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종양학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8초

암 치료에서의 침술의 가치 (The Value of Acupuncture in Cancer Care)

  • 최정은;조종관;이연월;유화승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7
    • /
    • 2010
  • 암 환자에의 침술 임상 연구는 종양학에서 새롭고 도전적인 분야이다. 임상 연구 결과는 환자와 종양학자들을 위한 임상적으로 타당한 답변을 우리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침은 환자들에게 그들의 치료 계획에 활동적으로 참가할 수 있는 능력을 주면서 암과 암 치료관련 증상을 다루는데 안전하고 유효한 치료법이라는 일반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미래의 연구는 임상 연구가, 임상의사, 그리고 환자의 연루를 요구한다. 혁신적 연구 방법의 발전 역시 중요하다. 더 많은 증거가 지속적으로 나오면서 종양 침술이 결국에는 종양학적 치료행위의 표준에 통합될 것이 기대된다. DFCI와 기타 주요 암 센터와 같은 주요 대학병원과 연구기관 에서의 침술의 성공적인 통합은 암 치료에 있어 침의 가치와 소용을 강조한다.

  • PDF

SCK 종양세포에 있어서 내열성과 Heat Shock Protein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rmotolerance and Heat Shlock Proteins in SCK Tumor Cells*)

  • 강만식;이정주이봉근고득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1-310
    • /
    • 1987
  • 본 실험에서는 반SP와 thermotolerance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 SCK 종양세포에서 heat(45$^{\circ}$, 46$^{\circ}C$)처리가 단백질 합성과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heat 처리를 받은 세포는 HS$\ulcorner$(70K, 87K)를 측이하게 많이 합성했으며, 다음 heat를 받았을 때는 높은 생존율을 꼬였다. 그리고 이러한 thermotolerance가 생성되고 감퇴되는 kinetics는 HSP가 합성되고 감퇴되는 kinetics와 연관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HSP는 heat shock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 각된다. 아울러, glycerol을 처리하여 HSP의 합성을 봉쇄시켰을 경우에도 열에 대해 저항성을 갖게 되는 실험결과로 미루어, 세포가 갖게 되는 heat resistance에는 (1) HSP의 합성을 초래하지 않는 요인에 의해 유도되는 heatprotection과 (2) 열처리 등의 결과 합성되는 반SP에 의해 유도되는 thermotolerance의 두가지 경우가 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 PDF

생쥐의 섬유아세포와 SCK 종양세포의 Heat Shock Protein과 열감수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ets of Environmental pH on the Heat Shoek Proteins and Thermosensitivity of Mouse Fibroblasts and SCK Tumor Cells*)

  • 강만식;이정주서미영고득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1-323
    • /
    • 1987
  • 생쥐의 섬 유아세포(MEP)와 종양세포(SCK)를 이용하여 정상세포와 종양세포 사이에 열 감수성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 및 환경의 pH가 이 세포들의 열감수성과 heat shock protein(HSP)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생존곡선과 HSP합성 kinetics등을 써서 검토하였다. MEF와 SCK 세포를 정상 pH(7.4) 또는 산성 pH(6.7)에서 42"C에서 2시간 온열처리 후 3일간에 걸쳐 생존을을 비교해 븐 결과, ME선와 SCK세포 사이에 생득적 열강수성의 차이는 없었고 산성 P광에서는 세포의 종류에 관계없이 열감수성 이 증감되었다. 온열처리의 결과 유도되는 내일성이 conditioning Leat의 크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보기 위해서 45"C에서 5분 또는 20분을 주어본 결과 체은 conditioning heat를 주었을 때 내일성이 신속히 그리고 높은 수준으로 발생하였고, 이러한 열 감수성의 kinetics는 HSP의 합성 kinetics와 잘 일치하였다. 단백질, 특히 HSP 합성에 미치는 PH의 영 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46"C에서 6분간의 heat shock를 주어 본 바 전반적인 단백질 및 major HSP의 합성양상에는 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SCK 세포에 43"C에서 30분의 온열처리를 주고 새로 합성되는 HSPSP의 kinetics를 검토해 본 결과 정상 P반에서는 0-5시간에 합성이 일어나나 산성 PH에서는 3-9시간에 합성이 일어나서 몇시간의 합성지연이 관찰되었다. 아울러 HSP68, HSPTC, HSP87을 Peptidemapping하여 본 결과 HSP68과 HSP70 은 유사한 peptide fragment pattern을 보여 amino acid sequence는 유사하고 기능도 같을 것으로 추론되었으나 HSP87은 전혀 다른 pattern을 보였다. 전혀 다른 pattern을 보였다.

  • PDF

생쥐 대식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과 종양 치사활성에 미치는 Polyamine 생합성 억제의 영향 (Effect of Polyamine Biosynthesis InhibItion on the Microbicidai and Jumoriddal Activities in Mouse Macrophage)

  • 이준백;정노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3-180
    • /
    • 1991
  • 생쥐 대식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과 종양 치사활성에 미치는 Polyamine 생합성 억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ornithine의 억제제인 $\alpha$ -Difluoromethylomithine (DFMO)과 S-adenosylmethionine decarboxylase의 억제제인 methylhlyoxal bis(guanylhydrazone)(MGBG)을 in vitro 또는 in vivo에서 처리하였다. 대시세포의 감염균 치사활성의 지표로서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과 nitroblue tetrazolium(NBT)의 환원정도를 측정한 결과, 염증유발물질인 thioglycollate(TG)와 세균이 세포내 독소인 liopopolysac- charide(LPS)를 주사하였거나 BCG를 감염시킨 후 측정된 화학 발광의 수준은 TG, LPS, BCG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런 화학발생의 수준은 DFMO를 경구투여 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감소하였고, 이 세포에 의한 NBT 환원정도 또한 DFMO와 MGBG의 in vitro 처리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한편 BDG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의 종양 괴사인자분비에 의한 종양치사 및 종양세포와의 부착에 의한 직접적 치사정도를 측정한 결과, polyamine생합성억제제의 처리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그 정도는 감소하였지만, 외부에서 polyamine인 putrescene을 처리 하였을 때 회복되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대식세포내의 polyamine 생합성은 이 세포의 최적 활성화와 과정에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V40 바이러스로 형질전환된 사람종양세포의 특성 (Proporties of SV4O-transformed Human Cells)

  • 최경희;홍승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9-55
    • /
    • 1988
  • SV80와 같은 SV40로 형질전환된 사람세포는 종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면역기구인 흉선이 없는 누드마우스에서는 거부반응을 일으켜 종양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WI18/VA-2세포는 누드마우스에서 종양을 일으키며 이에서 얻는 두클론중 NW18C11은 종양을 일으키나 NW18C12는 종양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실험에서는 이들 두 클론의 차이점들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NW18C11은 NW18C12보다 더 많은수의 SV40 sequence를 포함하고 있음을 southern blot방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또한 immunofluoresce와 immunoprecipitation방법을 사용하여 두 클론 모두 정상크기의 SV40유전자산물인 large T와 small t 단백질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두 클론내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러스유전자가 비형질전환새포로 하여금 생체내에서 악성종양 형성능력을 획득하도록 형질전환시킬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두 클론의 DNA를 추출하여 마우스 NIH3T3세포에 주입시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하였다. 이 세포들은 모두 large T단백질을 생성하였으며 누드마우스에서 종양을 일으켰다. 이들 결과로써 NW18C12세포의 형질전환능은 완전하며, 이 세포가 누드마우스에서 거부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통합 종양학 시술 지침 (Integrative Oncology Practice Guidelines)

  • 유원승;이종훈;이연월;조종관;유화승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7-65
    • /
    • 2007
  • The Society for Integrative Oncology (SIO) i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established to encourage scientific evaluation, dissemination of evidence-based information, and appropriate clinical integration of complementary therapies (http://www.Integrativeonc.org.). Practice Guidelines were developed by the authors listed below and by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Society for Integrative Oncology, which approved this document. Guidelines are a work in progress; they will be updated as needed and are available on the SIO Web site as well: www.IntegrativeOnc.org.

  • PDF

배종양 세포와 체세포 간의 융합 세포에서 X 염색체 재활성화의 조절과 성염색체에 대한 상염색체 비율의 결정 (Control of X Chromosome Reactiva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Ratio of Sex Chromosome to Autosome in Embryonal Carcinoma Cell-Somatic Cell Hybrids)

  • 이광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5-88
    • /
    • 1996
  • OTF9-63 (OTF9)와 P19S1O1A1 (P19) 배종양 세포들의 체세포에 존재하는 불화성 X 염색체의 재활성과 유발 능력을 조사하였다. 배종야 세포와 체세포들의 융합에 의해 얻어진 HATr 클론들의 형태, 염색체 복제 양상을 비롯하여 X 염색체에 존재하나 그 위치는 상당히 먼 유전자들인 Hprt와 Pgk-1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OTF9 세포는 불활성 X 염색체를 재활성화 시킬 수 있는데 반해 P19 세포는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유합세포는 장기간 배양되었을 때 성염색체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결국 1:2의 성염색체:상염색체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배종양 세포-체세포 융합세포의 이용은 초기 배발생 과정에서 시작되어 난자형성 과정의 감수분열 전까지의 유지되는 X 념색체의 재활성화 기작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방법을 제공한다.

  • PDF

토모테라피와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동일 부위의 치료 시 종양 및 정상조직의 흡수선량 평가 (Incase of Same Region Treatment by using a Tomotherapy and a Linear Accelerator Absorbed Dose Evaluation of Normal Tissues and a Tumor)

  • 천금성;김창욱;김회남;허경훈;송진호;홍주영;정재용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7-103
    • /
    • 2010
  • 목 적: 상이한 치료장비를 이용하여 동일 부위에 중복하여 방사선치료 시 전산화치료계획장치간에 호환이 되지 않아 정상조직(Normal Tissue)의 총 흡수선량에 대한 평가의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모테라피(Tomotherapy)와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를 이용하여 동일 부위를 중복 치료할 때 환자가 받는 선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체모형팬텀(Anthropomorphic Phantom)을 대상으로 종양 및 정상조직을 묘사하여 선형가속기 치료계획장치 (Pinnacle 8.0: RTP)로 종양에 45 Gy 선량을 처방하고, 토모테라피 치료계획장치에서 종양에 15 Gy 선량을 처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토모테라피에서 수립된 치료계획을 통합가능 치료계획장치(Oncentra: RTP)에 전송한 후 동일한 조건으로 토모테라피 치료계획을 재현한 후 선형가속기에서 치료한 45 Gy를 합하여 총 선량 60 Gy의 치료계획을 구현하였다. 흡수선량 평가를 위해 두 개의 방사선 치료계획장치에서 얻어진 흡수선량(최소, 최대, 평균 선량) 및 관심 선량체적에 대해 서로 합(Total)한 값과 하나로 통합(Integration)하여 얻어진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원에서 치료받은 환자 중 선형가속기와 토모테라피로 동일 부위에 치료 받은 5명(두경부 2명, 복부 1명, 골반부 2명)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종양 및 정상 조직의 흡수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인체모형팬텀에서 하나로 통합하여 얻어진 값과 서로 합한 값의 비교에서 최소선량은 비장(Spleen, 12.4%), 최대선량은 소장(Small bowl, 10.2%)과 척수(Spinal cord, 5.8%)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두경부 환자의 경우 최소선량은 구강(Oral cavity, 20.3%), 오른쪽 수정체(Rt lens, 7.7%)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최대선량은 척수(22.5%), 뇌간(Brain stem; 12.0%), 시 신경교차(Optic chiasm; 8.9%), 오른쪽 수정체(11.5%), 하악골(Mandible bone, 8.1%), 뇌하수체(Pituitary gland, 6.2%)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복부 환자의 경우 최대선량은 왼쪽 신장(Lt kidney, 20.3%), 위(Stomach, 8.1%)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고, 골반 부위 환자의 경우 최소 선량은 방광(Bladder, 15.2%), 최대선량은 소장(5.6%), 방광(5.5%)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동일 부위 방사선치료계획 시 정량화되지 못했던 신장의 20 Gy를 받은 체적($V_{20}$)에서 37%, 간(Liver)의 25 Gy를 받은 체적($V_{25}$)에서 23%가 선량체적히스토그램(DVH)에서 나타났다. 결 론: 하나로 통합하여 얻어진 값과 서로 합한 값의 비교에서 최소선량은 높게, 최대선량은 낮게, 평균선량은 동일한 값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심장기의 선량 체적($V_{20}$)보다 낮은 선량을 처방했을 때 구현하지 못했던 종양 및 정상조직의 흡수선량에 대하여 평가를 할 수 있었다. 향후 상이한 치료 장치들을 이용한 동일 부위 치료 시 흡수선량의 통합 평가뿐만 아닌 정확한 선량분포를 구현할 수 있는 치료계획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지며, 이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한다.

  • PDF

방사선치료를 받는 말기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완요법 (Bedside Teaching of Relaxation Techniqu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 김상원;전미선;김효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3호
    • /
    • pp.256-261
    • /
    • 2016
  • 방사선치료는 암과 관련된 증상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정확하고 안전한 방사선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방사선이 나오는 동안 치료 테이블 위에 가만히 누워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기질적인 문제 외에 심리적인 문제에서 기인한 증상으로 인해 가만히 누워 있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모의치료 단계 전부터 치료 테이블에 바로 누워 있지 못했지만 별 다른 장소에서의 교육 참여 없이 침상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이완요법을 배워 방사선치료 하는 동안 가만히 누워 있는 게 가능했던 두 명의 말기암환자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종양세포 표면항원에 대한 분자면역학적 연구(II) 백혈병세포의 발생과 세포분화에 관한 연구 (Immunological Studies on the Surface Antigens of Tumor Cell (II) Introduction to Immunological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Cell Differentiation of the Leukemia Cell)

  • 김한도;김정락박병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69-478
    • /
    • 1991
  • The CALLA on the surface of leukemic cell lines, recognized by our monoclonal antibody. KP-22(IgG1, K) was one of cell surface glycoproteins having moi. wt. of approximately 100,000 dalton, and could be shed in spent medium or endocytosed when binding the cognate antidoby, KP-22. In the presence of cognate antibodies, 60% of CALLAS recogniEed by KP-22 MAs were modulated and cleared from the cell surface during 24 hrs, and approximaetely 35% of them was endocytosed and 25%, was shed in spent medium. The reappearance of the membrane CALLA after modulation by the KP-22 required at least 6 hours and supposed to be newly synthesized molecu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