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증정도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3초

주기적인 상기(Reminding) 중재가 재가 폐암환자의 진통제 복용 이행 정도, 자기효능감, 통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riodic Reminding Interventions on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and Pain for Home-Based Lung Cancer Patients)

  • 신진희;김광숙;이주희;오석중
    • 임상간호연구
    • /
    • 제19권3호
    • /
    • pp.443-454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riodic reminding interventions on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and pain intensity for home-based lung cancer pati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he intervention comprised of individual education by tailored image-combined medication instructions, daily reminding text message, and weekly telephone calls for four weeks. The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62 lung cancer patients (3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in the control group). Mann-Whitney U-test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periodic reminding intervention program better adhered to prescribed medic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z=-6.14, p<.001).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z=-6.74, p<.001).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less intense average pai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z=-6.29,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eriodic reminding interventions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medication adherence and self-efficacy to improve and pain management for home-based lung cancer patients.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만성요통의 통증정도와 우울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Pain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 서복남;함영림;안양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8-12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in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Metho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utilized. The participants were middle-aged women who visited two back pain clinics in Wonju from October, 2006 through February, 2007. A total of 195 low back pain patients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data from 177 were analyzed.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Visual Analogue Scale (VAS), Center Epidemiology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for chronic low back pain as measured by the VAS was 4.99 (SD 2.41). The average score for depression as measured by the CES-D was 22.00 (SD 10.18).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in and depression (r=.372, p<.001). Conclusion: Nurses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depression of middle-age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the future, developing a strategy for integrating intervention of pain-control and depression will be needed in nursing care for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 PDF

새로운 영아 가슴압박법의 비교: 마네킨을 이용한 랜덤화 교차 시뮬레이션 연구 (A Novel Method of Infant Chest Compression: A Study on the Cross-Simulation of Randomization Using Manekin)

  • 윤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5-527
    • /
    • 2019
  • 심정지(Cardiac arrest)는 원인과 관계없이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한다. 심정지 발생 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유일한방법 중 하나는 심폐소생술이며 이 술기를 통하여 순환을 유지 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생존률과 신경학적 예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술기이다. 영아 심폐소생술의 경우 두 손가락으로 가슴을 압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해부학적으로 손가락의 피로도가 가중되고 수직압박이 힘들어 미국심장협회에서 권장한 가슴압박깊이에 도달하기 힘들 수 있다. 이 연구는 영아 심폐소생술 중 가슴압박 시행 시 새로운 가슴압박법의 효과를 검증하고,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가슴압박 방법에 따라 가슴의 평균압박깊이 및 평균압박 속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또한 가슴압박의 편리성 및 통증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아 심폐소생술 중 새로운 가슴압박법 시행 시 정확도가 높아지고, 가슴압박 깊이가 나아져 가슴압박의 질적 지표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체간 안정화 운동과 고관절 운동이 만성 요통 환자의 허리가동범위, 통증, 장애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and Hip Exercise on Lumbar Range of Motion, VAS, Disability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 박찬호;양영식;정용식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5-55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nd hip joint exercises on the range of motion of the lumbar spine, pain severity, and severity of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Methods: A total of 30 participants were enrolled and divided into group 1 (n=10), group 2 (n=10), and group 3 (n=10) were performed by each group thrice a week for a total of 8 weeks. Group 1 performed warm-up exercise (15 min),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25 min), finish-up exercise (15mins). Group 2 performed warm-up exercise (15 min), hip exercise (25 mins, finish-up exercise (15mins). Group 3 warm-up exercise (15 min), trunk stabilization and hip exercise (25 min), Finish-up exercise (15 min). Participants were assessed for the range of motion of the lumbar spine, pain severity (visual analog scale score; VAS), and severity of disability (Oswestry disability index score; ODI)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Results: All thre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lumbar spin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Moreover, the severity of pain and OD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groups; however, the intergroup differences were non-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runk stabilization and hip joint exercise in improving the lumbar range of motion, pain severity, and chronic lower back pain in patients. Thus, trunk and pelvic stabilization exercises and hip joint exercise can be used as clinical practices to treat and prevent chronic lower back pain.

기구 필라테스 운동이 만성 요통 환자의 통증 정도, 장애 지수, 복부근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quipment-Based Pilates Exercises on Visual Analogue Scale Scores, Oswestry Disability Index scores, and Core Muscle Thick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권오국;최현;박찬호;양영식;유달영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3-67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comparatively evaluated the effects of equipment-based pilates exercises (EPE) and lumbar stability exercises (L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in terms of their Visual Analogue Scale(VAS), Oswestry Disability Index(ODI),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Methods: A total of 3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PE or the LSE. The VAS, ODI,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es of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EPE were more effective in terms of the duration of a sustained reduction in VAS scores. post hoc test revealed that EPE were more efficacious in terms of a sustained improvement in ODI scores. With respect to changes in abdominal muscle thick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internal oblique muscles(IO) and the external oblique muscles(EO)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n this study, both types of exercise interventions resulted in improvements in the VAS, ODI scores,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However, EPE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LPE in terms of longer sustained improvements in VAS and ODI scores. Also, with respect to abdominal muscle thickness, the thickness of EO and IO improved only in the EPE group.

  • PDF

청년층의 편평족 실태조사 (Research of Flatfoot on a adolescence)

  • 서태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9권1호
    • /
    • pp.97-101
    • /
    • 1997
  • 1997년 5월 1일부터 1997년 5월 8일까지 대구보건전문대학 남녀 재학생 512명을 대상으로 편평족에 대한 조사결과에서 12명$(2.34\%)$의 강도의 편평족을 발견하였다. 성별에 따른 분포는 정도 이상의 편평족에 속하는 남자가 159명중 62명$(38.99\%)$이고 여자는 353명중 178명$(50.42\%)$으로 여자가 더 많은 비율로 나타났고, 강도에 속하는 심한 편평족은 모두 여자로 나타났다. 임상적으로 전예에서 족내면의 팽만을 나타내었고 심란 운동 후 피로 및 가벼운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종족궁의 침강의 정도와 임상중세와는 일정한 비례관계를 정할 수 없었다. 편평족 중세가 있는 학생 중에서 본인이 편평족인지 아닌지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가장 심한 강도 중에서는 12명 중 6명$(50\%)$정도 인지하고 있었다.

  • PDF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의 감정표현 불능증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 신동인;함병주;권호인;박건우;김린;서광윤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1호
    • /
    • pp.56-60
    • /
    • 2002
  • 목 적 : 긴장성 두통은 병태생리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심리적인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통증 증후군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두통과 관련된 심리적 요소 중의 하나가 alexithymia이다. 본 연구에서는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의 alexithymia 정도를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우울정도와, alexithymia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 만 18세 이상의 긴장성 두통 환자 66명을 대상으로, alexithymia의 정도와 우울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TAS-20K와 BDI를 시행하였다. 정상대조군에서는 TAS-20K를 시행하였다. 결 과 : TAS-20K는 긴장성 두통 환자군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TAS-20K의 점수와 BDI 점수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 론 : 긴장성 두통 환자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alexithymia 수준을 보였다. 또한 Alexithymia의 수준은 우울감과 유의한 연관성을 가진다. 임상의들은 긴장성 두통 환자들의 치료적 접근에서 alexithymia,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요소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만성 무릎관절 통증환자에서 내측 반월상연골 손상과 관절 퇴행성 변화의 감별을 위한 $^{99m}Tc-MDP$ 무릎관절 SPECT의 진단기준 (Diagnostic Criteria to Differentiate Medial Meniscal Injury from Degenerative Changes on $^{99m}Tc-MDP$ Knee SPECT in Patients with Chronic Knee Pain)

  • 팽진철;정준기;정환정;유재호;강원준;소영;이동수;이명철;성상철;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3-109
    • /
    • 2003
  • 목적: 만성 무릎관절 통증환자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하여 $^{99m}Tc-MDP$ SPECT를 이용한 관절내 장애의 진단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내측 구획의 섭취 증가가 관찰될 때 이를 내측 반월상연골 손상(MMI)과 퇴행성 변화(DC)로 감별 진단하기 위한 진단기준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개월 이상의 만성 통증으로 무릎관절 SPECT를 시행하고 이후 관절경 검사를 통해 관절 병소의 확진을 받은 환자 중 SPECT 상 내측 구획에 섭취 증가를 보인 47명, 49예의 영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SPECT 영상에서 내측 경골 고원부에 초승달 모양의 섭취가 관찰될 때 MMI로 진단하는 기준(진단기준 I), 초승달 모양 섭취 양상에 따라 전측, 중앙측, 후측 및 미만성으로 구분하고 이 중 중앙측, 후측, 미만성만을 MMI로 진단하는 기준(진단기준 II), 이에 더해 섭취의 정도를 등급화하여 내측 구획에서 대퇴골 부위보다 경골 고원부의 섭취가 더 높을 때만 MMI로 진단하는 기준(진단기준 III)의 세 가지 진단기준을 설정하고 이들의 진단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MMI 진단의 예민도와 특이도가 진단기준 I에서 각각 93%, 14%, 진단기준 II에서 각각 89%, 38%, 진단기준 III에서 75%, 67%로 형태학적 기준과 섭취 정도에 의한 기준을 첨가할수록 진단성능이 향상되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무릎관절 SPECT가 적용되는 실제 임상 적응증에 가까운 만성 무릎관절 통증에서, 퇴행성 변화와 관절 내 장애를 감별하는 향상된 진단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선별검사로서 무릎관절 SPECT의 진단적 가치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측두하악관절 원판변위 환자의 보존적 치료결과 (Outcome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Disc Displac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 김경희;김익환;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305-318
    • /
    • 2007
  • 측두하악관절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질환인 원판변위를 보이는 환자들에서 보존적 치료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1994년부터 2006년까지 13년간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관절장애로 진단받은 후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88명의 정복성 관절원판변위환자와 60명의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환자를 실험군으로, 74명의 근육장애환자를 대조군으로 하여 초진시와 치료종결시의 주관적 증상 및 임상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 근육장애 환자군은 행동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안정장치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에 의해 통증, 관절음, 개구제한, 편이개구량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2. 초진시 통증은 근육장애군에서, 관절음은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개구제한은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매우 심했고, 편이 개구량은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가장 컸으며 치료종결시 통증은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 관절음은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개구제한은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가장 심했고, 편이 개구량은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가장 컸다. 3. 초진시 관절음을 호소했던 환자가 보존적 치료로 관절음이 완전히 사라진 경우는 약 60%였다. 4. 정복성 및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에게는 행동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안정장치치료를 시행했을 때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였고, 근육장애 환자에게는 치료방법에 따른 결과는 별 차이가 없었다. 5. 보존적 치료에 따른 결과는 성, 연령, 급, 만성별로 차이가 없었다. 6. 근육장애는 6개월 미만, 10회 정도의 치료에 양호한 예후를 보였으나, 원판변위는 6개월 이상 2년 이하의 기간, 10-20회 정도의 치료에 예후가 좋았다.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을 통한 Kirschner Wire 강선 지지대 고정술의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Blocking Kirschner Wire Technique' in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via the Extended Sinus Tarsi Approach)

  • 이정길;강찬;김상범;이기수;황정모;안병국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24-233
    • /
    • 2021
  • 목적: 종골 골절 후 발생하는 부정유합으로 인해 체부의 폭이 증가하면 후족부 외측의 통증이 발생한다. 외측벽 돌출을 줄이기 위해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Kirschner wire) 지지대의 정복 유지 효과를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로 후향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 환자 중 정복 유지를 위해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한 환자 22명(A군)과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 중 A군 환자와 1:2로 짝지은 44명의 환자들(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유관나사와 Steinmann 핀,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임상적 평가로는 미국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수치와 수술 후 운동능력의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다. 영상학적 결과는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와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군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도 분석해 보았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924, p=0.961). 영상학적으로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0.170, p=0.441, p=0.230, p=0.266, p=0.400),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는 A군이 평균 1.78 mm, B군이 4.95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7). B군에서 비복 신경 포착과 통증을 동반한 외골종의 빈도는 더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93, p=0.655). 결론: 임상적 평가 및 영상학적 평가의 대부분과 두 군의 합병증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에 있어서는 A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 지지대 수술법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외측벽 돌출의 정복 유지에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