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계 그래프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Temporal Color Correlograms for Video Retrieval (비디오 검색을 위한 시간 색상 상관관계그래프)

  • Park, Ho-Sik;Lee, Young-Sik;Kim, Jin-Han;Na, Sang-Dong;Bae, Cheol-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643-646
    • /
    • 2003
  • 본 논문은 분할된 비디오 화면들의 색상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영상 검색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간 색상 상관그래프는 공통적인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디오 화면 내의 공간-시간 관계를 계산한다. 시간 색상 상관 그래프는 내용 기반의 영상 검색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HSV(Hue, Saturation, Value) 색상 상관 그래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시간 색상 상관 그래프는 하나의 비디오 화면으로부터 추출된 프레임 샘플의 양자화 된 HSV 색상 값의 자기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1시간 분량의 분할된 MPEG-1 비디오에 대한 질의와 질의에 대한 관련성 판정을 하고자 내용 기반의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견과 제안된 방법이 시각 정보만을 필요로 하는 검색에 있어 기존의 다른 검색 방법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증명하였다.

  • PDF

Grade 4, 5, and 6 Students' Making Sense of Graphs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조사)

  • Lee, Jami;Ko, Eun-Su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3 no.1
    • /
    • pp.169-192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well grade 4, 5, and 6 students understand graphs before formal education is done on graphs. For this, we analyzed students' understanding of graphs by classifying them into 'reading data', 'finding relationships between data', 'interpreting data', and 'understanding situa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have good understanding of graphs that did not have formal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iming of the introduction of the graph. In addition, when we look at the percentage of correctness of each graph, it i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line graph is weaker than the other graphs. The common error in most graphs was that students relied on their own subjective thoughts and experiences rather than based on the data presented.

  • PDF

An Alternative Stud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hreshold for the 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 (일반화 파레토 분포에서 임계치 결정에 대한 대안적 연구)

  • Yoon, Jeong-Yoen;Cho, Jae-Beom;Jun, Byoung-Cheo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4 no.5
    • /
    • pp.931-939
    • /
    • 2011
  • In practice, thresholds are determined by the two subjective assessment methods in a 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 of mean extreme function(MEF-graph) or Hill-graph. To remedy the problem of subjectiveness of these methods, we propose an alternative method to determine the threshold based on the robust statistics. We compared the MEF-graph, Hill-graph and our method through VaRs on the Korean stock market data from January 5, 1987 to August 3, 2009. As a result, the VaR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s,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VaR for our method was the smallest. The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can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determine thresholds of the 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s.

A Synthetic Dataset for Korean Knowledge Graph-to-Text Generation (한국어 지식 그래프-투-텍스트 생성을 위한 데이터셋 자동 구축)

  • Dahyun Jung;Seungyoon Lee;SeungJun Lee;Jaehyung Seo;Sugyeong Eo;Chanjun Park;Yuna Hur;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219-224
    • /
    • 2022
  • 최근 딥러닝이 상식 정보를 추론하지 못하거나, 해석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식 그래프를 기반으로 자연어 텍스트를 생성하는 연구가 중요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 대량의 지식 그래프와 이에 대응되는 문장쌍이 요구되는데, 이를 구축하는 데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하나의 그래프에 다수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기에 구축자 별로 품질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데이터 균등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공개된 지식 그래프인 디비피디아를 활용하여 전문가의 도움 없이 자동으로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기반으로 KoBART와 mBART, mT5와 같은 한국어를 포함한 대용량 언어모델을 활용하여 문장 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mBART를 활용하여 미세 조정 학습을 진행한 모델이 좋은 성능을 보였고,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s of Graphing Abilities to Logical Think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그래프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탐구 능력의 관계)

  • Kim, Tae-Sun;Bae, Deok-Jin;Kim, Beom-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2 no.4
    • /
    • pp.725-73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graphing abilities to logical think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481 students from four middle schools for TOGS(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and TIPS II (Test of Integrated Process Skills). This study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bilities of students to construct/interpret graphs and the logical thinking was 0.45,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bilities to construct/interpret graphs and science process skills are 0.32. As a result, abilities of students to construct and interpret graphs arc more correlate the logical thinking than science process skills.

Statistical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based on CMIP6 SSP Scenario (CMIP6 SS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통계학적 가능최대 강수량)

  • Seo, Miru;Kim, Sunghun;Kwon, Jihye;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69-169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해 집중호우, 홍수 등 극한 강우의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극한 강우의 빈도가 증가함으로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가능최대강수량의 경우 대규모 수공 구조물, 댐의 설계나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 산정에 사용 되며, 세계 기상 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tion, WMO)는 가능최대강수량 산정 방법으로 수문기상학적 방법, 통계학적 방법, 포락 곡선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 산정방법으로는 Hershfield가 제안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Hershfield가 제안한 방법의 경우 빈도계수를 사용하며, Hershfield(1961)는 빈도계수의 값을 15로 제안하였으나, 1965년에 빈도계수는 강우 지속시간과 평균에 따라 5~20 값을 갖는 노모그래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빈도계수 산정 방법, 노모그래프를 이용한 빈도계수의 값 2가지를 산정한 후 국내 가능최대강수량 보고서와 비교하여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 산정 방법을 결정한 후, 결정된 빈도계수 산정 방법을 SSP시나리오에 이용하여 미래의 통계학적 가능최대강수량을 산정하여 가능최대강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