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신해양기상위성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utomated Geometric Correction of Geostationary Weather Satellite Images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자동기하보정)

  • Kim, Hyun-Suk;Hur, Dong-Seok;Rhee, Soo-Ahm;Kim, Tae-J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70-75
    • /
    • 2007
  • 2008년 12월에 우리나라 최초의 통신해양기상위성(Communications, Oceanography and Meteorology Satellite, COMS)이 발사될 예정이다.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영상데이터의 기하보정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상위성은 정지궤도상에 위치하여 전지구적인 영상을 얻는다. 영상의 전지구적인 해안선은 구름 등으로 가려져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구름 등으로 방해되지 않는 명확한 해안선 정보를 얻기 위하여 구름 추출을 한다. 실시간으로 기상정보를 얻는 기상위성의 특성상 정합에 전체 영상을 사용하면 수행시간이 다소 소요된다. 정합시 전체 영상에서 정합을 위한 후보점 추출을 위하여 GSHHS(Global Self-consistent Hierarchical High-resolution Shoreline)의 해안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11 개 의 랜드마크 칩들을 구축하였다. 이때 구축된 랜드마크 칩은 실험에 사용한 GOES-9의 위치 동경 155도를 반영하여 구축하였다. 전체 영상에서 구축된 랜드마크 칩들의 위치를 중심으로 구름추출을 수행한다. 전체 211 개의 후보점 중 구름이 제거된 나머지 후보점에 대하여 정합을 수행한다. 랜드마크 칩과 위성영상 간의 정합 중 참정합과 오정합이 존재하는데 자동으로 오정합을 검출하기 위하여 강인추정기법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을 사용한다. 이때 자동으로 판별되어 오정합이 제거된 정합결과로 최종적인 기하보정을 수행한다. 기하보정을 위한 센서모델은 GOES-9 위성의 센서특정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정합 및 RANSAC결과로 얻어진 기준점으로 정밀 센서모델을 수립하여 기하보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일련의 수행과정을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실시간 처리요구사항에 맞도록 속도를 최적화하여 진행되도록 개발하였다.

  • PDF

정지궤도 통신해양기상위성 기술특성 분석

  • Yang, Koon-Ho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2
    • /
    • pp.89-95
    • /
    • 2003
  • In this study,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geosynchronous multi-mission satellites are investigated, compared to communication satellites. Geosynchronous meteorological satellites, whose imaging data is normally shared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have large coverage for monitoring and data service. Also the higher pointing accuracy is requested to keep the spatial resolution of 1-4km, compared to those of communication satellites. Cryogenic thermal control is needed for the better performance of IR sensors and the contamination protection of optical parts should be considered. On the other hands,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multi-mission satellite COMS, which will be launched in 2008, the special features of attitude control, electrical power, thermal control and mechanism are investigated.

  • PDF

Design of Actuator Drive Electronics in COMS (Communication, Ocean & Meteorological Satellites)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추력기 구동장치 설계)

  • Won, Joo-Ho;Cho, Young-Ho;Yang, Koo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944-194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추력기 구동장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위성에서는 위성체 전력공급을 위한 태양전지판, 위성의 자세제어를 위한 모멘텀 휠과 추진계, 온도제어 등을 담당하는 다양한 추력기 (actuator)가 존재한다. 위성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각각의 추력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및 기계 접속 요구사항을 수용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하는 추력기 구동장치 (Acutator Drive Electronics, ADE)가 필요하다.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추력기 구동장치는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 1개의 ADE5 구조체 안에 ADE5 A와 ADE5 B가 중복되어서 구현되었다. ADE5는 ADE5 A와 B가 수동적 중복구조를 갖지만, 추력기와 ADE5 A, B가 상호연결되어 있어서 위성의 상태에 따라서 2개의 ADE5 A, B가 혼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정지궤도 복합위성 주파수 및 궤도 확보를 위한 국제등록 현황 분석

  • Baek, Myeong-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81.1-181.1
    • /
    • 2012
  • 정지궤도 복합위성은 기상관측용 기상위성과 해양 및 환경관측용 해양/환경위성으로 계획되어있다. 기상위성은 2017년 발사, 해양/환경위성은 2018년 발사를 목표로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정지궤도위성은 주파수 및 궤도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국제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위성의 궤도위치와 주파수 자원에 대한 선행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연구는 기상위성업무용 및 지구탐사위성 업무용 주파수 자원에 대한 관련 전파규칙 분석 작업 등의 업무가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정지궤도 복합위성은 관제용 주파수 대역으로 L 대역 또는 S 대역이 가용 주파수 대역이고, 기상, 해양 및 환경 원시 데이터 전송용 주파수 대역은 X 또는 Ka 대역이 가용 주파수 대역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기상위성업무용 및 지구탐사위성업무용으로 가용한 L, S, X 및 Ka 주파수 대역을 검토하였고, 동 대역을 이용하여 국제등록 중인 위성망과 주요 위성망들의 전송제원 등에 대한 국제등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작성된 자료들은 향후 우리나라 정지궤도 위성망 궤도 및 주파수 자원 확보를 위한 국제등록에 활용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 PDF

A Design of Component-based System Architecture for COMS Meteorological Data Processing (천리안위성 기상자료처리를 위한 컴포넌트 기반의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 Cho, Sanggyu;Kim, Byunggil;SaKong, Youngbo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9 no.1
    • /
    • pp.65-69
    • /
    • 2014
  • Th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COMS) data processing system(CMDPS) has developed to support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and weather prediction by NMSC(National Meteorological Satellite Center) and it is generating the 16 kind of meteorological data(Level 2 product). Unfortunately, currently CMDPS has some problems in terms of the system maintenance and the integrated software efficiency, and the extension to support the next generation meteorological satellite data processing. To solve this problems,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extensible component-based system architecture for COMS meteorological data processing with consideration of identified issues. Proposed system is adapted the component-based frameworks with extensible architecture. We expects that this system will be provide easy ways to develop new satellite data processing algorithms and to maintain the system.

Mechanical System Design of the COMS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기계 시스템 설계)

  • Park, Jong-Seok;Kim, Chang-Ho;Kim, Seong-Hun;Choe, Jeong-Su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5 no.2
    • /
    • pp.119-125
    • /
    • 2006
  • The first GEO satellite, COMS(Communication. Ocean & Meteorological Satellite) developed by Korean participants is a multi-functional satellite accommodating two observation payloads and a communication payload. Because of the inherent requirements given by these payloads, the physical layout of the instruments and sensors and of their electronics packages is critical to mission success. This technical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mechanical system design during the preliminary design phase and describes the design consideration to achieve the optimized performance.

  • PDF

위성 광학탑재체 개발용 열진공챔버 설계

  • 이상훈;조혁진;서희준;문귀원;최석원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68-68
    • /
    • 2004
  • 국가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15년 까지 다목적실용위성 7기, 과학위성 4기, 통신해양기상위성을 포함한 정지궤도 위성 4기 등 총 15기의 위성 개발 계획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위성들은 지구의 대기, 해양, 기상 등을 관측하고, 우주환경의 측정 및 각종 실험 등을 수행하며, 안정적인 통신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특히 다목적실용위성의 경우, 위성체의 눈 역할을 하는 위성탑재체인 고해상도 과학관측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외국과의 기술협력을 통해 자립개발을 꾀하고 있다. (중략)

  • PDF

The Launch of the COMS by Ariane-5 Launch Vechicle (아리안-5 발사체를 이용한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

  • Lee, Ho-Hyung;Kim, Bang-Yeop;Choi, Jung-Su;Han, Ch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3
    • /
    • pp.291-297
    • /
    • 2008
  • The launch of the COMS by using Ariane-5 launch vehicle is introduced. First, the COMS is introduced briefly, and then, the Ariane-5 launch vehicle is introduced including detail description of the improvement of Vulcain-1 engine of Ariane-5G to Vulcain-2 engine of Ariane-5ECA for 20% increase of thrust. Then, the launch process of the COMS is introduced. The COMS will be launched from the Guiana Space Center in Kourou, French Guiana. After the final check at PPF the COMS is transferred to HPF in the same building for fueling, and it is integrated to the launch vehicle adaptor at HPF, too. Then, this assembly is transferred to Final Assembly Building. After the satellites to be launched together are integrated to the launch vehicle on the launch table in the Final Assembly Building, the launch table loaded with the launch vehicle is moved to the launch pad for launch. The events during the launch vehicle flight is also introduced.

Beginning of the Meteorological Satellite: The First Meteorological Satellite TIROS (기상위성의 태동: 최초의 기상위성 TIROS)

  • Ahn, Myoung-Hwan
    • Atmosphere
    • /
    • v.22 no.4
    • /
    • pp.489-497
    • /
    • 2012
  • Recently released a top secret document explicitly shows that the early development plan for an earth observation satellite in the USA has a hidden and more important purpose for a concept of 'free space' than the scientific purpose. At that time, the hidden and secret concept imbedded within the early space development plan prevail other national policies of the USA government for purpose of the national secur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quite reasonable to accept a possibility that the meteorological satellites which play a key role in the every area of meteorology and climatology was also born for the hidden purposes. Even it is so, it is quite amazing that the first meteorological satellite is launched in the USA despite of the facts that the major users of the meteorological satellites were not very enthusiastic with the meteorological satellite and the program was not started as a formal meteorological satellite project. This was only possible because of the external socio-political impact caused by the successful launch of the Russian Sputnik satellite and a few key policy developers who favored the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Korean meteorological satellite program was initiated by a similar socio-political influence occurred by the launch of a North Korean satellit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emical Propulsion Systems for Repersentative Korean Satellites (국내의 대표적 인공위성 화학추진시스템의 형식 및 특성)

  • Han, Ch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8
    • /
    • pp.747-752
    • /
    • 2007
  • Domestic satellite development programme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COMS as GEO satellite and KOMPSAT as LEO one. Each satellite has the on-board propulsion system fulfilling its own mission requirements. The COMS propulsion system provides the thrust and torque required for the insertion into GEO, attitude and orbit control/adjustment of spacecraft. It is the well-known Chemical Propulsion System(CPS) using bipropellants. On the other hand, the monopropellant propulsion system is employed in KOMPSAT, and its main role is on-station attitude control excluding the orbit transfer function. In this study, these two representative propulsion systems are compared and analysed as well, in terms of essential differences and important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