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증 자가 조절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4초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일부 일반사무직, 서비스직, 교직원을 대상으로-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and teachers)

  • 서의경;김순덕;이준영;임재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563-576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업무형태에 따른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과 업무 시 노출되는 직무스트레스 및 구강 내 악습관이 측두하악장애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아 보건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과 경기 일부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사무직, 서비스직, 교직원으로부터 편의 추출된 45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된 3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측두하악장애의 증상, 하악사용에 관한 구강 내 악습관, 직무스트레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정도를 구분하기 위해 설문지의 양성응답 수의 빈도에 따라 무증상인 1단계에서 양성응답 수가 가장 많은 4단계 까지 총 4그룹으로 나누었다.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정도에 따른 여러 요인들 간의 연관성 및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및 경향성 분석과 다항로지스틱회기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측두하악장애의 유병률은 75.4%였고,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주관적 증상으로는 관절잡음이 56.4%로 가장 주된 증상 중 하나였으나 남녀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두통이나 목의 통증이 36.5%이었고, 귀, 관자놀이, 볼 주위의 통증이 22.1%로 높았다.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인 증상 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증상이 없는 경우 여성에서 19.1%, 남성에서 36.6%로 여성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40세 이상의 그룹보다 20 - 30대그룹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악 사용과 관련된 악습관 및 직무스트레스는 측두하악장애 증상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악 사용과 관련된 습관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의 개수도 많아졌고, 습관이 한 가지씩 늘어날수록 측두하악장애 증상이 없는 1단계보다 3단계가 될 위험이 1.45배, 4단계가 될 위험이 1.57배 높아졌다. 스트레스 수준도 가장 하위단계에서 한 단계 높아지면 측두하악장애 1단계에서 4단계가 될 위험이 2.49배, 두 단계 높아지면 3.43배 높아졌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측두하악장애와 업무특성에 따른 연관성은 설명하지 못하였지만,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개수 또한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인 증상을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업무형태 보다는 심인적인 부분이 더 중요한 인자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측두하악장애 평가 시 신체적인 문제뿐 아니라 행동적, 심리 사회적 문제로 예측인자를 폭넓게 인식함으로써 다각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측두하악장애 증상이 발생된 경우 임상적 치료뿐 아니라 행동요법 및 심리 치료와 자가 관리 등이 함께 수반되어 기여요인 조절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소아 편도적출술 후 Ketorolac과 함께 Fentanyl 또는 Butorphanol을 이용한 통증자가조절법 (Patient-Controlled Analgesia Using Fentanyl or Butorphanol Mixed with Ketorolac after Tonsillectomy in Children)

  • 김동희;이정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2권2호
    • /
    • pp.200-204
    • /
    • 1999
  • Background: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has proven to be safe and effective in children from age 5 years, and older and compares favourably with continuous morphine infusion in the older child. We compared fentanyl and butorphanol for opioid use in PCA with ketorolac to determine a suitable drug combination for post-tonsillectomy pain control. Methods: We studied 60 patients, aged 5~12 yrs, undergoing tonsillectomy with or without adenoid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using $N_2O-O_2$-enfluran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fentanyl $250\;{\mu}g$ (Group 1: n=30) or butorphanol 5 mg (Group 2: n=30) mixed with ketorolac 90 mg and ondansetron 4 mg diluting 100 ml of 5% D/W solutions intravenously via PCA pump after operation. PCA pump were programmed to deliver a 0.05 ml/kg loading dose, 0.01 ml/kg/hr basal infusion, 0.01 ml/kg on demand bolus, 6 min lockout intervals between doses and 4 bolus hourly limit. Total infusion dosage of PCA drug, VAS pain scores, side effects and satisfaction score of both groups were monitored for 48 hrs. Results: Total infusion dosages were fentanyl $170.6\;{\mu}g$ with ketorolac 61.4 mg (Group 1) and butorphanol 2.8 mg with ketorolac 50.4 mg (Group 2). Total infusion dosage, quality of analgesia, side effects and overall satisfaction didn't differ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Both fentanyl and butorphanol mixed with ketorolac were effective for post-tonsillectomy pain control using PCA pump in children as young as 5 years old.

  • PDF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 후 정맥 내 통증자가조절 시 대퇴신경차단의 병용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ilateral Femoral Nerve Block Combined with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fter a Bilateral Total Knee Replacement)

  • 정미영;김창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1권3호
    • /
    • pp.211-216
    • /
    • 2008
  • Background: Postoperative pain after bilateral total knee replacement (TKR) is expected to be more severe than unilateral TKR.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 PCA) is less effective than other methods of pain management especially immediately after an operation even though it is an easily controlled method for managing pa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emoral nerve blocks combined with IV PCA after bilateral TKR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Methods: The patients in group I (n = 20) were given only IV PCA with morphine and group II (n = 20) were given bilateral femoral nerve blocks with 12 ml of 0.25% bupivacaine and epinephrine 1 : 400,000 before extubation followed by an IV PCA. Main outcome measures included numerical rating pain score, cumulative opioid consumption, hourly dose during each time interval, and side effects. Results: The pain score in group I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group I immediately after recovery of awareness and at 3, 6, 12 hours postoperatively. Cumulative opioid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II during the first 48 hours postoperatively. The hourly dose in group II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group I until 12 hours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de effects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bilateral femoral nerve blocks improve analgesia and decrease morphine use during IV PCA after bilateral TKR.

전자궁적출술후 시행한 정맥내 통증자가조절법의 임상 경험 (Clinical Experience on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after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 김윤희;최훈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2권1호
    • /
    • pp.54-58
    • /
    • 1999
  • Background: We studied 150 patients who received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after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o evaluate pain relief, analgesic consumption, patient's satisfaction and side effects. Methods: We made total 40 ml of analgesic mixture with morphine 40 mg, ketorolac 120 mg, droperidol 3 mg and normal saline. Loading/bolus/basal infusion dose and lockout interval was 2 ml, 1.5 ml, 0.5 ml/hr and 10 min, respectively. Numerical rating scale (NRS) pain score, cumulative analgesic consumption, degree of satisfaction, and incidence of side effects were evaluated. Also, correlation of age and edu ion with analgesic consumption were evaluated. Results: The average pain scores using NRS were $3.1{\pm}1.7$ (6 h), $2.1{\pm}1.5$ (24 h), $1.7{\pm}1.5$ (48 h). The average cumulative analgesic consumption were $11.7{\pm}5.0$ ml (6 h), $23.0{\pm}6.7$ ml (24 h), $32.1{\pm}3.7$ ml (48 h).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postoperative pain control was good in 94% of patient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satisfaction and analgesic consumption. Also age and level of edu ion did not correlated with analgesic consumption. Conclusions: Intravenous PCA with morphine, ketorolac, and droperidol is an effective method of postoperative pain control because it provides adequate pain relief and a few side effects with high patient's satisfaction. However, age and level of education did not correlated with analgesic consumption.

  • PDF

호스피스 환자의 돌봄 요구와 가족이 인지하는 환자의 돌봄 요구 비교: Q 방법론 (Care Needs of Hospice Patients in Comparison with Those from the Family Caregivers' Perspective: Q methodology)

  • 용진선;홍현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2호
    • /
    • pp.153-168
    • /
    • 200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들의 돌봄 요구 유형과 가족간호자가 인지하는 환자의 돌봄 요구 유형을 파악하고, 두 군 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호스피스 환자의 돌봄 요구를 만족시키기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개인에 대한 내적 의미에 중심을 두고 인간의 주관성이나 태도 유형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인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한 Q표본은 호스피스 환자들의 돌봄 요구에 대한 경험으로 구성된 23개의 진술문이다. 자료는 2002년 12월부터 2003년 2월까지 23개의 Q-표본을 이용하여 C 대학 K 병원 호스피스병동에 입원하고 연구에 동의한 환자 20명군과 이들을 간호하는 주 가족간호자 20명군으로 가족 20쌍의 P-표본으로부터 각각 수집하였다. 탈분포도는 정상 분포방식에 따라 9점 척도 상에 대상자의 의견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분류하도록 하였으며, 면담시 대상자의 구술도 기록하였다. 자료 분석은 Quanl PC 프로그램을 통한 Q요인분석인 주인자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요구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분석, 요인 가중치, 영역별 요인 분석, 요인 배열을 하였고, 요인수의 결정을 위해 아이겐값은 1.0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호스피스 환자 군과 가족간호자 군이 인지한 호스피스 환자의 돌봄 요구 유형은 네 가지로 확인되었다. 신체적, 정서적, 영적, 그리고 사회적 돌봄 요구 유형. 돌봄 요구 유형에 대한 두 군 간의 전체 일치률은 48%이었다. 제 1유형은 '신체적 돌봄 요구형' 으로 통증조절이 안된 상태로 통증으로 인하여 심한 고통을 당하고 있어 주호소인 통증 및 신체적 안위에 대한 돌봄을 우선적으로 요구하였다. 두 군 간의 일치율은 62.5%이었다. 제 2유형은 '정서적 돌봄 요구형' 으로 가족과 친밀감과 사랑을 나누기를 원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따뜻한 대화로써 정서적으로 지지 받기를 원하였다. 두 군 간의 일치율은 20%이었다. 제 3유형은 '영적 돌봄 요구형' 으로 대상자 모두 종교를 가지고 신심이 깊었으며 절대자에게 용서 받고 싶은 욕구가 많았고 기도와 사목자의 방문을 원하였다. 두 군 간의 일치율은 60%이었다. 제 4유형은 '사회적 돌봄 요구형'으로 자신이 하던 일에 대한 마무리와 봉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군 간의 일치율은 50%이었다. 이상으로 볼 때,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간호자가 인지한 환자의 돌봄 요구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호스피스 간호사는 호스피스 환자의 돌봄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환자와 가족간호자간에 환자의 돌봄 요구에 대한 인지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모색하고, 가족간호자에게 환자의 돌봄 요구를 사정하기 위한 교육을 시켜야 하겠다.

  • PDF

악교정 수술후 자가통증조절장치(Patient-Controlled Analgesia)의 사용 효과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PCA) AFTER ORTHOGNATHIC SURGERY.)

  • 양병은;송상훈;엄기훈;유준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382-387
    • /
    • 1999
  • The concept of PCA(Patient Controlled Analgesia) was first described in 1968, by Sechzer. The earliest descriptions of actual self-administered PCA machines were by Forrest et al. In gastric bypass surgery, cesarian section, orthopedic surgery etc, PCA is widely used in the control of postoperative pai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CA provides effective pain-control for the postoperative patient. The postoperative pain-control is a problem that should be solved in surgery. Especially in orthognathic surgery, it is not same as in the case of maxillofacial trauma surgery or of tumor surgery: most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are under operation not accustomed to pains, and difficulties in pain-complaint due to IMF(Intermaxillary fixati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re additional problem. In this study, we have compared PCA and IM analgesics with respect not only to time request but also to the quality of postoperative pain control.

  • PDF

PMA 유도 제4형 단백분해효소 분비를 차단하는 SP600125에 의한 Jun Aminoterminal Kinase의 억제 (Inhibition of the Jun Aminoterminal Kinase by SP600125 Blocks PMA-Induced 92kDa Type IV Collagenase Secretion)

  • 신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2호
    • /
    • pp.95-105
    • /
    • 2001
  • 제 4형 콜라젠을 분해하는 MMP-9은 조직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목받아 왔는데, 이전의 문헌들에서 PMA에 의해 이 유전자 발현이 강하게 상승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다. 비록 MMP-9 발현을 조절하는 PMA의 기전이 잘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른 유전자발현에서의 이 phorbol ester의 효과는 c-raf-1-ERK 신호전달통로의 활성에 관해 연구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저자는 MMP-9 발현에서 PMA의 상승효과에는 대개는 스트레스성 자극과 관련된 JNK1 의존성 신호전달과정이 또한 필요하다는 다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JNK 억제재중 하나인 SP 600125가 UM-SCC-1세포주에서 PMA에 의해 유도된 MMP-9 상승발현을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72시간동안 전처치를 한 경우에 그의 억제효과가 최대이었다. phorbol ester로 처리한 세포에 GAL4 luciferase reporter와 vector를 주입해서 조사한 결과 PMA가 c-Jun transacting 활성을 상승시켰다. 그뿐 아니라 PMA에 의한 MMP-9 촉진자 활성에는 AP-1 motif가 필요하며 이 motif에 c-Jun이 결합하는 것을 EMSA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UM-SCC-1 세포주에서 PMA에 의한 MMP9의 증가된 발현은 이미 밝혀진 ERK 경로뿐 아니라 JNK 경로를 통한 결과임이 밝혀져 이 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이 또하나의 암치료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 PDF

임상치과위생사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에 있어 매개요인의 영향 (Effect of Medi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tress Response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최자형;최준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4-122
    • /
    • 2014
  •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스트레스 반응에 있어 매개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치과의료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치과위생사 2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 업무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을 분석한 결과 위장장애 인식도는 26세 이상, 대학교 이상 졸업자, 계약직, 4년 미만 경력자, 치과병원 근무자, 상담 및 데스크 업무자, 평직원에서 더 높았다(p<0.05). 근육 통증은 25세 이하, 4년 미만의 경력자, 치과병원 근무자, 일일 환자수가 64명 이상, 평직원, 주 6일 이상 근무자, 일일 8시간 이상 근무자 및 점심시간에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집단에서 더 많이 인식하였다(p<0.05). 우울증 인식도는 남자와 26세 이상, 대학교 이상 졸업자, 기혼자, 월 급여가 180만원 이상, 치과병원 근무자, 상담 및 데스크 업무자 및 주 6일 이상 근무 집단에서 더 높았다(p<0.05). 이직 의도는 26세 이상, 대학교 이상 졸업자, 월 급여가 180만원 이상, 4년 이상의 경력자, 일일 환자 수가 64명 미만, 주 6일 이상 근무자, 야간근무자에서 더 높았다(p<0.05).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매개요인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을 분석한 결과 위장장애와 근육 통증은 근무환경이 나쁘고 역할 갈등과 과부하가 높으며, 공격적인 성격에 가까울수록 더 높았다(p<0.01). 우울증 인식도는 근무환경이 나쁘고 역할 갈등과 과부하가 높으며, A형 성격에 가깝고 자존감이 낮을수록 더 높았다. 이직 의도는 근무환경이 나쁘고 역할 갈등과 과부하가 높으며, A형 성격에 가깝고 상사 동료의 사회적 지원이 적을수록 더 높았다(p<0.01).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신체적 불편감, 우울증 인식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는 성격유형으로, A형 성격에 가까울수록 신체적 불편감과 우울증 인식도가 더 높았다(p<0.05). 직무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는 상사 동료의 사회적 지원으로,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 지원이 낮을수록 이직 의도가 더 높았다(p<0.05). 본 연구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성격유형과 상사 동료의 사회적 지원은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가 직무를 수행하는 동안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성격을 파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 개발을 위해 교육이 지원되어야 하며, 조직적이고 구조적 차원에서 사회적 지원을 더욱 증가시켜야 한다. 특히 직무수행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와 인정을 제공해주는 시스템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Prostatic acid phosphatase의 전립선 암에서의 역할 (Roles of Prostatic Acid Phosphatase in Prostate Cancer)

  • 공훈영;이학종;변종회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93-900
    • /
    • 2011
  • Prostatic acid phosphatase (PAP)는 전립선 암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표지자로서 1935년 처음으로 동정되었고 인체 전립선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탈 인산화효소이다. PAP는 prostate epithelial cells에서 합성되는 전립선 특이적인 효소로서, 산성 환경에서 효소활성을 띠는 acid phosphatase 그룹에 속한다. PAP는 전립선액에 풍부히 존재하여 수정, 정자부족증, 만성통증의 감소에 관여한다. 그러나 가장 눈에 띄는 기능은 ERK1/2와 MAPK 경로에 관계된 HER-2와 PI3P의 탈 인산화를 유도하여 세포 성장 신호를 억제하고 전립선 암의 억제자로 작용하는 것이다. 최근 PAP DNA 백신을 이용하는 임상시험이 현재 진행 중이고, PAP를 이용한 immunotherapy를 통해 전립선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FDA의 승인을 받아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PAP의 임상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PAP의 분자적 조절기작에 대한 이해는 제한적이라 PAP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PAP는 NF-${\kappa}B$, TNF-${\alpha}$, IL-1 및 androgen과 androgen receptor에 의하여 promoter region이 조절된다고 알려졌다. 본 총설에서는 현재까지 밝혀진 PAP 유전자 및 단백질의 특징들과 더불어 전립선 암에서의 PAP의 기능, 발현 조절, 역할들을 종합하였다.

내관 혈 지압이 통증 자가 조절(PCA)을 하는 부인과 수술환자의 오심과 구토 억제 및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Who Are Using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 김남초;유제복;조명숙;신은주;함태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23-43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who were using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Methods: For this study, 51 pati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a control group (17 patients), experimental group 1 (finger acupressure group) (17 patients), and experimental group 2 (relief band group) (17 pati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or 24 hr in the recovery room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6 hr-intervals including the time of leaving the recovery room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Results: The occurrence of nausea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Nei-Guan acupressure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 was differen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nausea and vomiting control or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the finger acupressure group and the relief band group. Conclusion: Nei-Guan acupressure is recommended for nursing practice as a way for alleviating the opioid-induced nausea and accelerating the recovery of patients who are using PCA after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