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행로

Search Result 1,90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evelopment of Travel Time Model at the Signal Coordinated Links Using Traffic Flow Model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도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개발)

  • 박용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145-155
    • /
    • 1998
  • 대도시 가로망의 대부분은 신호교차로와 신호교차로가 연결되는 가로(link)로 구성되어 있어 가로의 통행시간은 가로의 주변여건, 차량간의 상호작용 및 교통신호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가로망에서 신호 연동체계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가로망을 대상으로 연동가로의 교통흐름을 가장 잘 나타내는 Greenberg모형을 이용하여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은 임계통행시간$(t_m$)과 교통량 대가로최대교통량비$(q/q_m)$의 함수로 이루어졌다. $t_m$모형은 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 및 불안정류상태의 통행시간의 비를 이용하여 개발하였고 가로 용량모형은 상류부와 하류부의 신호조건에 따른 변수와 가로길이를 변수로 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12개의 연동가로의 자료를 적용하여 연동으로 운영되는 가로의 통행시간 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통행시간 모형은 도로용량에 제시한 모형에 비하여 간단하게 가로의 통행시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교통계획에 적용되는 통행시간모형 비하여 가로의 신호 및 운영조건을 포함한 세부적인 통행시간 모형이다.

  • PDF

A Study on Trip Chain Typed Selection Behavior (통행사슬유형 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 Bin, Mi-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3
    • /
    • pp.7-19
    • /
    • 2011
  • Using 2006 metropolitan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this study analyzes trip behaviors based on a concept of trip chains using both trip purpose and number of trip linkages. For the analysis, trip chain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including commute trips. Each group is further classified into a single linkage (i.e., Origin-Destination trips without any intermediate stop-by) and multiple linkages (Origin-Destination trip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stop-by). The analysis is conducted using the two-step Nested Logit Model. Computational result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and multiple linkages show that the young, male and office employee drivers tend to have more multiple linkages than single linkages in their trips. In contrast, it is shown that a driver whose monthly income is less than 3,000,000 Korean Won with a longer commute time more likely to make a trip chain with single linkages (p<0.0001).

Development of the Reliability Traffic Assignment Model based on the Travel Time Variation (통행시간변화를 고려하는 신뢰도통행배정모형 개발)

  • 문병섭;이승재;임강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69-78
    • /
    • 1999
  • This paper defines the reliable based route choice Principle and formulates the reliability based equilibrium traffic assignment using the Principle. The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difference of travel demand and capacity using the interference theory of the system engineering. An efficient solution a1gorithm based on Frank-Wo1fe algolithm is Presented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reliability based traffic assignment with conventional travel time based assignment using small and large scaled road networks. The results show that reliability based traffic assignment converges to equilibrium solution in a reasonable computing time. The equilibrium link flows between reliability and travel time based traffic assignment differ each other in the sense that reliability based assignment is assigned based on the maximum difference of travel demand and link capacity whilst travel time based is assigned on the shortest travel time.

  • PDF

A Path Travel Time Estimation Study on Expressways using TCS Link Travel Times (TCS 링크통행시간을 이용한 고속도로 경로통행시간 추정)

  • Lee, Hyeon-Seok;Jeon, Gyeong-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5
    • /
    • pp.209-221
    • /
    • 2009
  • Travel time estimation under given traffic conditions is important for providing drivers with travel time prediction information. But the present expressway travel time estimation process cannot calculate a reliable travel ti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ath travel time spent in a through lane between origin tollgates and destination tollgates on an expressway as a prerequisite result to offer reliable prediction information. Useful and abundant toll collection system (TCS) data were used. When estimating the path travel time, the path travel time is estimated combining the link travel time obtained through a preprocessing process. In the case of a lack of TCS data, the TCS travel time for previous intervals is referenced using the linear interpolation method after analyzing the increase pattern for the travel time. When the TCS data are absent over a long-term period, the dynamic travel time using the VDS time space diagram is estimated. The travel time estimated by the model proposed can be validated statistically when compared to the travel time obtained from vehicles traveling the path direct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utilized for estimating a reliable travel time for a long-distance path in which there are a variaty of travel times from the same departure time, the intervals are large and the change in the representative travel time is irregular for a short period.

A Study on Trip Generation Model considering Trip-chaining by Behavioral Homogeneous Person Group ("유사 통행행태 집단"의 Trip-chaining을 고려한 통행발생 모형)

  • Lee, Seon-Ha;Yun, Jin-S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D
    • /
    • pp.709-716
    • /
    • 2006
  • The rapid changes of family structure such as singles, working couples and so on have effects on a travel behaviour. One of the characteristics from this is the increasing portion of trip-chain, in which plural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a "single outgoing" travel. Therefore travel must be considered as location change to conduct various activities instead of pursuing single travel purpose. This paper specifies a behavioral homogeneous person group by a job, a possession of cars.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of person groups and their activity diary, the sequence, time and travel mode of activities in a day can be verified. As a case study household survey was conducted in city Kongju.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classification of behavioral homogeneous person group based on criteria like employment status and car ownership bring a good result to forecast trip generation in traffic zone.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raveler's Mode Choice (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특성이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

  • Gwon, Se-Na;Kim, Hyeong-Jin;Son, Bong-Su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7.02a
    • /
    • pp.181-19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raveler's mode choice - private car, bus, and subway - by developing multinomial legit model for commuting and shopping trips respectively. In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commuting trip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fluencing shopping trips. The research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on the individuals' travel mode choice can find these variables have a significance.

  • PDF

Analysis of Trip Generation Behavior Based on the Multiday Travel Data (일기식 개인통행행태를 고려한 통행발생 예측)

  • 민연주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73-8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주일간 조사된 개인통행행태를 고려한 각 특성별 통행발생예측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일주일간 통행빈도수의 차이를 고려한 집단간 차이를 검정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특성별 개인 통행발생예측 모형을 정립하였다. 전체 표본의 각 특성별 개인 내부 변이성을 분석해 본 결과 기간의 차이에 따른 개인 통행행태의 변화는 직업별, 나이별, 성별, 차량소유 유무, 주택소유 형태, 통행목적, 통행수단, 가구원수에 따라 집단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변수를 이용한 통행발생 예측모형의 분석결과 개인소득이 높을수록, 주책을 자가로 소유한 경우, 자동차를 소유한 경우, 학생일수록, 유직일수록 개인 통행발생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아니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통행수가 적어졌다.

  • PDF

A Transit Assignment Model and Transit Passenger OD Estimation from Passenger Counts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 및 통행량 기반 대중교통 기종점 통행량 추정)

  • 이신해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2002.02a
    • /
    • pp.45-77
    • /
    • 2002
  • 교통혼잡 문제가 점점 심각해짐에 따라 대중교통의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며, 대중교통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이 속속 입안되고 있어 대중교통을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는 틀의 개발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과 대중교통 기종점통행량(OD) 추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의 개발부분에서는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이 개별차량과 다른 대중교통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최적경로 탐색에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통행량 배정에는 로짓모형을 기반으로 한 확률적 통행량 배정모형(Stochastic Network Loading Model)을 이용하여 TATSN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중교통 기종점통행량의 추정은 전통적인 기종점통행량 추정 방법인 기종점조사 방법이 시간과 비용이 과대하게 소요된다는 단점을 인식하여 관측통행량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network model for Mode Choice and Trip Assignment (통합교통망 수단선택-통행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현명;임용택;이승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5
    • /
    • pp.87-98
    • /
    • 1999
  • 전통적인 교통계획 과정에서 이용되어 온 수요모형들은 대부분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을 나누어 실시하는 모형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교통수단이 다양해짐에 따라 실제 통행자들은 통행 도중 환승을 통해 수단을 전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수단선택 과정과 통행배정 과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종점간 수단 분담율은 기점과 종점에서의 그 값이 다르지만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이 분리되어 있는 기존 모형을 적용할 경우, 출발과 도착시의 수단 분담율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비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통행수단을 통행의 기본단위로 보고, 수단통행량을 추정하기 때문에 그 수단을 이용하는 통행자들의 행태 대신 수단의 특성만이 모형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교통계획 과정에서는 수단분담 과정과 통행배정과정이 분리됨에 따라 수단간 환승이 고려되지 않아 통행자들의 경로 구성과정을 정확히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수단분담 모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로짓 모형의 경우 환승을 고려하면 비관련 대안간 독립성문제(CIA)가 발생하고, 환승경로 수요추정이 불가능해 사실상 통합 교통망과 같이 복수 수단이 운행하는 교통망은 분석하기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통행(Person Trip)을 기반으로 하는 수단분담-통행배정 통합모형을 개발하고 기존의 결합모형과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Multiple User Class Traffic Assignment based on Variational Inequality Formulation in Variable demands (변동부등식을 이용한 가변수요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문제의 해석)

  • 임용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153-161
    • /
    • 2002
  •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Multiple User Class Assignment) 문제란 교통망을 이용하는 통행자들이 이질적인 통행계층으로 구성된 경우, 이들 각 계층의 통행수요를 교통망에 배정하는 문제를 의미한다. 이는 기존 통행 배정모형들이 모든 통행자의 통행특성이 동질적이라고 가정함으로서 발생하는 불합리한 통행배정 결과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최근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사업에서 교통정보제공시스템이 구현될 예정임에 따라, 교통정보를 제공받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간의 영향을 분석하거나 혼잡통행료부과 등과 같은 교통관리전략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모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사용자계층 통행배정모형의 경우, 사용자간의 상호영향으로 통행비용함수의 1차 편미분행렬(Jacobian matrix)이 비대칭(Asymmetric)이 되어 동등 수리최소화문제(Equivalency mathematical Minimization program)로 구성할 수 없고 또한 수치적으로 풀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모형식과 알고리듬을 제시코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은 2가지 특징이 있다. 먼저, 각 사용자 계층간의 상호영향을 모형내에 반영하며, 기종점쌍간의 통행시간변화에 따른 수요변화를 고려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변동부등모형(Variational Inequality Model. VI)으로 문제를 구성하며, 이에 대한 해석 알고리듬도 제시한다. 또한, 변동부등모형으로 구축된 다사용자계층 모형이 다사용자계층 균형조건과 동일함을 보여주는 동등성조건(Equivalency condition)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