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행로

Search Result 1,90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nferring the Transit Trip Destination Zone of Smart Card User Using Trip Chain Structure (통행사슬 구조를 이용한 교통카드 이용자의 대중교통 통행종점 추정)

  • SHIN, Kang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4 no.5
    • /
    • pp.437-448
    • /
    • 2016
  • Some previous researches suggested a transit trip destination inference method by constructing trip chains with incomplete(missing destination) smart card dataset obtained on the entry fare control systems.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the transit trip destination inference method, the transit trip chains are constructed from the pre-paid smart card tagging data collected in Busan on October 2014 weekdays by tracing the card IDs, tagging times(boarding, alighting, transfer), and the trip linking distances between two consecutive transit trips in a daily sequences. Assuming that most trips in the transit trip chains are linked successively, the individual transit trip destination zones are inferred as the consecutive linking trip's origin zones. Applying the model to the complete trips with observed OD reveals that about 82% of the inferred trip destin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bserved trip destinations and the inference error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inferred and observed alighting stops is minimized when the trip linking dist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0.5km. When applying the model to the incomplete trips with missing destinations, the overall destination missing rate decreases from 71.40% to 21.74% and approximately 77% of the destination missing trips are the single transit trips for which the destinations can not be inferable. In addition, the model remarkably reduces the destination missing rate of the multiple incomplete transit trips from 69.56% to 6.27%.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d Chi-squared goodness-of-fit tests showed that the ranks for transit trips of each zone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ferred trips, but the transit trip distributions only using small complete trip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using complete and inferred trip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odel should be applicable to derive a realistic transit trip patterns in cities with the incomplete smart card data.

An Assessment of Trip-maker's Behavior Under Uncertainty for Value of Travel Time (시간가치의 불확실성 아래 통행자행태에 관한 연구)

  • 문동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 no.1
    • /
    • pp.64-81
    • /
    • 1983
  • 소비자 행태에 관한 신고전 경제이론을 통행수요의 분석에 그대로 적용하는데 문제 가 되는 특기 사항으로는 운임이외에 통행시간과 같은 서어비스 질도 통행수단의 선택에 영 향을 미친다는 점과 특정 두지점간의 통행에서 동일한 소비자도 여러 수송수단을 이용한다 는 점을 들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이와같은 통행수요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소비자의 효용최대화모형의 설정과 이 모형에서 유도된 수요함수의 구조를 분석함에 있다. 상술하면, 통행시간 가치의 불확실성 아래에서 효용을 극대화하는 의사결정문제를 Stochastic Programming 모형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 모형에서 유도된 특성 통행수단의 수요함수는 이 수단이 가장 유리한 시간가치의 범위에 대한 부정적분으로 표현되며 이 적분 범위와 피적분함수는 모든 경쟁수단의 운임과 통행수단의 함수로 정의됨을 증명하였다. 또 한 수요함수는 통행수요에 관한 통계분석모형에서 묵시적으로 가정되고 있는 통행수단간 대 체성(Property of gross substitute)과 대각방향우세성(Property of diagonal dominance)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포준지체식 파라메터 조정을 통한 동적 통행배정모형에서 링크성능함수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 김욱경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41-41
    • /
    • 1998
  • ITS틀 내의 한 분야인 도로교통정보체계 (ATIS: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매 순간마다 가로망에 배정되는 교통량 및 통행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범용의 동적 통행배정모형(dynamic route choice model)의 개발이 필히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ITS사업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최적 제어이론에 의한 동적 통행 배정모형을 ATIS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응용하기 위해 기존 연구성과를 발판으로, 순간 동적 통행 배정모형(Ran, Boyce &LeBlanc, 1993)의 통행제약조건인 링크통행함수, 특히, 과부하 시 엘켈릭의 일반식의 파라메터를 조정, 적용하여, 서울시 강남지역의 실제 가로망의 사례연구를 통해 지체식의 각각의 파라메터에 따른 결과를 O/D에 따른 통행시간, 링크통행시간, 혼잡도를 중심으로 비교 평가하여, ATIS의 핵심 소프트웨어로서 순간 동적 통행배정을 통해 보다 현실여건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링크 통행 성능 함수를 도출하였다.

  • PDF

A Genetic Algorithm for Trip Distribution and Traffic Assignment from Traffic Counts in a Stochastic User Equilibrium (사용자 평형을 이루는 통행분포와 통행배정을 위한 유전알고리즘)

  • Sung, K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599-617
    • /
    • 2006
  • A network model and a Genetic Algorithm(GA) is proposed to solve the simultaneous estimation of the trip distribution and traffic assignment from traffic counts in the congested networks in a logit-based Stochastic User Equilibrium (SUE). The model is formulated as a problem of minimizing the non-linear objective functions with the linear constraints. In the model, the flow-conservation constraints of the network are utilized to restrict the solution space and to force the link flows meet the traffic counts. The objective of the model is to minimize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link flows satisfying the constraints of flow-conservation, trip production from origin, trip attraction to destination and traffic counts at observed links and the link flows estimated through the traffic assignment using the path flow estimator in the legit-based SUE. In the proposed GA, a chromosome is defined as a vector representing a set of Origin-Destination Matrix (ODM), link flows and travel-cost coefficient. Each chromosome is evaluated from the corresponding discrepancy, and the population of the chromosome is evolved by the concurrent simplex crossover and random mutation. To maintain the feasibility of solutions, a bounded vector shipment is applied during the crossover and mutation.

  • PDF

Analysis of Route-Choice Behavior with In-Vehicle Car Navigation System (차량주행안내시스템을 이용에 따른 운전자 노선선택 행태분석)

  • 김정완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171-180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차량주행안내시스템(CNS)이 최단거리 통행노선을 제공하였을 때 운전자 노선선택 행태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통행목적 및 운전자 특성에 따른 운전자의 노선선택 행태를 도출한 결과, 쇼핑통행과 레저통행시 CNS에서 제공하는 노선을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NS에서 최단거리 정보를 제공했을 경우는 운전자 특성에 따라 노선선택행태가 차이가 있으며 통행목적별로 노선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특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통행목적 및 운전자 특성에 따른 운전자의노선선택 행태를 도출해 운전자 특성과 통행특성에 따른 노선선택 행태를 반영한 통행배정모형을 구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Measure for Travel Time Reliability (통행시간 신뢰성 지표 개발 및 산정에 관한 연구)

  • Chang, Justin Su-Eun;Kang, Ji-Hye;Lee, Seu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5
    • /
    • pp.217-226
    • /
    • 2008
  • The term, travel-time reliability, refers to variations in journey time that travelers cannot predi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standard way to measure travel time reliability. A modified buffer time indicator is proposed. The index is represen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planned and actual travel times based on lognormal type travel time distribution. Using this framework, a constant function for railways and a negative parabola function for roads are discussed. The model developed is applied to the real data of Korean road and rail usages to empirically verify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rocess, the unit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for each group is estimat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of conducting more cautious economic feasibility studies of transport.

Analysis of Rain Impacts on Freeway Trip Characteristics (강우와 고속도로 통행특성의 관계 연구)

  • Baek, Seung-Kirl;Kim, Bum-Jin;Lim, Yong-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3
    • /
    • pp.119-128
    • /
    • 2008
  • Weather like rain, strong wind or snowfall may make the road condition deteriorated and sometimes induce traffic accidents, which lead to severe traffic congestion, thereby travelers may change their destinations elsewhere. Although origin-destination trip information is required to analyze transportation planning in urban area, there are little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condition and travel pattern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patterns on expressway in rainy days of 2006. We compare the normal travel patterns with those of rainy days by the travel distance for each vehicle type. Results show that traffic volume and travel distance have been reduced in rainy days as we expect, and also show different travel patterns for weekday and weekend.

Accuracy Improvement of the Transport Index in AFC Data of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Network (AFC기반 수도권 지하철 네트워크 통행지표 정확도 향상 방안)

  • Lee, Mee-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3
    • /
    • pp.247-255
    • /
    • 2021
  • Individual passenger transfer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Automatic Fare Collection (AFC) data. Currently, basic data such as travel time and distance are allocated based on the TagIn terminal ID data records of AFC data. As such, knowledge of the actual path taken by passengers is constrained by the fact that transfers are not applied, resulting in overestimation of the transport index.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by which a transit path that connects the TagIn and TagOut terminal IDs in AFC data is determined and applied to the transit index. The method embodies the concept that a passenger's line of travel also accounts for transfers, and can be applied to the transit index. The path selection model for the passenger calculates the line of transit based on travel time minimization, with in-vehicle time, transfer walking time, and vehicle intervals all incorporated into the travel time. Since the proposed method can take into account estimated passenger movement trajectories, transport-related data of each subway organization included in the trajectories can be accurately explained. The research results in a calculation of 1.47 times the values recorded, and this can be evaluated directly in its ability to better represent the transportation policy index.

Evaluating Value-of-Time for Travel Based on The Linear Logit Choice Model ("로-짓" 모형에 의한 교통시간가치 산정에 관한 연구)

  • Yu, 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 no.1
    • /
    • pp.69-88
    • /
    • 1984
  • 통행시간가치에 대한 연구는 독립변수를 이용한 통행시간과 비용에 의한 선택모형 을 대개 사용하여 왔다. 통행시간과 비용에 대한 매개함수를 추정한 후에 통행시간가치를 교통시간과 비용의 $\ulcorner$파라메타$\lrcorner$비로써 얻고 있다. 그러나 통행시간가치에 관한 신뢰구간과 통계적 유의성을 설정하기 위한 적절한 과정은 아직 연구되지 않고 있으나 $\ulcorner$로-짓$\lrcorner$ 모형 자체에 대하여는 되어있다. 본 논문은 통행시간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방향을 비평적 으로 검토하여 본 것으로 통행시간가치를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한 표준화 과정은 아직 이론적으로 정립 가능하다고 생각되지 않지만 통행시간가치평가의 간편식을 제시하여 보았 다. 간편식에 의하여 제시된 결과에 의하면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의 통계적신뢰 구간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는바 이에 대한 선택모형에 입각한 통행시간가치 측정을 위한 과정의 타당성에 대한 많은 의문이 아직도 남는다 하겠다.

  • PDF

The Study on the solution of the assignment model based on asymmetric cost function (비대칭 비용함수 기반의 통행배정모형의 해석에 관한 연구)

  • Park, Jun-Hwan;Sin, Seong-Il;Im, Yo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7.05a
    • /
    • pp.89-9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통행배정 모형이 갖는 여러 가지 가정 중 대칭적 통행비용 함수를 갖는 가정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통행배정 문제에 있어서 대칭적 비용함수 가정이라는 것은 링크의 통행비용은 다른 링크의 교통량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않으면서, 동시에 해당 링크를 통과하는 단하나의 수단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을 극복할 수 있는 비대칭 통행배정모형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해석 모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때 대표적 비대칭 통행배정 문제인 다수단 통행배정 모형을 중심으로 문제를 정의하여 검토하였다. 대각화(Diagonalized) 알고리즘과 Column Generation에 기반한 heuristic 모형을 다수단 통행배정 모형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과정을 통해 대각화 알고리즘은 초기해의 수단과 수렴기준 수단에 따라 서로다른 해를 갖는 복수의 평형해(Equilibria)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에 비해 Column Generation에 기반한 heuristic 모형은 Euclidean Norm을 이용한 부분최적화를 통해 복수의 평형해(Equilibria)에 관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