다.

  • PDF

Estimating Confidence Interval of Value of Travel Time(II) (통행시간가치의 신뢰구간 추정(II))

  • 조종래;박철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2
    • /
    • pp.193-198
    • /
    • 1999
  • An asymptotic distribution of the ratio of two normal vectors is estimated. Using the estimated asymptotic distribution, an approximation method to estimate confidence interval of passenger's value of travel time is proposed. As a result of empirical study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value of travel time of home-to-work trips in city of Seoul is estimated at ₩7341.25$\pm$1945.05/hr.

  • PDF

3-Dimensional Balancing Technique for Nationwide Travel Demand Model using Toll Collecting System Data (3-D 기법을 이용한 TCS기반 전국 교통수요 추정 연구)

  • 이승재;이헌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4
    • /
    • pp.63-72
    • /
    • 2002
  • We applied 3-D balancing technique to estimate nationwide travel demand using travel behavior of Toll Collecting System data, socio-economic data in the region, and the data of several organizations connected with travel demand estima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validated by the indices of RMSE(Root Mean Square Error), TLFD(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 TCS based inter-city average travel to measure of reliability and adequacy of estimated travel demand. Finally, 3-D technique seems to reflect more travel behavior of TCS OD than 2-D technique, but we cannot assert that 3-D technique superior to 2-D technique.

Evaluating Value-of-Time for Travel Based on The Linear Logit Choice Model ("로-짓" 모형에 의한 교통시간가치 산정에 관한 연구)

  • Yu, 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 no.1
    • /
    • pp.69-88
    • /
    • 1984
  • 통행시간가치에 대한 연구는 독립변수를 이용한 통행시간과 비용에 의한 선택모형 을 대개 사용하여 왔다. 통행시간과 비용에 대한 매개함수를 추정한 후에 통행시간가치를 교통시간과 비용의 $\ulcorner$파라메타$\lrcorner$비로써 얻고 있다. 그러나 통행시간가치에 관한 신뢰구간과 통계적 유의성을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과정은 아직 연구되지 않고 있으나 $\ulcorner$로-짓$\lrcorner$ 모형 자체에 대하여는 되어있다. 본 논문은 통행시간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방향을 비평적 으로 검토하여 본 것으로 통행시간가치를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한 표준화 과정은 아직 이론적으로 정립 가능하다고 생각되지 않지만 통행시간가치평가의 간편식을 제시하여 보았 다. 간편식에 의하여 제시된 결과에 의하면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의 통계적신뢰 구간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는바 이에 대한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 측정을 위한 과정의 타당성에 대한 많은 의문이 아직도 남는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