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운송시장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Analysis for Airport Network Characteristics Assuming the Integrated Aviation Market of Korea, China and Japan (공항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한중일 항공시장 통합을 전제로)

  • O, Seong-Yeol;Park, Yong-Hwa;Yun, S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5
    • /
    • pp.75-82
    • /
    • 2009
  • Air transport markets are composed of airlines' networks through their base airports. The analysis of an air transport market has been focusing on determining the efficiency or competitiveness of airports or airlines in the market using number of routes, number of passengers, transfer rates, revenues, costs, and other data. However, little work has been done in analyzing the airport network itself. Assuming the air transport market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integrated,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ing airport network. To that end, the degree of connectivity, the degree of closeness, and the betweenness of centrality are employed. The analysis shows th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better than most other airports in terms of the degree of connectivity and that of closeness. Airports in Japan, however, exhibit strong connectivity but weak closeness and betweenness of centrality. Although it has low connectivity, Shenyang Airport has a possibility of becoming an attractive point of the integrated market in the future due to its high degree of closeness.

Multilateral Approach to forming Air Logistics Hub on North East Asia Region (동북아 항공물류허브을 구축하기 위한 다자적 접근방안)

  • Hong, Seock-Ji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19 no.2
    • /
    • pp.97-136
    • /
    • 2004
  • The Northeast Asian air cargo market has expanded tremendously as a result of the opening up of the Chinese market. The importance of the Asia-Pacific region in the global air transport has also increased. The exchang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ervices, and information in Northeast Asia,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near future, requires that the airlines operating within this region adopt a more liberalized approach. This paper introduced alternativ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Northeast Asian airlines industry so as to bring about the integration of regional air transport: First, this paper found a need for individual Northeast Asian nations to alter their policies towards the airlines industry. Second, each country should further liberalize their respective domestic air transport. Third, there is a need for freer air service agreements to be signed between the nations of Northeast Asia. Fourth, the strategic alliances between the airlines operating in Northeast Asia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Fifth, this liberalization process should be carried out in an incremental manner, beginning with more competitive airports and routes, or with less-in-demand routes. Sixth, there is a need for a shuttle system to be put into place between the main airports in China, Korea, and Japan. Seventh, these three nations jointly develop aviation safety and security systems that are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Eighth, the liberalization process of the aviation industry should be undertaken in conjunction with other related fields. Ninth, organizations linking together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n the Asia-Pacific area should be formed, as should each government linking together. By doing so, these countries will be able to establish regular venues through which to exchange opinions on the integration and liberalization of the air cargo market so as to induce the gradual liberalization of the actual market. The liberalization of the air transport in Northeast Asia will prove to be a daunting task in the short term. However, if the Chinese airlines continue to exhibit continuous growth and Japanese airlines are able to complete their move towards a low-cost structure, this process could be completed earlier than expected. Over the last twenty five years the air transport has undergone tremendous changes. The most important factor behind these changes has been the increased liberalization of the market. As a result, rates have decreased while demand has increased. This has resulted in turning the air transport industry, which was long perceived as an industry in decline, into a high-growth industry. The only method of increasing regional exchanges in the air transport is to pursue further liberalization. The country which implements this liberalization process at the earliest date may very well emerge as a leading force within the air transport industry.

  • PDF

Logistics Strategy of Promotion for the B2B EC (기업간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물류혁신전략)

  • Lee, Kwang-Beom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3 no.1
    • /
    • pp.197-223
    • /
    • 2001
  • 최근 B2B 전자상거래 확산에 따른 물류문제를 해결하고 오프라인 물류와의 차별화롤 시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물류측면의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먼저 물류산업 자체의 e-business화를 추진함으로 기존 물류체계에서의 고비용 문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서비스 문제를 해결하고 운송정보의 실시간 제공을 통한 발주자, 화주자 간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 형성과 해외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물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다음으로 물류업종의 지나친 세분화, 기존 물류업체의 영세성과 혁신마인드의 부족, 그에 따른 제조 유통업체의 경쟁적 자가물류 확충의 악순환으로 제3자 물류시장 성장기반이 제한되어 오는 등 구조적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주요 운송업체가 영세한 화주나 창고관리 위탁업무까지 대행하여 주는 지금까지의 제3자 물류 체제에서 대기업이 물류시장에 새롭게 진출하면서 사이버 물류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존 주요 운송업계와 VAN 사업자가 장악하고 있는 물류정보 서비스를 주도하는 제4자 물류체제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SCM과 전자상거래 환경 하에서는 공급 망 내의 물류를 최적화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기능적 아웃소싱의 단계를 거쳐 물류기능의 통합과 운영의 자율권이 증대, 전체적인 공급연쇄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함께 기업의 경영자원, 능력, 기술을 관리하고 결합하는 공급연쇄 통합자로서 제4자 물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제4자 물류체제가 본격 형성될 경우 물류정보와 인프라가 복잡하게 업혀있는 기존 물류산업이 재편되고, 특화된 물류솔루션을 바탕으로 한 산업별 물류체제 구축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견되며, 일반기업 입장에서 물류부문의 아웃소싱이 촉진되어 물류산업기반이 확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Operation Process and Management Plan for Tank Container (Tank 컨테이너 운영프로세스 및 관리방안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Dong-Jin;Kim, Hwa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91-192
    • /
    • 2019
  • The transport market has continued to change to provide services for each cargo. Currently, tank containers are widely used for the transport of liquids, and the tank container transportation market is continuously growi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handling for tank containers is also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process and management method ba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e current tank container transportation market. Therefore, this is paper suggests that an integrated system is needed to eliminate the period of information disconnection, secure information continuity,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aging dangerous goods.

  • PDF

창업 물류서비스기업의 사회적 교환행동과 경영성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 Go, In-G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65-170
    • /
    • 2021
  • 최근의 코로나19 사태로 관광·항공업계가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항공업계의 대안 중 하나는 화물운송이다. 항공사들은 여객수요 급감으로 인한 매출감소 폭을 줄이기 위하여 화물운송 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항공화물운송은 타 운송과 구분되는 제반 특성으로 인하여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항공화물운송 대리점(forwarder)은 수출과 수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중요한 비즈니스 파트너인 항공사와 수출입자와 우호적인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계속 유지해야 한다. 사회적 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은 이러한 관계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거래당사자 간의 거래규모나 거래기간, 거래빈도 등의 유형적인 측면도 중요하지만, 신뢰와 몰입, 애착 등의 무형적인 측면의 교환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류서비스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규명하고 운송기업 및 화주기업과의 사회적 교환행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한다. 둘째, 이러한 사회적 교환행동이 물류서비스기업의 다양한 경영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각 구성원 간의 관계기간에 따라서 이러한 영향력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많은 기존연구에서 구분되었던 신뢰(trust)와 몰입(commitment) 개념을 통합함으로써 연구모형의 간결성(parsimony)과 실용가능성(practicality)을 제고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운송기업 및 화주기업에 대한 물류서비스기업의 사회적 행동이 신뢰에 기반한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지, 경영성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관계기간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창업 물류서비스기업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connective method for efficient e-marketplace of cyber shipping trade (사이버 해운 거래의 효율화를 위한 e-Marketplace의 연계 방안)

  • 한계섭;최형림;박남규;김현수;박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49-166
    • /
    • 2002
  • 국내·외 사회 전 분야의 급속한 전자상거래 발전에 따라 해운·항만 분야에도 인터넷 사업의 진출기회가 확대되고 전략적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터넷을 기반으로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기업의 활동 범위가 광역화되고 있으며, 시간과 장소의 통합이 기업간 거래에서 중요시 되고 있다. 지금 세계 각 국은 해상연계 물류, 무역 등 물품의 중개 관련 사이트 및 선박 운송에 따른 각종 해운관련 서비스를 가상 공간에서 제공하는 사이버 해운 시장의 선점 및 구축에 모든 힘을 쏟고 있다. 해상 운송에 따른 각종 수송서비스를 생산, 공급하는 경제활동을 해운 활동이라 한다. 해운 시장의 불확실성, 다변성, 국제성, 개방성을 특성으로 하는 해운 거래는 전자상거래를 통해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즉, 해운 거래의 비용 감소와 양질의 서비스로 선주, 화주 등 거래 당사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오프라인상의 해운 거래소가 사이버 해운거래소로 옮겨질 예정이다. 가상 공간을 통한 해운 거래의 구체적인 장점은 다음과 같다. 구매업체는 기존 공급업체에 대한 접근 및 새로운 공급업체의 확보가 용이하며, 경쟁 입찰 등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물품을 구입할 수 있다. 판매 업체의 경우 채널 확장이 가능하며 판매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e-Marketplace의 입장에서 보면 해운 산업 전체를 위한 새로운 시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수익 창출도 가능하다. 이러한 해운 거래의 B2B e-Marketplace의 출현은 향후 해운 거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사이버 해운 거래소는 선박 매매와 용선, 화물 거래를 위한 선·화주의 연결, 표준화된 카탈로그 구축, 각종 전자문서 생성, 전자 결제, 온라인 보험 가입, 해운 선용품 판매 및 관련 정보 제공 등 해운 거래를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e-Marketplace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에 대해 해운 관련 업종별로 제시하고 있다. 리스트 제공형, 중개형, 협력형, 보완형, 정보 연계형 등이 있는데, 이는 해운 분야에서 사이버 해운 거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업종간 협업체제를 이루어 원활한 거래를 유도할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나라가 동북아 지역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해운 국가 및 물류 ·정보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A Design of Internet-Based Safety Guarantee Global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Framework (인터넷 기반의 안전보장 글로벌 통합물류관리시스템 프레임워크 설계)

  • Hong, Ho-Seon;Hong, Ki-Sung;Lee, Chul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5
    • /
    • pp.103-111
    • /
    • 2013
  • This paper provide a framework for an IGILMS(internet-based global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which can access and mediate cargo transportations among small- and medium-sized domestic/international logistics corporations as regards cargo, registration and search for space, public tender and negotiation, contract, payment and safety-guarantee, transportation through the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r smart phone etc. In addition, we describe a model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in the B2B e-market for IGILMS and the structure and the control of its fulfillment process, and provide technical architecture of the IGILMS for an internet-based global logistics management system. To validate an efficiency of the proposed system, we develop a simulation model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Correlations between Air Freight Logistic Service and Business Performance of Forwarder (항공화물 물류관리 서비스와 경영성과의 상관성: Forwarder의 수익률 효과분석)

  • Kim, Joong-Kwa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6 no.1
    • /
    • pp.145-161
    • /
    • 2014
  • The study has try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irfreight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international forwarding practice which has focused to figure out the mediating role of performance that measured as subjective evaluation on profit.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performed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cedure of the air freight service quality was found to have not only direct influence but also indirect impact through performance on satisfaction. This research made some contribution both academicals and logistic practices. Academically, it is the first research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freight service quality and profit performance in Korean academic field. Practically, this study provides justification for the investment to improve forwarding service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bear some implications on international shipping and practice. The quality of the air cargo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for customer satisfaction and its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process to make an empirical identifies.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working-level analysis to derive the performance as transportation management,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customer satisfaction for quality and promote a point. Arrange this point take advantage of air cargo companies are composed of service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dimension of course aims to foster a competitive advantage in terms of performance. This paper suggest that real-time movement of the consignment route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verification and business cooperation for the purpose of proper features a reflecting on the stability of cargo air freight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on this performance to increase the customer satisfaction strategy in connected getting and so on, is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 PDF

Research of Human Factors Application and its Standards Trends i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지능형교통체계에서의 인간공학 적용 및 표준화 동향에 관한 연구)

  • Cha, Du-Won;Park, B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2
    • /
    • pp.77-90
    • /
    • 1998
  • 첨단교통관리시스템, 첨단교통정보시스템, 첨단대중교통시스템, 첨단화물운송시스템, 첨단차량 및 도로시스템으로 구성된 한국형 ITS는 적절히 설계, 전개, 운용된다면, 교통체증, 연료, 비용, 공해, 사고 등의 감소와 함께 운전자의 수행도 및 효율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운전자 및 조작자의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들에 대한 중요성 및 시스템의 통합이 중요한 요건으로 작용되며, 인간공학은 이러한 과정에 있어 운전자 및 시스템조작자의 물리적, 인지적 한계를 규명하고 이를 시스템 설계에 반영하는 설계 가이드라인 작성에서 실제 평가까지의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즉, TMC, AVHS 등의 시스템과 함께 주요한 차내 정보시스템인 항법장치, HUD, RDS-TMC등에 걸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인간공학은 각각의 시스템뿐만 아닌 전체 ITS의 성공적인 시장성 확보와 전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ISO TC 204 등에 의해 수용되고 있는 인간공학 표준화작업은 장차 ITS의 국제시장 진출 및 산업화를 위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TS에서의 이간공학 적용 및 표준화 동향을 제시함으로써, 한국형 ITS의 인간공학 적용 및 표준화 연구를 위한 기반적인 내용의 제공과 함께, 국내의 연구 및 표준화 작업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Outcome of International Trade Practice in Commitment of Electronic Trade (전자무역의 몰입이 무역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eong-Ho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4 no.4
    • /
    • pp.545-562
    • /
    • 2012
  • This study tried to analyzed the relationship outcome and commitment in order to suggest to a outcome for commitment decision-making of e-trade. 6 hypothesis were constructed for analysi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review.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se on electronic trade practice outcome on the international trade practice commitmen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utcome determinants of e-trade commitment. There are 250 sended samples and 188 returns, 168 of them are analyzed on commitment for a electronic trade outcome. The first, multiple regression result shows that the international trade practice outcome a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Overseas market research commitment", "e-L/C Practice commitment", "Clearance Practice commitment", "e-B/L or global logistic commitment", "Payment or e-Nego commitment". However, The "Commerce practice commitment" factors does not affect in the electronic trade practice outc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