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제어휘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9초

연구영역분석을 위한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Descriptor Profiling for Research Domain Analysis)

  • 김판준;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5-303
    • /
    • 2007
  • 본 연구는 연구 영역 분석을 위하여 통제어휘와 비통제어휘를 연계해서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출현단어분석은 크게 통제어휘와 비통제어휘를 사용하는 경우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통제어휘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료 희귀성 및 색인자 효과가 단점이며, 비통제어휘를 사용할 경우에는 저자의 주관에 따른 단어 선택 및 단어의 중의성이 문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양자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제어휘인 디스크립터를 비통제어휘인 단어와의 동시출현 정보로 표현하는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을 제안하였다. 정보학분야에 적용해본 결과, 디스크립터 프로파일링은 특정 영역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어 통제어휘와 비통제어휘가 갖는 본질적인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치오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술지 논문의 디스크 립터 자동부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ic Descriptor Assignment for Scientific Journal Articles Using Rocchio Algorithm)

  • 김판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9-89
    • /
    • 2006
  • 로치오 알고리즘에 기초한 통제어휘 자동색인 또는 텍스트 범주화에서 적용되어 온 여러 성능 요인들을 재검토하였고, 성능 향상을 위한 기본적인 방법을 찾아보았다. 또한, 동등한 조건에서 통제어휘 자동색인을 위한 로치오 알고리즘 기반 방법의 성능을 다른 학습기반 방법들의 성능과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통제어휘 자동색인을 위한 로치오 기반의 프로파일 방법은 구현의 용이성과 컴퓨터 처리시간 측면의 경제성이라는 기존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다른 학습기반 방법들(SVM, VPT, NB)과 거의 동등하거나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색인전문가의 색인작업을 지원하는 반-자동 색인의 목적으로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재현율을 유지하면서 학습 데이터의 증가에 따라 정확률이 크게 향상되는 로치오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통제어휘 표준의 변화 및 시사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Standards Related to Controlled Vocabulary and Their Implications)

  • 김성원;김정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11-232
    • /
    • 2011
  • 대표적인 통제어휘인 시소러스는 지난 50년간 정보의 색인과 검색을 위한 도구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흐름에 발 맞추어 다양한 주제분야에서의 시소러스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국제표준 및 국가표준이 개발되었으며, 최근 들어 시소러스 관련 표준의 개정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소러스 관련 표준으로 ISO 25964와 BS 8723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표준의 개정 현황을 살펴보고 변화된 내용과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보았다. 이러한 고찰 결과를 기반으로 오늘날의 새로운 정보환경 아래에서 시소러스가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과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LC주제명표목표와 시소러스의 색인어 구조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es of Indexing Languages between LC Subject Headings and Thesaurus)

  • 김주성;김태수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5년도 제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4
    • /
    • 1995
  • 전산환경에서 유용한 색인도구로서의 통제어휘집을 구성하는 원칙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전조합색인용 통제어휘집인 LC주제명표목표의 표목구조와 후조합색인용 통제어휘집인 시소러스의 용어구조를 비교하였다. 주제명표목표에서 사용되는 도치표목, 전치사로 연결된 표목, 접속사로 연결된 표목, 세목을 가진 표목을 시소러스에서 사용되는 색인구조와 비교분석 하였다. 주제명표목표가 참조구조를 시소러스체제로 변환시켰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도 파악하였다.

  • PDF

단어의 의미연상을 이용한 시소러스 설계 (Thesaurus Construction Using Word Association)

  • 한승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년도 제1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3-23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단어의 의미연상을 이용하여 시소러스를 작성해봄으로써 탐색 시소러스 구축에 있어 단어연상검사법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문헌정보학 분야를 대상으로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한 후 자극어와 반응어간의 의미관계를 파악하고 반응어와 통제어휘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및 분석결과, 단어연상검사를 이용하면 다양한 연관관계 용어들을 시소러스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통제어휘집에 나타난 하위관계와 동등관계 용어들을 어느 정도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어의 의미연상을 이용하여 구축된 탐색 시소러스는 정보검색환경에서 질의확장에 응용될 수 있다.

  • PDF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활동이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ding Activities Using Picture Fairy Tales on Receiving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Facilities)

  • 류정미;김충명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8-55
    • /
    • 2021
  • 목적: 지적장애인은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사용에 취약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그림동화를 활용하여 읽기 교육을 지도한 후에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거주시설에서 거주하는 20~40세미만의성인지적장애인 12명이다. 이들은 중재집단 6명과통제집단 6명으로나누어서 매회기 당 60분씩 총 12회기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지도를 중재하였다. 결과: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활동을 시행한 중재집단에서는 수용어휘의 사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표현어휘의 활용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에서는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아니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를 지도한 후에는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활용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가 되리라 평가한다.

디스크립터 프로파일을 사용한 통제어휘 자동색인 (Automatic Indexing with Controlled Vocabulary Using a Descriptor Profile)

  • 김판준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년도 제1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3-160
    • /
    • 2006
  • 통제어휘를 사용하는 주제색인 작업에서 색인전문가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자동색인 방법으로 프로파일 방법의 성능과 특성을 검토해 보았다. 자동색인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검토한 다음, 동일한 조건 하에서 프로파일 기반 방법과 다른 방법들(NB, SVM, VPT)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로치오 알고리즘에 기초한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방법이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저성능이라는 일부 평가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드러났다. 또한, 후보 디스크립터 리스트의 생성을 통하여 색인전문가의 색인작업을 지원하는 반자동색인의 경우, F$_1$척도로는 SVM, VPT와 동등한 수준에 있으면서 재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프로파일 기반 방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자표기동음이철어(漢子表記同音異綴語)의 재인과정(再認過程) (Word recognition process of Chinese homophone)

  • 박태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89년도 한글날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28-235
    • /
    • 1989
  • 한자표기동음이철어의 어휘접근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두개의 실험들이 수행되었다. 피험자들은 한자표기 동음이철어(점화어)의 표기상 관련된 의미나 음운상 관련된 의미 각각의 연상어(한글표기표적어)에 대해 어휘판단을 하였다. 실험 I 은 200ms SOA 와 1000ms SOA 에서 두 의미들의 활성화의 시간경로를 탐색했는데, 그 결과 두 의미들이 동시에 인출 되며 어휘의미에 대한 접근이 음운표상에 의해 매개됨이 밝혀졌다. 실험 II 에 따르면 주의할당에 의한 손실이 음운상 관련된 의미에 있어서만 가능하였다. 긴 SOA에서는 통제처리가 작용하지만 철자상 관련된 의미에 대한 통제는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디스크립터 자동 할당을 위한 저자키워드의 재분류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Reclassification of Author Keywords for Automatic Assignment of Descriptors)

  • 김판준;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5-246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학술 DB의 검색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저자키워드(비통제키워드)의 재분류를 통하여 디스크립터(통제키워드)를 자동 할당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먼저 기계학습에 기반한 주요 분류기들의 특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재분류를 위한 최적 분류기와 파라미터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독서 분야 학술지 논문들에 부여된 저자키워드를 학습한 결과에 따라 해당 논문들을 재분류함으로써 키워드를 추가로 할당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재분류 결과에 따라 새롭게 추가된 문헌들에 대하여 통제키워드인 디스크립터와 마찬가지로 동일 주제의 논문들을 모아주는 어휘통제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저자키워드의 재분류를 통하여 디스크립터를 자동 할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합의학언어 시스템(UMLS)의 구성 및 적용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Structure and Application of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UMLS))

  • 김혜선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2호
    • /
    • pp.26-39
    • /
    • 2001
  • 효과적인 정보검색 도구로 활용되는 시소러스, 분류표 등의 통제어휘집들은 동일한 개념이나 의미를 표현하는데 서로 다른 어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동일 개념에 대한 용어 표현차이로 인한 정보의 검색 및 통합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국립의학도서관은 통합의학언어시스템(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 : 이하 UMLS)을 개발하였다. UMLS 개발은 1986년부터 시작된 장기 프로젝트로서 2001년판 UMLS는 메타시소러스, 의미망, 전문가 사전의 세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본고는 UMLS의 개발배경과 구성요소 및 PubMed, NLM Gateway에서의 적용사례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