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제감

검색결과 640건 처리시간 0.032초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ggresssion)

  • 고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90-302
    • /
    • 2017
  • 본 연구는 자존감의 특정 영역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형 자존감 평가 영역 척도, 공격성 질문지, 정서조절곤란 질문지가 사용되었고 총 287명의 응답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의 구성요인별로 영향력을 검증하여 유의한 변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자존감의 특정 영역 중 사회적 및 객관적 능력과 긍정적 성품은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고, 정서조절곤란 중 충동통제곤란, 명료성의 부족, 전략적 접근 제한이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정서조절곤란이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충동통제곤란은 긍정적 성품과 분노감을, 명료성 부족은 긍정적 성품과 적대감을 완전 매개하였고, 전략적 접근제한은 사회적 및 객관적 능력과 적대감을 부분 매개하였다.

선수학습 상기 수업이 초등 5학년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erequisite Learning Reminding Lesson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rs)

  • 김윤영;윤마병;이종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211-224
    • /
    • 2016
  • 본 연구는 선수학습 상기 수학 수업이 초등 5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선수학습 상기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수학 수업을 수행한 비교 집단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학습 상기 수학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실험집단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수준별로 구분한 집단의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선수학습 상기 수학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에서 자신감과 수학 과제 난이도 선호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자기조절 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및 양육효능감이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ernal attachment and parenting efficacy on infant-mother's interactions)

  • 박화윤;마지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727-273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과 양육효능감이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G시의 어린이집 영아와 영아의 어머니 1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효능감,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과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은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특히 민감한 반응과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냉담은 영아-어머니 상호작용 전체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특히 민감한 반응과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전반적 양육효능감은 민감한 반응과 정적상관이 존재하였다. 교육과 통제는 양육자의 언어적 모델링과,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아-어머니 상호작용에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의사소통, 통제, 전반적 양육효능감이었으며,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에서는 접촉추구, 결속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이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 우울감, 자기통제, 물질가치 그리고 게임인식을 중심으로 (Effects of Random Reward Items Use on Adolescents' Game Addiction Change : Focus on Self esteem, Depression, Self-control, Material Value, and Game Cognition)

  • 이승제;이대영;정의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1-62
    • /
    • 2018
  • 최근 청소년의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이 게임 과몰입을 심화하거나 심리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사회적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1년에 걸친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이 1년 후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인(자존감, 우울감, 자기통제력, 물질가치 등)과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 유무에 따라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의 영향력이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해보았다. 분석 결과,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 집단은 비이용 집단보다 자존감이 낮았으나 게임 과몰입과 물질가치는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확룰형 아이템 이용 집단은 비이용 집단과 달리 자존감과 물질가치가 게임 과몰입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인터넷 중독 소아-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취약성 (PSYCHOSOCIAL VULNERABILITIES OF CHILD-ADOLESCENT INTERNET ADDICTS)

  • 김은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104-11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취약성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107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고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집단과 비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집단간에 인터넷 기대, 자기통제력, 부모와의 의사소통, 친구관계, 외톨이 성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인터넷 중독을 예측하는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터넷 중독 집단은 비중독 집단에 비해 인터넷 이용시 자존감 고양, 갈등해소, 정보화 획득, 인간 관계 증진 면에서 더 많은 것을 기대하였고 자기통제력이 낮았으며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였고 친구가 없는 외톨이 경향이 많았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데 가장 유의미한 심리적 변인은 인터넷 기대의 하위 요인인 갈등 해소와 자존감 고양이였으며 자기통제력도 유의미한 설명변인이었다. 또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환경적 변인은 부모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인터넷에 대한 부모의 통제였으며 친구관계나 외톨이 성향 등은 유의미하게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 PDF

다중 사용자 자율 주행 운전 환경에서 사회적 지위에 따른 에이전트의 제어권이 사용자 경험 요소에 미치는 영향 (Understanding how agent control based on social status affects user experience factors in multi-user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s)

  • 김지연;하주혜;오창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735-745
    • /
    • 2023
  •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량의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사회적 지위에 따른 에이전트의 제어권이 차량 소유주의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본 연구의 사용자 조사에서 참가자들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 동승자 명령 수행 여부와 과제 중심적 시나리오(주행 상황, 비주행 상황)를 결합한 4가지를 시청한 후 이에 대한 유용성과 통제감을 설문 평가하였다. 그 결과, 유용성의 모든 항목(편리성, 효과성, 효율성)은 주행중 상황과 동승자 명령의 비이행에서 반대 조건에 비해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사후 인터뷰 결과, 참가자들은 에이전트가 사회적 지위를 고려하는 것보다 목적 달성을 효과적으로 하였을 때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이전트에 대한 통제권은 차량 소유주가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자율주행 상황에서 에이전트와 운전자 및 동승자 간의 인터랙션 방식의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부와 모의 통제가 남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자율성의 매개적 역할 (The Effects of Paternal and Maternal Control on Self-Esteem in School-Age Boys and Girls : The Mediating Role of Autonomy)

  • 이미정;도현심;지연경
    • 아동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7-84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al control and children's autonomy on self-esteem, using a sample of 415 school-age children (208 boys and 207 girls) recruited in Seoul.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s revealed a variety of gender-based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Boys with high maternal behavioral control had high levels of self-esteem, whereas girls under low paternal psychological and high behavioral control repor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Boys with high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girls with high paternal behavioral control also reported high levels of autonomy. Autonomy was found to exert a positive impact on self-esteem for both boy and girls. Autonom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self-esteem for boys, and between p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self-esteem for gir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differential influences of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on autonomy and self-esteem, as well as the relative impact of the opposite sex parent on the development of autonomy and self-esteem in late childhood.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팀워크에 따른 간호사의 안전통제감 (Nurses' Safety Control according to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ceived Teamwork)

  • 김경자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9-20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ceived teamwork on the safety control of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with 141 nurses who worked in a tertiary hospital with over 1,000 beds in S city,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uly 20, to July, 31, 2015. Results: The average work period for nurse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was 8.84 years. The perceived teamwork and patient safety cultur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control. The regression model with patient safety culture, perceived teamwork and clinical career against safety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0.16, p<.001). This model also explained 37.1% of safety control (Adj. $R^2=.37$). Especially, communication (${\beta}=.27$, p=.023) of patient safety culture, clinical career (${\beta}=.26$, p<.001), mutual support (${\beta}=.24$, p=.042), and team leadership (${\beta}=.24$, p=.018) in perceived teamwork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safety control.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a broad approach including teamwork and patient safety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afety control for nurses.

숲 환경이 인터넷 중독 치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Forest Environment on Internet Addition Treatment)

  • 오창홍;박상규;박정환;오인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89-499
    • /
    • 2016
  • 본 연구는 숲이라는 자연환경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숲과 교실이라는 환경에서 각각 실시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S시의 중학생 24명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등으로 각각 8명씩 무선 할당하여 총 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후 및 추후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종속변수는 인터넷 중독 점수와 자존감 점수로 하였다. 연구결과, 숲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 시기에서 인터넷 중독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시기별로 보면, 실험집단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에 인터넷 중독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교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시기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숲 환경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시기에 자존감의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은 비교집단 및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존감의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비교집단 또한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존감이 유의하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 및 추후에 자존감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숲이라는 자연환경이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중독 증상을 감소시키고 자존감을 향상하는 등의 치료적 기제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중독자에 대한 치료적 방법의 하나로서 숲 환경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교차문화 청소년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ultural Homeless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ng Cross-Cultural Individuals: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Clarity)

  • 남지은;남지혜;김동일
    • 교육심리연구
    • /
    • 제32권3호
    • /
    • pp.571-59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교차문화 청소년들이 겪는 어려움들을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라는 이론적 틀 안에서 살펴보았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151명의 교차문화 청소년들의 데이터를 통해 이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탐색하였고, 그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는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6차원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환경에 대한 통제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한 청소년일수록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과 상관없이 만족스러운 관계를 적게 맺고 있고, 일상생활에서 통제감이 적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인식 명확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6차원 중 긍정적 대인관계와 개인적 성장 영역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수준이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 정도가 낮은 개인들은 긍정적인 대인관계 수준이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에 따라 달라졌다. 즉,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를 경험하고 있는 개인들 중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이 이 높은 이들은 타인과 보다 긍정적인 관계를 보고하였다. 흥미롭게도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 정도가 높은 청소년들은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과 상관없이 개인적 성장에 대한 큰 열망을 보고하였다. 즉, 이들은 겉으로는 진취적이게 보여도 내적으로 명확하지 않은 정서들을 경험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 이 결과는 교차문화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문화적 소속감의 문제와 정서인식 명확성의 문제를 동시에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문화적 소속감의 부재로 힘들어하는 교차문화 청소년들을 위해 정서경험을 더욱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상담적 개입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