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운영학교

Search Result 16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통합운영학교의 운영 실태 및 성과에 관한 연구 -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Operation Condition and Performance of Integrated Operation School -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

  • 이지유;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4호
    • /
    • pp.50-59
    • /
    • 2020
  • 통합운영학교는 1998년 8개교를 운영함으로써 국내에 도입되어 현재 106개교로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통합운영학교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 각자 다양한 문제점들이 지적되었으나 오늘날에도 이러한 지적사항들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운영학교의 개념, 배경, 최근현황, 유형 등을 전반적으로 정리한 후, 문헌조사를 통하여 통합운영학교의 문제점을 교육과정의 측면, 교원관리의 측면, 학생관리의 측면, 교육시설 운영 및 관리의 측면, 법률 및 정책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통합운영학교의 우려되었던 점과 실제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비교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정리하였다.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학교-공공 통합형 도서관 운영사례 -강남구립 학교전자도서관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of Gangnam-gu)

  • 한윤옥;이승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82
    • /
    • 2003
  • 서울의 강남구청에서는 2001년 9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15개 초등학교에 학교전자도서관을 설치하여 학생은 물론 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빈교실만 제공하고, 운영인력과 운영비는 모두 강남구청에서 지원하고 있다. 이것은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일종의 학교-공공통합형 도서관이며, 이와 같은 통합형도서관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양 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서울 강남구청에서 자체예산으로 설립한 학교전자도서관의 운영 상태와 이용만족도를 조사, 평가함으로써 학교-공공통합형 도서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모델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통합도서관 운영에 대한 조사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Operations of Joint Use Libraries)

  • 김성은;김기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48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지역 주민에게 개방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통합도서관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통합도서관의 주요 두 이해관계자인 자치행정기관과 학교에서 통합도서관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 사서를 대상으로 각각 전화인터뷰와 면대면 비구조화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기능 측면에서 통합도서관을 살펴보기 위해 특히 장서와 관련된 운영 측면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통합도서관이 자치행정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으면서도 학교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하였고, 문제 해결을 위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PDF

모바일 기반 초등학교 통합 학급 운영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Mobile-Based Integration Class Management System in the Elementary School)

  • 조윤섭;이수정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67-275
    • /
    • 2005
  • 특수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지도 방법의 이해 부족 및 특수아동의 학부모와의 상담여건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은 일반학생들의 지도와 병행한 특수아동의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모바일 환경 속에서의 통합학급운영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첫째, m-Learning환경에서 특수아동을 지도하는 통한학급교사에게 시간적, 공간적으로 효율적인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하는 폰페이지를 구성하였다. 둘째, 무선인터넷의 특징인 즉시성, 편재성, 보안성을 갖는 모바일환경의 폰페이지에 학부모와 특수아동에 대한 정보 교환 및 상담이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아동을 통한 알림장 작성이 불가능한 특수아동을 위하여 폰페이지에 알림장을 만들고 학부모에게 학교에 관련된 정보와 학급 상황을 전달하도록 하였다. 넷째,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지역별, 또는 교육청 단위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SMS서비스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모바일통합학급운영시스템은 현장에서의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특수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특수아동의 학부모와의 체계적인 상담 기회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통합학급을 운영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 영어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 방안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Exploring the Ways of Improving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Small Rural Middle Schools)

  • 박상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92-10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학생 면담과 수업관찰을 통하여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어 권역별 2개교 씩 총10개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측면에서 통합운영학교의 학교(급) 간 교육과정 연계 미흡, 지역사회 측면에서 농어촌 지역 내 교육 시설 및 문화 공간 부족, 교사 수급 측면에서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 교사 수급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 필요와 같은 쟁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논의된 쟁점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과정 편성·운영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측면에서 내실 있는 학교(급) 간 통합운영학교 및 공동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권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사회 측면에서 농어촌 지역 내 교육 시설 및 문화 공간 부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교육 및 문화 중심지로서의 학교 공간 혁신과 학생 교육활동 안전 및 편의성 증진을 위한 교통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 측면에서 순회교사 운영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청 수준에서 교·강사 인력풀의 체계적인 확대 및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Joint-Use Libraries: Development and Effect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37-35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통합도서관에 대한 사례와 그 효과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통합도서관 설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통합도서관의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다. 통합도서관을 운영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전문인력 활용, 장서의 증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효율적인 시설활용 등이다. 반대로 단점은 학교에 위치한 통합도서관의 문제점, 협소한 공간, 소장 자료의 제한, 학교도서관 기능의 축소 등이다. 우리나라의 통합도서관이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인구수, 주민들의 통합도서관 설치 의지, 시설, 법적 문서의 존재 등의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로 농산어촌 지역에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과 소규모 시에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의 통합도서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과목 편성·운영 실태 분석 (Analysis of Realitie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신영준;곽영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64-7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을 처음 실행한 2018년 한 해 동안 통합과학 과목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258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통합과학이 어떻게 편성 운영되고 있는지,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및 평가 실태는 어떠한지, 교사공동체 운영 현황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합과학을 8단위로 편성하는 학교와 6단위로 편성하는 학교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한 학급의 통합과학 수업을 복수의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2/3정도에 이르고 있고, 아직도 강의형 통합과학 수업 방식이 대세를 있으며, 과학교사들은 경력에 따라 비전공영역 이해 부족이나 통합적 수업설계에 대한 부담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에 대한 인식 제고, 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통합과학 현장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 과학교사 자격증 체제에 대한 점검 등을 제언하였다.

RSS와 모바일을 연계한 지역 학교간 통합 커뮤니티 시스템(CUBE)의 설계 (Design of a integrated system with RSS and mobile in community schools)

  • 성영훈;유승한;이재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95-300
    • /
    • 2006
  • 대부분 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홈페이지는 대외적으로 교육활동을 홍보하고 대내적으로는 업무의 효율성과 학습자료 탑재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홈페이지간의 연계기능이 없어 각 학교의 특색있는 교육정보나 자료 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학교 활동들을 RSS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지역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안내할 수 있는 학교간 유무선 통합커뮤니티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도시지역의 통합운영학교 유형과 건축계획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es and Architectural Design of the Unified Operation School in Urban Area)

  • 이화룡;동재욱;김홍민;박민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3-9
    • /
    • 2018
  • In recent years, schools in the urban areas are also showing their interest in the integrated school and considering adapting the actual operation method. That is why decline of the school-age population is not limited to rural areas any more, and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 urban schools is raised as a social issue to reconsider the continuation of school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mall-scale schools in the urban area, the integrated school is being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Furthermore, the newly built schools in the urban development areas are also planned as the integrated schoo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s of integrated schools in urban area of developed countries and to analyze their architectural planning considerations in practice.

디자인학부 기초조형교육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Foundation Course in Design Division)

  • 문찬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
    • /
    • 1999
  • 1999년 현재 한국의 대학교는 종전의 학과 단위의 운영에서 학부제로의 통합운영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네 학부제 편성을 마친 학교와 이를 진행 또는 계획중인 학교가 상당수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